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SI(Socioscientific Issues)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SI (Socioscientific Issues) Less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21st Century Ski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985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ocioscientific issues(SSI) lesson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less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21st century skills. To this end, SSI lessons were conducted over 7 sessions for 91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SSI lessons consisted of the concept of SSI and the contents of presenting SSI situations in various fields. Also, lectures were giv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and SSI educati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ata research activity on the SSI topic was conducted twice, and argumentation writings were conducted using the researched data. A pre-post tests of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conducted and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t-test for the sub-domains of 21st century skills, the pre-test result was higher in the collaboration ability, but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use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SSI less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refore, a follow-up discussion is needed to utilize SSI lesson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ocioscientific issues(SSI) lesson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less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21st century skills. To this end, SSI lessons were conducted over 7 sessions for...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ocioscientific issues(SSI) lesson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less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21st century skills. To this end, SSI lessons were conducted over 7 sessions for 91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SSI lessons consisted of the concept of SSI and the contents of presenting SSI situations in various fields. Also, lectures were giv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tific literacy and core science competencies and SSI educati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ata research activity on the SSI topic was conducted twice, and argumentation writings were conducted using the researched data. A pre-post tests of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conducted and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t-test for the sub-domains of 21st century skills, the pre-test result was higher in the collaboration ability, but the information technology and media use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SSI less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21st century skil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refore, a follow-up discussion is needed to utilize SSI lesson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 수업을 실시하고, 이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91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SSI 수업을 진행하였다. SSI 수업은 SSI의 개념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SSI 상황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과학적 소양, 과학 핵심역량과 SSI 교육의 관계 등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졌다. 두 차례에 걸쳐 SSI 주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자료 조사 활동이 이루어졌고, 조사한 자료들을 활용해 논증글쓰기를 실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은 사후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의 하위 영역들에 대한 t검정 결과 협업능력에서는 사전검사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지만, 정보기술 및 미디어 활용 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은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SSI의 개념과 예시 등을 설명하고, SSI 자료 조사 활동과 이를 활용한 논증글쓰기로 구성된 SSI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SSI 수업을 활용하기 위한 후속 논의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 수업을 실시하고, 이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

      이 연구는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SSI) 수업을 실시하고, 이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91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7차시에 걸쳐 SSI 수업을 진행하였다. SSI 수업은 SSI의 개념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SSI 상황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과학적 소양, 과학 핵심역량과 SSI 교육의 관계 등에 대한 강의가 이루어졌다. 두 차례에 걸쳐 SSI 주제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자료 조사 활동이 이루어졌고, 조사한 자료들을 활용해 논증글쓰기를 실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은 사후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의 하위 영역들에 대한 t검정 결과 협업능력에서는 사전검사 결과가 더 높게 나타났지만, 정보기술 및 미디어 활용 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은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SSI의 개념과 예시 등을 설명하고, SSI 자료 조사 활동과 이를 활용한 논증글쓰기로 구성된 SSI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기술사회 시민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 SSI 수업을 활용하기 위한 후속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2 박동화 ; 고연주 ; 이현주,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67-480, 2018

      3 강지훈 ; 천재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토론활동 중 지식의 협력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및 학습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9-147, 2018

      4 이현주 ; 최윤희 ; 고연주,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31-442, 2015

      5 김형미 ; 강경희,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수준과 구조 변화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9 (49): 195-204, 2021

      6 강경희,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55-62, 2018

      7 정은영 ; 구태희, "예비 과학 교사 대상 생물학 강좌에서 SSI 조사와 발표의 효과 및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7 (47): 223-235, 2019

      8 이영희 ; 윤지현, "과학기술의 사회적 쟁점에서 시민 참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천 역량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637-650, 2017

      9 김선영,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42 (42): 12-26, 2018

      10 이현주,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39-550, 2016

      1 김민정, "학습 방법으로서의 동료평가 : 평가자 및 피평가자의 역할이 학습자의 초인지, 학업성취,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2 박동화 ; 고연주 ; 이현주, "플립러닝 기반 SSI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기술 사회 시민으로서의 역량 및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67-480, 2018

      3 강지훈 ; 천재순, "초등 예비교사들의 SSI 토론활동 중 지식의 협력적 과정에서 나타나는 저항성 및 학습 유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9-147, 2018

      4 이현주 ; 최윤희 ; 고연주,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431-442, 2015

      5 김형미 ; 강경희,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수준과 구조 변화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9 (49): 195-204, 2021

      6 강경희, "예비 생물교사의 SSI(Socio-Scientific Issue) 관련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구조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46 (46): 55-62, 2018

      7 정은영 ; 구태희, "예비 과학 교사 대상 생물학 강좌에서 SSI 조사와 발표의 효과 및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 47 (47): 223-235, 2019

      8 이영희 ; 윤지현, "과학기술의 사회적 쟁점에서 시민 참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실천 역량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637-650, 2017

      9 김선영,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42 (42): 12-26, 2018

      10 이현주,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39-550, 2016

      11 고연주 ; 이현주,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과 -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395-405, 2017

      12 이현주 ; 장현숙,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과학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5 (15): 913-932, 2011

      13 T. D. Sadler,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89 (89): 71-93, 2005

      14 D. S. Gray,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 Implications for the professional gevelopment of teachers" 36 (36): 171-192, 2006

      15 권수희 ; 이현주, "SSI-PCK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이예비 과학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11-236, 2018

      16 정행남 ; 유선아, "SSI 교사모임의 특성과 교사 전문성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431-440, 2018

      17 K. Choi,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48 (48): 690-697, 2011

      18 H. B. Kim,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al changes on ST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s in the general biology course" 72 : 77-100, 2008

      19 T. D. Sadler, "Moral sensitivit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33 (33): 339-358, 2004

      20 Samantha R. Fowler, "Mor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Informa UK Limited 31 (31): 279-296, 2008

      21 H. Hur, "Modeling of 21st century learner competencies and 21st century teacher competencies"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1-111, 2011

      22 T. D. Sadler, "Informal reasoning socioscientific issues :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41 (41): 513-536, 2004

      23 Y. Chung,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cience classroom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14 : 1-27, 2016

      24 Dana L. Zeidler, "Enacting a Socioscientific Issues Classroom: Transformative Transformations" Springer Netherlands 277-305, 2011

      25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OECD

      26 Kongju Mun, "CROSS-CULTURAL COMPARISON OF PERCEPTIONS ON THE GLOBAL SCIENTIFIC LITERACY WITH AUSTRALIA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3 (13): 437-465, 2013

      27 Dana L. Zeidler,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Wiley 89 (89): 357-377, 2005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ls" National Academy Press 2012

      29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2015-74" Ministry of Education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