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의 인터넷상의 지식재산권 침해에 따른 접속차단조치 - 저작권 침해 중심으로 법제 및 판례 분석 - = A Study on the Access Blocking against Onlin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in Germany - Analysis of German Legal Systems and Precedents focusing on Copyright Infringemen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online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the Internet is problematic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infringer to remedy the rights. In this regard, what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sure in practice is the DNS blocking of large access providers.
      Concerning blocking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the Internet, Germany newly established Article 7 (4) of the Telemedia Act after the German Federal Court of Justice ruled in 2015. Furthermor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precedents since 2018, especially related to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Internet, and through this, the legal basis and prerequisites for DNS block are discussed in detail. Currently, Germany adopts a method of applying Article 7 (4) of the Telemedia Act by analogy in recognizing DNS blocking requests for access providers. Proof of whether the rightsholder has actively implemented the measures to remove the obstruction of the infringement within the practical scope is essential when Article 7 (4) of the Telemedia Act prerequisite for use as an analogy.
      However, DNS blocking after judicial judgment based on disputes among parties to DNS blocking causes unnecessary consumption of cost and time.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sibility of bypassing the subsequent blocking is higher. In this regard, the CUII was established in 2021 as a consultative body among rightsholders and large access providers in Germany. The CUII promotes the rapid implementation of DNS blocking of structured copyright infringement sites through the review phase within the consultative body and the administrative review phase of the German Federal Network Agency.
      Judicial judgment on Germany's DNS blocking for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Internet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nsultative body are judged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access blocking in Korea.
      번역하기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online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the Internet is problematic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infringer to remedy the rights. In this regard, what is reco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imple online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rough the Internet is problematic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infringer to remedy the rights. In this regard, what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sure in practice is the DNS blocking of large access providers.
      Concerning blocking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the Internet, Germany newly established Article 7 (4) of the Telemedia Act after the German Federal Court of Justice ruled in 2015. Furthermor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precedents since 2018, especially related to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Internet, and through this, the legal basis and prerequisites for DNS block are discussed in detail. Currently, Germany adopts a method of applying Article 7 (4) of the Telemedia Act by analogy in recognizing DNS blocking requests for access providers. Proof of whether the rightsholder has actively implemented the measures to remove the obstruction of the infringement within the practical scope is essential when Article 7 (4) of the Telemedia Act prerequisite for use as an analogy.
      However, DNS blocking after judicial judgment based on disputes among parties to DNS blocking causes unnecessary consumption of cost and time.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sibility of bypassing the subsequent blocking is higher. In this regard, the CUII was established in 2021 as a consultative body among rightsholders and large access providers in Germany. The CUII promotes the rapid implementation of DNS blocking of structured copyright infringement sites through the review phase within the consultative body and the administrative review phase of the German Federal Network Agency.
      Judicial judgment on Germany's DNS blocking for copyright infringement on the Internet and the composition of the consultative body are judged to hav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access blocking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터넷상의 쉬운 복제와 배포의 특징에 근거하여 인터넷을 통한 지식재산권의 침해는 권리침해자의 권리구제가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무적으로 효과적인 조치로서 인식되는 것은 대형 액세스 프로바이더 사업자의 DNS 차단 조치이다.
      인터넷상의 지식재산권의 침해와 관련한 접속차단조치와 관련하여 독일은 2015년 독일 연방사법재판소의 액세스 프로바이더의 방조 책임의 판결 이후, 텔레미디어법 제7조 제4항을 신설하였다. 관련하여 특히 인터넷상의 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접속차단조치에 대하여 2018년 이래로 주요한 판례들이 판시되었고, 이를 통하여 접속 차단, 특히 액세스 프로바이더의 DNS 차단에 대한 법적 근거 및 전제 조건들이 세부적으로 논의되었다. 현재 독일에서는 액세스 프로바이더를 대상으로 한 DNS 차단 청구를 인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텔레미디어법 제7조 제4항을 유추 적용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유추적용에 대한 전제조건으로는 권리소유자가 권리침해의 방해제거조치를 실질적인 범위 내에서 적극적으로 이행하였는지의 입증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다만, 접속차단조치의 당사자들의 분쟁에 근거한 사법적 판단 이후의 접속차단조치는 비용과 시간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하게 되며, 사법적 판단 진행 중의 접속차단조치의 우회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1년 권리소유자와 독일 내 대형 액세스 프로바이더 사업자의 협의체로서 CUII가 출범하였다. CUII는 협의체 내의 검토 단계와 독일 연방네트워크기관의 행정적 검토 단계를 통해 구조적 저작권 침해 웹 사이트의 DNS 차단의 신속한 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인터넷상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독일의 접속차단조치에 대한 사법적 판단과 관련 협의체의 구성은 국내의 접속차단조치의 운영에도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번역하기

