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빙 라이프 스타일 숍 브랜드의 매장 체험요소 사례분석과 소비자들의 매장이용행태, 제품구매동기, 매장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A Case Study on Living Lifestyle Shop Brands focusing on Store Experiential Factors and an Empirical Study on Store Usage Behavior, Product Purchase Motives, Store Attitudes of Living Lifestyle Shop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8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tention to living lifestyle shops covering with the wide product range including household items, interior decoration, and bedding have recently increased since consumers have been improving their standard of living and income levels and they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up-to-date trends of global living life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market situation of living lifestyle shops using the case study method and second, to investigate consumer's store usage behavior, product purchase motives, and attitudes to the living lifestyle shops using the empirical study method. For an empirical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s to 50s female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living lifestyle shops and a total of 227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visit store was MUJI and most of respondents tended to visit the store once a month and their interest and purchase items were household items. Only impulsive purchase motives among other motives of living lifestyle shops, such as others-oriented, situational, and reasonable motives,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store attitudes toward living lifestyle shops. There were differences in purchasing items at living lifestyle shops depending on marriage status and occupation. Purchase motives of living lifestyle products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marriage status and income level, however store attitudes were not.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living lifestyle shops are discussed limitations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번역하기

      Attention to living lifestyle shops covering with the wide product range including household items, interior decoration, and bedding have recently increased since consumers have been improving their standard of living and income levels and they are ge...

      Attention to living lifestyle shops covering with the wide product range including household items, interior decoration, and bedding have recently increased since consumers have been improving their standard of living and income levels and they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up-to-date trends of global living lifesty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analyze the market situation of living lifestyle shops using the case study method and second, to investigate consumer's store usage behavior, product purchase motives, and attitudes to the living lifestyle shops using the empirical study method. For an empirical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s to 50s female respondents who have visited living lifestyle shops and a total of 227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st frequently visit store was MUJI and most of respondents tended to visit the store once a month and their interest and purchase items were household items. Only impulsive purchase motives among other motives of living lifestyle shops, such as others-oriented, situational, and reasonable motives, significantly had a positive effect on store attitudes toward living lifestyle shops. There were differences in purchasing items at living lifestyle shops depending on marriage status and occupation. Purchase motives of living lifestyle products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marriage status and income level, however store attitudes were not.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living lifestyle shops are discussed limitations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우,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와 매장 내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25-39, 2011

      2 노용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제품과 매장특성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1인가구와 다인구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4 (34): 17-29, 2016

      3 김소진, "패션 브랜드의 업태 확장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 라이프스타일 숍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51-168, 2015

      4 최윤경, "토탈 인테리어 샵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브랜드와의 차별화 전략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5

      5 신상무,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브랜드 홍보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4 (34): 242-251, 2010

      6 고은별,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 Ikea, 무인양품, Kosney의 VMD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9-37, 2009

      7 우예슬,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SPA브랜드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명동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23-132, 2012

      8 김이석, "체험 마케팅을 통한 디자인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Starbucks coffee Korea)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영미, "직장여성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구매동기와 제품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11 (11): 193-207, 2003

      10 안광호,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2 (12): 137-164, 2011

      1 김정우, "플래그십 스토어의 VMD와 매장 내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1 (11): 25-39, 2011

      2 노용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의 제품과 매장특성이 매력에 미치는 영향: 1인가구와 다인구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34 (34): 17-29, 2016

      3 김소진, "패션 브랜드의 업태 확장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및 구매의도 - 라이프스타일 숍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 (21): 151-168, 2015

      4 최윤경, "토탈 인테리어 샵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브랜드와의 차별화 전략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5

      5 신상무,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브랜드 홍보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4 (34): 242-251, 2010

      6 고은별,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 Ikea, 무인양품, Kosney의 VMD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9-37, 2009

      7 우예슬,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SPA브랜드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명동 플래그쉽 스토어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23-132, 2012

      8 김이석, "체험 마케팅을 통한 디자인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스타벅스 커피 코리아(Starbucks coffee Korea)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9 이영미, "직장여성의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구매동기와 제품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11 (11): 193-207, 2003

