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천읍성의 축조와 조성기법 = The Construction and Building Techniques of Seocheoneupseong For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2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천읍성의 축조는 서천지역이 서해안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이는 특히 영중추원사 최윤덕(崔閏德)과 좌찬성 신개(申槪)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 결과 서천읍성은 둘레 2천2백65척,높이 9~12척, 여장 높이 3척, 적대 14개소, 문 2개소, 여장 5백개, 우물5개 등을 갖춘 치소성으로 조성되었다. 문헌기록으로 보아 서촌읍성의시축은 세종 20년(1438) 혹은 그 이전으로 파악되고, 이의 필축은 문종1년(1451) 이전으로 파악된다.
      최근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이 동문지 및 성벽, 해자 등을 중심으로진행되고 있다. 동문지는 개거식으로 파악되어 이미 문루가 완공된 상태이다. 특히 문구부 전면으로 전구부가 축조되어 조선 전기의 보령읍성 남문, 남포읍성 남문, 당진 면천읍성 남문 등과 같은 구조를 보이고있다. 성벽의 내벽은 계단식으로 조성되었으며, 이와 접해 내탁이 이루어졌다. 특히 경사내탁의 하단부는 성토된 토양을 역전시켜 토양이 경사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서천읍성의 성과는 바로 해자의 존재이다. 이는 문종실록에 해자가 없다는 기록으로 보아 후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자 내부에서는 목익흔이 발견되어 부산 동래읍성이나 보령 남포읍성과 같은 구조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발굴조사 과정에서 치성, 수혈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후자는 성벽과 해자 사이에서 내외 2열로 조사되었다. 이의 성격은 현재정확히 알 수 없지만 함정이나 목책과 관련된 유구로 추정되고 있다. 향후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계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축조기법과 새로운 유구가 확인될 것이다. 이에 대해선 앞으로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번역하기

      서천읍성의 축조는 서천지역이 서해안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이는 특히 영중추원사 최윤덕(崔閏德)과 좌찬성 신개(申槪)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 결과 서천읍성은 ...

      서천읍성의 축조는 서천지역이 서해안의 관문이라는 지정학적 측면에서 제기되었다. 이는 특히 영중추원사 최윤덕(崔閏德)과 좌찬성 신개(申槪) 등에 의해 주장되었다. 그 결과 서천읍성은 둘레 2천2백65척,높이 9~12척, 여장 높이 3척, 적대 14개소, 문 2개소, 여장 5백개, 우물5개 등을 갖춘 치소성으로 조성되었다. 문헌기록으로 보아 서촌읍성의시축은 세종 20년(1438) 혹은 그 이전으로 파악되고, 이의 필축은 문종1년(1451) 이전으로 파악된다.
      최근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이 동문지 및 성벽, 해자 등을 중심으로진행되고 있다. 동문지는 개거식으로 파악되어 이미 문루가 완공된 상태이다. 특히 문구부 전면으로 전구부가 축조되어 조선 전기의 보령읍성 남문, 남포읍성 남문, 당진 면천읍성 남문 등과 같은 구조를 보이고있다. 성벽의 내벽은 계단식으로 조성되었으며, 이와 접해 내탁이 이루어졌다. 특히 경사내탁의 하단부는 성토된 토양을 역전시켜 토양이 경사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발굴조사를 통해 드러난 서천읍성의 성과는 바로 해자의 존재이다. 이는 문종실록에 해자가 없다는 기록으로 보아 후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자 내부에서는 목익흔이 발견되어 부산 동래읍성이나 보령 남포읍성과 같은 구조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발굴조사 과정에서 치성, 수혈유구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후자는 성벽과 해자 사이에서 내외 2열로 조사되었다. 이의 성격은 현재정확히 알 수 없지만 함정이나 목책과 관련된 유구로 추정되고 있다. 향후 서천읍성에 대한 발굴조사는 계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축조기법과 새로운 유구가 확인될 것이다. 이에 대해선 앞으로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얼문화유산연구원, "홍성 석택리유적" 2015

      2 누리고고학연구소, "홍성 결성읍성 동문지" 2021

      3 문화재청, "한국성곽 용어사전" 2007

      4 천안시, "천안 구도리 백제분묘" 2020

      5 심정보, "읍성축조에 있어서 ‘築城新圖’의 반포 목적과 고고학적 검토"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2 (22): 161-188, 2012

      6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타, "언양읍성 남문 주변 성곽-언양읍성 남문지 복원사업 추가부지 내 발굴조사 보고서-" 2016

      7 서천군, "서천읍성 Ⅱ" 2020

      8 서천군, "서천읍성 Ⅰ" 2019

      9 서천군, "서천읍성 Ⅲ" 2021

      10 보령시, "보령 남포읍성 서남치성" 2021

      1 한얼문화유산연구원, "홍성 석택리유적" 2015

      2 누리고고학연구소, "홍성 결성읍성 동문지" 2021

      3 문화재청, "한국성곽 용어사전" 2007

      4 천안시, "천안 구도리 백제분묘" 2020

      5 심정보, "읍성축조에 있어서 ‘築城新圖’의 반포 목적과 고고학적 검토"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2 (22): 161-188, 2012

      6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타, "언양읍성 남문 주변 성곽-언양읍성 남문지 복원사업 추가부지 내 발굴조사 보고서-" 2016

      7 서천군, "서천읍성 Ⅱ" 2020

      8 서천군, "서천읍성 Ⅰ" 2019

      9 서천군, "서천읍성 Ⅲ" 2021

      10 보령시, "보령 남포읍성 서남치성" 2021

      11 조선문화유산연구원, "남원읍성 북문지 및 북성벽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20

      12 영해문화유산연구원, "나주읍성 북문지" 2017

      13 두류문화재연구원, "김해읍성・신기산성" 2015

      14 시공문화재연구원, "기장읍성 해자 복원 및 도로공사 사업 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2020

      15 동양문물연구원, "기장읍성 보존・정비를 위한 학술조사" 2012

      16 한울문화재연구원, "강진 전라병영성 외부 해자지역 정밀발굴조사 2차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2017

      17 沈正輔, "韓國 邑城의 硏究" 학연문화사 1995

      18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타, "鎭海 熊川邑城 Ⅱ" 2010

      19 蔚山文化財硏究院, "蔚州彦陽邑城" 2012

      20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타, "河東邑城 Ⅰ" 2004

      21 慶南文化財硏究院, "東萊邑城 垓字Ⅱ-圖面・寫眞-" 2010

      22 "朝鮮王朝實錄"

      23 公州大學校博物館, "安興鎭城" 1995

      24 忠淸文化財硏究院, "唐津 沔川邑城" 2014

      25 慶南發展硏究院 歷史文化센타, "古縣邑城" 2006

      26 忠淸北道, "三年山城 西門址 調査槪報"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