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및 공공분야는 메가이벤트 개최를 통해 인프라 구축 및 홍보효과를 로 인한 관광 활성화 등으로 관광객의 소비지출 증가, 주민 소득의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기대하고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79185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9-200(22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자체 및 공공분야는 메가이벤트 개최를 통해 인프라 구축 및 홍보효과를 로 인한 관광 활성화 등으로 관광객의 소비지출 증가, 주민 소득의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기대하고 있다. ...
지자체 및 공공분야는 메가이벤트 개최를 통해 인프라 구축 및 홍보효과를 로 인한 관광 활성화 등으로 관광객의 소비지출 증가, 주민 소득의 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라남도는 2010년 F1 Korean Grand Prix의 개최를 추진하였으나 무리한 메가이벤트 개최라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F1 이라는 메가이벤트 개최에 따른 어떠한 요인들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 관점에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의 인식 차이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정보와 시사점을 도출코자 하였고, F1 Korea 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측면 등 다양한 측면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Brown, Raphael, & Renwickl(1998)에 의해 최초 개발되고 Andereck et al.(2005), Andereck et al(2007)에 의해 활용된 관광과 삶의 질 척도(Tourism and Quality of Life Scale : TQOL)을 측정도구로 이용하였다. 18세 이상의 목포시 지역주민센터 방문객을 대상으로 573부의 설문을 받아 F1 개최지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삶의 질 지수(Quality of life index)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환경요인, 안정된 생활환경, 문화적 환경, 자연환경, 기반환경 등 총 5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이중 문화적 환경요인이 가장 높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F1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변수 및 인구통계학적인 요인 중 관광수입, 가계소득, 거주지역, 관광객 접촉빈도, 교육수준 등이 지역 주민의 영향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1 개최를 통한 지역주민에게 가장 큰 영향요인은 F1 이라는 세계 3대 메가이벤트를 개최한다는 자부심의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긍정적인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서 전라남도는 지역주민에게 지속적인 경제적 부가가치를 안겨줄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F1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ga Event(F1 2010 Korean Grand Prix) on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to explore determinants which have an effect on residents' perception of Mega-event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ga Event(F1 2010 Korean Grand Prix) on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to explore determinants which have an effect on residents' perception of Mega-event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vent and Quality of life(QOL) measurement.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achieved by empirical analysis. First, five impact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which are 'social-economics, environment', 'stabilized living environment', 'cultur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living infra environment'. QOL indices influenced by Mega Event reveal that F1 venue residents perceived F1 2010 Korean Grand Prix had positive impacts on all of five QOL factors. Given that none of empirical research on mega-event impacts on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the importance of residents' support. These findings of study can suggest how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ensure long-term success of mega-events to event organizer or local government. However, there are several limitation regarding genuine aspect of the QOL scal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원, "축제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5 (35): 73-92, 2011
2 조배행, "지역주민의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지각 차이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426-439, 2005
3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4 오정학,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 강원도지역 사례 -"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275-295, 2009
5 김정운, "주5일제와 여가정책" 2 (2): 87-99, 2004
6 고동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인식의 차이" 25 (25): 63-80, 2001
7 김석출, "안면도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공무원의 관광영향지각, 태도, 만족도 차이" 대한관광경영학회 20 (20): 1-20, 2006
8 정희준,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229-251, 2008
9 김재학, "스포츠관광론" 학현사 2009
10 고명철,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회 46 (46): 103-126, 2012
1 김철원, "축제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5 (35): 73-92, 2011
2 조배행, "지역주민의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지각 차이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426-439, 2005
3 이영균,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1 (11): 223-250, 2007
4 오정학,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관계 - 강원도지역 사례 -" 대한관광경영학회 24 (24): 275-295, 2009
5 김정운, "주5일제와 여가정책" 2 (2): 87-99, 2004
6 고동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상황적 특성에 따른 관광영향인식의 차이" 25 (25): 63-80, 2001
7 김석출, "안면도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관광객, 관광공무원의 관광영향지각, 태도, 만족도 차이" 대한관광경영학회 20 (20): 1-20, 2006
8 정희준, "스포츠메가이벤트와 경제효과:그 진실과 허구의 재구성"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1 (21): 229-251, 2008
9 김재학, "스포츠관광론" 학현사 2009
10 고명철,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회 46 (46): 103-126, 2012
11 신창열, "메가 이벤트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지지도·개최지속성 간의 구조 관계 연구 : 2009년 인천세계도시축전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2 한준영, "메가 스포츠이벤트 전·후의 지역경제 효과: 2002부산, 2003대구, 2015광주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7 (17): 21-34, 2012
13 조한범ㆍ김재연, "메가 스포츠이벤트 유치와 지역사회 발전의 비판적 견해" 2010
14 박용순, "농촌관광마을에서 사회적 자본이 주민통합과 삶의 질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4 (34): 33-55, 2010
15 송건섭, "광역도시권의 QOL 지표와 평가" 2008
16 원융희, "관광이미지" 백산출판사 2003
17 오정학, "경주 “양동마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8 (18): 793-824, 2011
18 이봉구, "강원랜드 카지노 개발이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7 (27): 289-309, 2004
19 지계웅, "강릉지역 축제 이벤트가 그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및 주민 만족도" 한국관광학회 29 (29): 195-214, 2005
20 Gunn, C. A., "Tourism planning" Routledge 2002
21 Andereck, K., "Tourism and quality of life" Quality Tourism Experiences 137-153, 2005
22 Andereck, K.,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attitudes toward tourism and tourism development options" 39 (39): 27-36, 2000
23 Butler, R, W., "The Concept of a Tourist Area Cycle of Evolution: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Resources" 4 (4): 5-12, 1980
24 Lee, C. K., "Segmentation of festivalmotivation by nationality and satisfaction" 5 (5): 61-70, 2004
25 Andereck, K., "Residents' perceptions of community tourism impacts" 32 : 1056-1076, 2005
26 Chen, S. C.,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major annualtourism events in macao : Cluster Analysis" 12 : 106-128, 2011
27 Massam, B. H., "Quality of life; public planning and private living" 58 (58): 141-227, 2002
28 Glatzer, W., "Quality of life i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of America; Evidence from comprehensive Indices"
29 Brown, K., "Quality of Life Profile, item#2" 1998
30 Deccio, C., "Nonhost community resident reactions tothe 2002 winter olympic: The spillover Impacts" 41 (41): 46-56, 2002
31 Mead, G. H., "Mind, Self and Society" The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32 Lee, C. K., "Critical reflections on the economic impactassessment of a mega-event : the case of 2002 FIFA World Cup" 26 : 595-603, 2005
33 Ritchie, J. R. B., "Assessing the impact of hallmark events. : Conceptualand research issues" 23 (23): 2-11, 1984
34 Doxey, G. V., "A causation theory of visitor-resident irritants : Methodology and Research inference" 195-198, 1975
35 Andereck, K. ., "A Cross-Cultural analysis of tourism and quality of life perceptions" 15 (15): 483-502, 2007
36 임재영, "2002월드컵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 분석: MRIO 모형의 적용" 대한관광경영학회 17 (17): 1-14, 2002
의미있는 동반자가 관광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후변화 인식이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테마파크의 시설배치유형이 길찾기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가상현실공간기법의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5 | 1.95 | 1.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82 | 2.049 | 0.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