      10 안광호, "지각된 쇼핑가치차원이 점포태도, 쇼핑과정에서의 정서적 경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12 (12): 137-164, 2011

      11 추미애, "점포 혼잡성이 점포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동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965-972, 2014

      12 김기옥,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구매동기 척도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71-82, 2006

      13 문희강, "의류브랜드의 체험마케팅활동에 대한 지각이 소비자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 10 (10): 181-190, 2008

      14 이민경, "의류 브랜드 로고마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3 (13): 833-843, 2005

      15 최수경, "여고생의 운동화 추구혜택이 구매동기와 구매평가기준 및 구매정보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9 (19): 15-25, 2017

      16 김은정, "소비자의 헤어미용서비스 구매동기와 구매성향과의 관계" 산업경제연구소 1 (1): 119-132, 2009

      17 이지연, "백화점의 브랜드 개성이 점포태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6 (36): 677-689, 2012

      18 박성연, "매장 내 감각적 체험이 매장태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과 만족의 매개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1 (11): 1-13, 2006

      19 우승현, "라이프스타일 숍의 체험 요소가 스토어 아이덴티티, 쇼핑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40 (40): 685-700, 2016

      20 황지현, "라이프스타일 샵(life-style shop) 내부와 외부의 감각체험 요소가 소비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473-485, 2014

      21 이은아, "라이프스타일 샵 소비자의 소비가치가 점포 선택기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8) : 195-206, 2015

      22 김소희, "도시형 소형주택의 실내코디네이션 요소 선호 분석 - 골드세대(골드미스, 골드미스터) 수요자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264-271, 2012

      23 박은주, "노년기 여성들의 의복구매동기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대한가정학회 44 (44): 61-69, 2006

      24 Kim, S. J., "Why do lifestyle shops come to blue ocean?"

      25 Won, H. J., "What kind of consumption do you want"

      26 Kim, S. M, "The retailer fights for the "lifestyle" market preemptive"

      27 Huh, J., "The impacts of in-store sensory experience on the emotional reaction, store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28 (28): 71-95, 2010

      28 Kim, E. Y., "The bedclothes than clothes ... Fashion lover 20 ~ 30s living room group 13 Home living market opened"

      29 Yoo, C., "Structural analysis to store characteristics, in-store emotions and shopping behavior" 12 (12): 1-27, 1997

      30 "Stable Value Consumption"

      31 Yoo, D. G., "Promotion strategy" Sunilmunhwasa 1983

      32 박용민, "POP광고가 커피전문점 고객의 충동구매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 11 (11): 79-88, 2015

      33 Kang, S. S., "New fashion industry ‘Lifestyle Shop’"

      34 Thang, D., "Linking consumer perception to preference of retail stores :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multiattributes of store image" 10 (10): 193-200, 2003

      35 Na, J. H., "Lifestyle business, the future is right"

      36 Schmitt, B. H., "Experiential marketing" Sejong Book 2002

      37 Park, S., "Effect of in-store experience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23 (23): 69-93, 2005

      38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39 Kotler, P., "Atmospherics as a marketing tool" 49 (49): 48-64, 1973

      40 Lee, S. J., "A study on the promotion design for living brand :Focused on the case of IKEA"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5

      41 Choi, M., "A study on the bedding display space of the lifestyle shop" 42 : 31-38, 2016

      42 Lee, J. S., "A study on cultural space 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life-style shop-Focused on the strategy of the consumer customized bookstore" Hongik University 2017

      43 Kim, S. K.,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depending on the self-perception and social activity of new elderly generation women" Ewha Womans University 2006

      44 Kim, Y. A., "A study on VMD strategy of the life article specialty shop : Focused on VMD type of proposal of life style" 29 : 211-219, 2001

      45 Kim, J. H.,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pace composition in fashion retail-shop: Focusing on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s brand flagship-shop" Kookmin University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 The Society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KCI등재
      2012-1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의류산업학회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9 0.81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