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충길, "조건부 합성기법과 레이더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2의 홍수모의 적용성 평가" 한국방재학회 17 (17): 483-494, 2017
2 김태정, "수문기상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 강우자료 생산(Ⅰ) : 편의보정 및 오차분포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50 (50): 1-15, 2017
3 최천규, "사천만 방수로가 남강댐 하류의 홍수량 저감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 한국습지학회 14 (14): 399-411, 2012
4 안소라, "분포형 홍수유출 모델링을 통한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과분석" 한국농공학회 55 (55): 19-30, 2013
5 최윤석, "분포형 모형의 다지점 보정 모듈 개발 - GRM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03-118, 2012
6 안소라,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이용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8 (48): 925-936, 2015
7 최윤석,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중소유역의 유량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43 (43): 353-365, 2010
8 노희성, "레이더 강우량의 불확실성 수준 평가: 미국사례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19 (19): 35-44, 2019
9 강나래, "레이더 강우 자료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출 모의" 한국습지학회 15 (15): 413-422, 2013
10 이명진, "레이더 강우 앙상블과 유출 블랜딩 기법을 이용한 최적 유출 수문곡선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51 (51): 221-233, 2018
1 정충길, "조건부 합성기법과 레이더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2의 홍수모의 적용성 평가" 한국방재학회 17 (17): 483-494, 2017
2 김태정, "수문기상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 강우자료 생산(Ⅰ) : 편의보정 및 오차분포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50 (50): 1-15, 2017
3 최천규, "사천만 방수로가 남강댐 하류의 홍수량 저감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 한국습지학회 14 (14): 399-411, 2012
4 안소라, "분포형 홍수유출 모델링을 통한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과분석" 한국농공학회 55 (55): 19-30, 2013
5 최윤석, "분포형 모형의 다지점 보정 모듈 개발 - GRM 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03-118, 2012
6 안소라,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이용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8 (48): 925-936, 2015
7 최윤석,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미계측 중소유역의 유량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43 (43): 353-365, 2010
8 노희성, "레이더 강우량의 불확실성 수준 평가: 미국사례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19 (19): 35-44, 2019
9 강나래, "레이더 강우 자료를 이용한 도시유역의 유출 모의" 한국습지학회 15 (15): 413-422, 2013
10 이명진, "레이더 강우 앙상블과 유출 블랜딩 기법을 이용한 최적 유출 수문곡선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51 (51): 221-233, 2018
11 나우영, "듀얼칼만필터를 이용한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의 실시간 편의보정" 한국수자원학회 53 (53): 201-214, 2020
12 Maddox, R. A., "Weather radar coverage over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17 (17): 927-934, 2002
13 Delrieu, G., "Weather radar and hydrology" 32 (32): 969-974, 2009
14 Crum, T. D., "The WSR-88D and the WSR-88D operational support facility" 74 : 1669-1687, 1993
15 Shin, M. J., "Sensitivit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of the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10 (10): 1839-, 2018
16 Dai, Q., "Probabilistic radar rainfall nowcasts using empirical and theoretical uncertainty models" 29 (29): 66-79, 2015
17 Zhang, J., "National mosaic and multi-sensor QPE (NMQ) system: Description, results, and future plans" 92 : 1321-1338, 2011
18 Choi, Y. S., "Multi‐site calibration using a grid‐based event rainfall–runoff model: A case study of the upstream areas of the Nakdong River basin in Korea" 29 (29): 2089-2099, 2015
19 Kwon, S., "Inter-comparison of radar rainfall rate using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and hybrid surface rainfall maps" 531 : 234-247, 2015
20 이재경, "Hybrid Scan Reflectivity 기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량의 수문모형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47 (47): 867-878, 2014
2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user’s manual"
22 Ozkaya, A., "Evaluating the use of biascorrected radar rainfall data in three flood events in Samsun, Turkey" 98 (98): 643-674, 2019
23 Codo, M., "Ensemble radar-based rainfall forecasts for urban hydrological applications" 8 (8): 297-, 2018
24 Weather Radar Center(WRC), "Development of application of cross governmental dual-pol radar harmonization[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25 Sebastianelli, S., "Comparison between radar and rain gauges data at different distances from radar and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the rainfall values in the adjacent pixels" 7 (7): 5171-5212, 2010
26 Kavetski, D., "Adaptive backward Euler time stepping with truncation error control for numerical modelling of unsaturated fluid flow" 53 (53): 1301-1322,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