      인터넷상의 쉬운 복제와 배포의 특징에 근거하여 인터넷을 통한 지식재산권의 침해는 권리침해자의 권리구제가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무적으로 효과...

      인터넷상의 쉬운 복제와 배포의 특징에 근거하여 인터넷을 통한 지식재산권의 침해는 권리침해자의 권리구제가 어렵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무적으로 효과적인 조치로서 인식되는 것은 대형 액세스 프로바이더 사업자의 DNS 차단 조치이다.
      인터넷상의 지식재산권의 침해와 관련한 접속차단조치와 관련하여 독일은 2015년 독일 연방사법재판소의 액세스 프로바이더의 방조 책임의 판결 이후, 텔레미디어법 제7조 제4항을 신설하였다. 관련하여 특히 인터넷상의 저작권 침해와 관련한 접속차단조치에 대하여 2018년 이래로 주요한 판례들이 판시되었고, 이를 통하여 접속 차단, 특히 액세스 프로바이더의 DNS 차단에 대한 법적 근거 및 전제 조건들이 세부적으로 논의되었다. 현재 독일에서는 액세스 프로바이더를 대상으로 한 DNS 차단 청구를 인정하는 데에 있어서는 텔레미디어법 제7조 제4항을 유추 적용하는 방안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유추적용에 대한 전제조건으로는 권리소유자가 권리침해의 방해제거조치를 실질적인 범위 내에서 적극적으로 이행하였는지의 입증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다만, 접속차단조치의 당사자들의 분쟁에 근거한 사법적 판단 이후의 접속차단조치는 비용과 시간의 불필요한 소모가 발생하게 되며, 사법적 판단 진행 중의 접속차단조치의 우회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1년 권리소유자와 독일 내 대형 액세스 프로바이더 사업자의 협의체로서 CUII가 출범하였다. CUII는 협의체 내의 검토 단계와 독일 연방네트워크기관의 행정적 검토 단계를 통해 구조적 저작권 침해 웹 사이트의 DNS 차단의 신속한 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인터넷상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독일의 접속차단조치에 대한 사법적 판단과 관련 협의체의 구성은 국내의 접속차단조치의 운영에도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규호, "온라인상 저작권 침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모색적 금지명령(dynamic injunction)의 도입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35 (35): 115-150, 2022

      2 이동연 ; 이지선 ; 이수진 ; 최철호,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 침해 - 방조의 법리와 입법론적 개선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95) : 305-349, 2019

      3 신명섭 ; 용미란 ; 이영주, "불법 저작물 사이트의 광고 차단을 통한 저작권 침해 방지 연구 – 자금 추적 기반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31-341, 2020

      4 Spinder, "Telemediengesetz Kommentar" C.H.Beck 2018

      5 Gerald Spindler, "Störerhaftung für Access-Provider reloaded" 1012-, 2018

      6 Gerald Spindle, "Störerhaftung der Provider, insbesondere WLANs - ein neuer Anlauf" 262-, 2017

      7 Renate Schaub, "Sperranspruch statt Störerhaftung beim Filesharing" 3754-, 2018

      8 Kurzbeiträge, "Selbstregulierung als Win-Win-Lösung: Die neue Clearingstelle Urheberrecht in Internet" 438500-, 2021

      9 "Pressmitteilung, ZKM 2021, S. 123; CUII, “Pressmitteilung: Internetzugangsanbieter und Rechteinhaber gründen unabhängige "Clearingstelle""

