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영역별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 = The Par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by Area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38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perceptions on lifelo...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uture. For the purpose,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as implemented with parents of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ould be major decision-makers(Kim & Park, 2013). For this survey 590 parents, living in Seoul were participa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rder in the 6 broad area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lture & art education, career development edu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basic literacy education, citizen participation education and academic ability supplement education respectively. Among 18 middle areas’ of the programs, the culture & art enjoyment program, the leisure sport program, the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the professional occupation education, the living knowledge program were appeared as high ranking orders. Seco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variable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finding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parents such as gender, age level and academic career. As well a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the variables of children such as life-cycle, gender, age level, types of disabilities and ratings of disability. Finally the discussions about support plans and establishing policies on lifelong program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ddressed based on the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김두영, 박원희, 2013)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발달장애자녀의 주요 의사결정권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

      이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김두영, 박원희, 2013)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발달장애자녀의 주요 의사결정권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의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모 590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들이 인식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6개 대영역별 중요도는 문화예술교육, 직업능력향상교육, 인문교양교육, 기초문해교육, 시민참여교육, 학력보완교육의 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18개 중영역별 중요도는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기초직업교육 프로그램, 전문직업교육 프로그램, 생활소양 프로그램 등이 상위순위를 나타냈다. 둘째,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발달장애자녀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자녀의 생애주기, 성별, 연령, 장애유형 및 장애등급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돈민, "평생교육요구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999

      2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3 김윤태, "전북지역 중증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교육청 2009

      4 김두영,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59-383, 2014

      5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45-271, 2013

      7 김기룡, "장애성인을 위한 대학중심 평생교육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사)전국장애인부모연대 2014

      8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성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9 정인숙, "장애성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수급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10 박재국, "장애성인 평생교육 전문 인력 수급을 위한 법령 및 제도 개선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1 최돈민, "평생교육요구분석" 한국교육개발원 1999

      2 송소현, "특수학교 기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지원 모형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3 김윤태, "전북지역 중증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교육청 2009

      4 김두영, "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359-383, 2014

      5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두영,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개발 기초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245-271, 2013

      7 김기룡, "장애성인을 위한 대학중심 평생교육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보고서" (사)전국장애인부모연대 2014

      8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성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9 정인숙, "장애성인 평생교육 전문인력 수급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10 박재국, "장애성인 평생교육 전문 인력 수급을 위한 법령 및 제도 개선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11 김재현, "인천 여성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14 : 75-97, 2014

      12 김두영, "시각중복장애인의 평생교육 실태 및 요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5 (15): 199-228, 2014

      13 윤점룡, "성인발달장애인의 평생교육 모형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0

      14 강순원, "서울형 장애성인 평생교육 운영 모형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 2011

      15 김두영, "국내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패턴 분석" 283-296, 2016

      16 조대연, "국내 성인교육훈련의 요구분석 연구동향: 1990년-2005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9 (9): 85-106, 2006

      17 허재욱, "교육법신론" 형설출판사 1998

      18 김정재, "경상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경상남도교육연구정보원 2009

      19 Knowles, M. S., "The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From Pedagogy to Andragogy" Association Press 1980

      20 Witkin, B. R.,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 A practical guide" Sage Publications 1995

      21 Long, H. B., "Adult learning : Research and practice" Adult Education Company 1983

      22 한상훈, "6진 분류에 따른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AHP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995-1005, 2015

      23 박해룡, "2014 특수교육 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4

      24 김성희, "2014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9 0.71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