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지난 10년간 장애대학생관련 논문의 관심영역과 주제 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 고,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01835
2015
-
338
학술저널
21-40(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난 10년간 장애대학생관련 논문의 관심영역과 주제 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 고,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
이 연구는 지난 10년간 장애대학생관련 논문의 관심영역과 주제 등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
고,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한
국교육학술정보 시스템(RISS)에서 검색되는 총 153편의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주제, 연구의 대상, 연
구의 방법으로 영역을 나누어 세부 분야별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첫째, 지난 10년간 연구의 주제는 주로 `장애인식” 주제에 집중되어 있었고, 둘째, 특정 장
애영역보다는 전반적인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셋째, 질적연구에 비해 양적연구가 대
다수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볼 때, 지난 10년간 장애대학생관련 국내 연구경향은 고등교육
기관에서 장애대학생이 어떻게 대학사회에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특정분야의 연구에 편중되어, 장애대
학생을 위한 다양한 고등교육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를 위해 장애대학생에 대한 고등교육 연구들이 교육정책, 교육지원, 학습, 진로 및 취업, 학교생활 등의 다
양한 방향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장애 대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고찰 : 정원 외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시설의 서비스 품질이 장애 노인의 시설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 정도별 서킷트레이닝 프로그램 구안 적용이 지체장애 학생의 체력 및 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학교와 지역기관 간 교육적 협력을 통한 진로ㆍ직업교육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들의 인생태도와 직업준비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