      10 Bundesgerichtshof, "Pressemitteilung: Bundesgerichtshof konkretisiert Maßnahmen, die Rechtsinhaber vor Geltendmachung eines Anspruchs auf Einrichtung von Websperren zu ergreifen haben"

      1 이규호, "온라인상 저작권 침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모색적 금지명령(dynamic injunction)의 도입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 35 (35): 115-150, 2022

      2 이동연 ; 이지선 ; 이수진 ; 최철호,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 침해 - 방조의 법리와 입법론적 개선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95) : 305-349, 2019

      3 신명섭 ; 용미란 ; 이영주, "불법 저작물 사이트의 광고 차단을 통한 저작권 침해 방지 연구 – 자금 추적 기반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31-341, 2020

      4 Spinder, "Telemediengesetz Kommentar" C.H.Beck 2018

      5 Gerald Spindler, "Störerhaftung für Access-Provider reloaded" 1012-, 2018

      6 Gerald Spindle, "Störerhaftung der Provider, insbesondere WLANs - ein neuer Anlauf" 262-, 2017

      7 Renate Schaub, "Sperranspruch statt Störerhaftung beim Filesharing" 3754-, 2018

      8 Kurzbeiträge, "Selbstregulierung als Win-Win-Lösung: Die neue Clearingstelle Urheberrecht in Internet" 438500-, 2021

      9 "Pressmitteilung, ZKM 2021, S. 123; CUII, “Pressmitteilung: Internetzugangsanbieter und Rechteinhaber gründen unabhängige "Clearingstelle""

      10 Bundesgerichtshof, "Pressemitteilung: Bundesgerichtshof konkretisiert Maßnahmen, die Rechtsinhaber vor Geltendmachung eines Anspruchs auf Einrichtung von Websperren zu ergreifen haben"

      11 "OLG München, Urteil vom 14. Juni 2018 – 29 U 732/18"

      12 Tobias Keber, "Netzsperren und die neue Clearingstelle Urheberrecht im Internet (CUII) - eine kritische Bestandsaufnahme aus Sicht der internetnutzer:innen" 391-, 2021

      13 LTO, "Netzsperre bleibt letztes Mittel"

      14 Franz Hofmann, "Modifizierte Haftung von Internetzugangsprovidern" jurisPR-WettbR 2018

      15 Karina Grisse, "Internetangebotssperren nach der Änderung des TMG" 649-, 2018

      16 Lukas Haun, "Geht es auch ohne? Offene Netze ohne Störerhaftung? -Zwischen politischen Zielen und rechtlichen Schranken" 780-, 2017

      17 "EuGH, Urt. v. 27.3.2014 - C-314/12 - UPC Telekabel Wien"

      18 Willem Müller, "Die neue Clearingstelle Urheberrecht im Internet (CUII) - Urheberrechtliche und verfassungsrechtliche Voraussetzungen der Selbstregulierung von Sperransprüchen in Deutschland" 507-, 2021

      19 Maximilian Wimmer, "Die Vereinbarkeit der Abschaffung der ”WLAN-Störerhaftung“ mit dem Unionsrecht" 1427-, 2018

      20 Jan Bernd Nordemann, "Die Haftung allegeminer Zugangsprovider auf Website-Sperren –Der aktuelle Stand nach BGH “Dead Island”" 1016-, 2018

      21 "Deutscher Bundestag: Wissenschaftliche Dienste, "Schastand: Netzsperren -Rechtslage und gesetzgeberischer Spielraum""

      22 Andreas Sesing, "Der Sperranspruch nach §7 Abs. 4 TMG – Von gesetzgeberischen Kanonen und (anlasslos) verschlüsselnden Spatzen" 898-, 2019

      23 Marvin Jäschke, "CUII: Selbstregulierungsstelle für strukturelle Urheberrechtsverletzungen im Internet gegründet" R.52-, 2021

      24 CUII, "CUII Verhaltenskodex"

      25 "BGH, 26.11.2015 - I ZR 3/14 und I ZR 174/14"

      26 "BGH, 26.07.2018 - I ZR 64/1"

      27 "BGH, 13.10.2022 - I ZR 111/21"

      28 Ilja Czernik, "BGH zur Störerhaftung beim Filesharing" IPRB 246-,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