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랜드 이모티콘의 소비자 만족 요인 연구 = A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Factors of Brand Emotic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72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모바일 환경에서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성이 상승함에 따라 기업들은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하여 브랜딩 및 개인화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작하고 무료 증정을 통해 브랜드의 카카오톡 채널 구독자를 확보하는 마케팅 전략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카카오톡 브랜드 이모티콘이 기업 브랜딩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모티콘이 갖추어야 할 사용자 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해졌다.
      연구방법 이론적 고찰로 이모티콘의 개념과 변천, 감정표현 이론을 살펴보고 브랜드 이모티콘 발전 전략을 위해 카카오톡 채널과 브랜드 이모티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23년 하반기 출시된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이모티콘 주요 사례의 디자인 특성과 감정표현을 조사한 후, 브랜드 이모티콘의 소비자 만족 요인을 찾기 위해 20대 소비자의 카카오톡 이모티콘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브랜드 이모티콘에 대한 소비자 만족 요인과 호감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이모티콘의 5가지 사용자 만족 요인인 심미성, 유희성, 명확성, 유용성, 동질성에 대한 선호도 평균 점수와 이모티콘 호감도 순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브랜드가 마케팅을 위해 브랜드 이모티콘을 개발할 때 소비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감정표현 영역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문구와 말투, 상황들을 반영하여 소비자 만족 요인을 만족시키는 이모티콘을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호감도를 높이고 이모티콘의 사용 빈도를 높이는 것이 브랜드 호감도를 높이는 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모바일 환경에서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성이 상승함에 따라 기업들은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하여 브랜딩 및 개인화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

      연구배경 모바일 환경에서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성이 상승함에 따라 기업들은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하여 브랜딩 및 개인화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이모티콘을 제작하고 무료 증정을 통해 브랜드의 카카오톡 채널 구독자를 확보하는 마케팅 전략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카카오톡 브랜드 이모티콘이 기업 브랜딩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모티콘이 갖추어야 할 사용자 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해졌다.
      연구방법 이론적 고찰로 이모티콘의 개념과 변천, 감정표현 이론을 살펴보고 브랜드 이모티콘 발전 전략을 위해 카카오톡 채널과 브랜드 이모티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23년 하반기 출시된 글로벌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이모티콘 주요 사례의 디자인 특성과 감정표현을 조사한 후, 브랜드 이모티콘의 소비자 만족 요인을 찾기 위해 20대 소비자의 카카오톡 이모티콘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브랜드 이모티콘에 대한 소비자 만족 요인과 호감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이모티콘의 5가지 사용자 만족 요인인 심미성, 유희성, 명확성, 유용성, 동질성에 대한 선호도 평균 점수와 이모티콘 호감도 순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브랜드가 마케팅을 위해 브랜드 이모티콘을 개발할 때 소비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감정표현 영역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문구와 말투, 상황들을 반영하여 소비자 만족 요인을 만족시키는 이모티콘을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호감도를 높이고 이모티콘의 사용 빈도를 높이는 것이 브랜드 호감도를 높이는 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With the growing significance of digital marketing in the mobile space, businesses are leveraging KakaoTalk channels to enhance branding and personalized marketing efforts. A key strategy involves crafting free emoticons that embody the brand, using these to attract subscribers to the brand's KakaoTalk channel via giveaways. Consequently, to ensure KakaoTalk brand emoticons serve as an efficient tool for bolstering corporate branding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it's crucial to explore the elements of user satisfaction that these brand emoticons need to embody.
      Methods Within the ambit of theoretical scrutiny, this dissertation delves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 and historical progression of emoticons, alongside the theory of emotional expression. It further examines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KakaoTalk channels and brand emoticons as a strategic approach for the advancement of brand emoticons. Follow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design attributes and emotional conveyance of brand emoticons launched by global fashion entities in the latter half of 2023, a methodical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to elucidate factors contributing to consumer satisfaction with brand emoticons. This study researches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the predilection towards brand emoticons.
      Result The mean ratings for aesthetics, playfulness, clarity, usefulness, and congruity, identified as the quintessential elements of user satisfaction with brand emoticons, exhibited a discernible correlation with the hierarchical preferences of emoticons' appeal.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ccurately identifying emotional expression areas frequently used by consumers in the development of emoticon brands for marketing purposes and creating emoticons that meet consumer satisfaction standards by integrating specific phrases, language expressions, and scenarios that express subtle emotions well can help increase consumer friendliness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of emoticons.
      번역하기

      Background With the growing significance of digital marketing in the mobile space, businesses are leveraging KakaoTalk channels to enhance branding and personalized marketing efforts. A key strategy involves crafting free emoticons that embody the bra...

      Background With the growing significance of digital marketing in the mobile space, businesses are leveraging KakaoTalk channels to enhance branding and personalized marketing efforts. A key strategy involves crafting free emoticons that embody the brand, using these to attract subscribers to the brand's KakaoTalk channel via giveaways. Consequently, to ensure KakaoTalk brand emoticons serve as an efficient tool for bolstering corporate branding through visual communication, it's crucial to explore the elements of user satisfaction that these brand emoticons need to embody.
      Methods Within the ambit of theoretical scrutiny, this dissertation delves into the conceptual foundation and historical progression of emoticons, alongside the theory of emotional expression. It further examines the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KakaoTalk channels and brand emoticons as a strategic approach for the advancement of brand emoticons. Follow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design attributes and emotional conveyance of brand emoticons launched by global fashion entities in the latter half of 2023, a methodical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to elucidate factors contributing to consumer satisfaction with brand emoticons. This study researches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the predilection towards brand emoticons.
      Result The mean ratings for aesthetics, playfulness, clarity, usefulness, and congruity, identified as the quintessential elements of user satisfaction with brand emoticons, exhibited a discernible correlation with the hierarchical preferences of emoticons' appeal.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ccurately identifying emotional expression areas frequently used by consumers in the development of emoticon brands for marketing purposes and creating emoticons that meet consumer satisfaction standards by integrating specific phrases, language expressions, and scenarios that express subtle emotions well can help increase consumer friendliness and increase the frequency of use of emotic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