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전문가 김충영의) 수원과 세계유산 화성 이야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7053765

      • 저자
      • 발행사항

        의왕 : 글을읽다, 2024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57 판사항(6)

      • DDC

        951.95 판사항(23)

      • ISBN

        9788993587340 03530: ₩38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도시전문가 김충영의) 수원과 세계유산 화성 이야기 / 지은이: 김충영

      • 형태사항

        487 p. : 천연색삽화 ; 24 cm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미래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천대학교 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추천사 / 김갑동 ; 김동욱 ; 김봉식 = 5
      • 머리말 = 8
      • 01 수원과의 인연 = 15
      • 1. 수원 첫나들이 = 16
      • 목차
      • 추천사 / 김갑동 ; 김동욱 ; 김봉식 = 5
      • 머리말 = 8
      • 01 수원과의 인연 = 15
      • 1. 수원 첫나들이 = 16
      • 2. 제발 농사꾼은 되지 마라 = 18
      • 3. 우연한 만남으로 시작된 공직 = 23
      • 4. 세계문화유산 화성과의 만남 = 26
      • 5. 화성사업소 설립 = 29
      • 6. 화성운영재단의 탄생 = 33
      • 7. 화성 낙성연 = 39
      • 8. 수원화성 도시ㆍ건축대전 = 42
      • 9. 생태교통 2013은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행사였다 = 48
      • 10. 수원화성의 역사는 도도히 이어진다 = 52
      • 02 수원이 기억해야 할 사람들 = 59
      • 1. 윤한흠 그림은 화성 복원 밑그림 = 60
      • 2. 이병희의 수원화성 복원 = 64
      • 3. 심재덕의 수원 사랑 = 68
      • 4. 심재덕 문화원장의 화성행궁 복원 = 74
      • 5. 화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 79
      • 6. 화성 복원의 숨은 일꾼, 임수복 = 84
      • 7. 김동욱 "수원화성은 나의 시작이자 마침표" = 87
      • 8. 아쉽다! 심재덕의 못 이룬 꿈 = 90
      • 9. 팔달산 터널의 백지화 = 93
      • 10. 되살아난 수원천 = 98
      • 11. 수원천 복개 중단은 역사의 복원 = 102
      • 12. 수원천 복개 중단 발표문 = 106
      • 13. 다시 불붙은 수원천 복개 논쟁 = 110
      • 14. 남수문 복원 = 115
      • 15. 수원이 화장실 메카가 된 이야기 = 119
      • 03 효원의 도시, 수원 = 125
      • 1. 수원은 효원의 도시 = 126
      • 2. 영국 최초 전원도시보다 114년 앞선 '신도시 화성' = 129
      • 3. 수원 공원 이야기 = 134
      • 4. 올림픽공원 = 138
      • 5. 효원공원 = 142
      • 6. 청소년문화공원 = 147
      • 7. 만석공원 = 153
      • 8. 여기산ㆍ서호공원 = 158
      • 9. 숙지공원 = 163
      • 10. 수원의 시목(市木), 소나무 = 167
      • 04 수원의 길 = 173
      • 1. 모든 길은 한양으로 통했다 = 174
      • 2. 원행길 시흥로의 건설 = 178
      • 3. 경수산업도로 확장이 무산된 사연 = 183
      • 4. 서부우회도로는 삼성 이병철에서 비롯됐다 = 189
      • 5. 덕영대로와 북수원 쪼개기 개발 = 194
      • 6. 나혜석거리 = 199
      • 05 수원의 도시계획 = 205
      • 1. 도시발전은 도시계획으로부터 = 206
      • 2. 수원시의 발전은 제2기 도시계획에서 시작됐다 = 211
      • 3. 50년 넘은 수원의 그린벨트 = 215
      • 4. 1970년대의 성장 억제 도시계획 = 219
      • 5. 수원의 제3기 도시계획은 10ㆍ26사태가 제공했다 = 223
      • 6. 제3기 수원 도시계획 중점사업은 동수원 개발 = 229
      • 7. 동수원 신시가지는 택지개발사업으로 완성 = 233
      • 8. 수원의 정체성 지키지 못한 북수원 개발 = 238
      • 9. 서수원 개발 = 242
      • 06 나와 화성사업 = 249
      • 1. 화성행궁 광장 1 = 250
      • 2. 화성행궁 광장 2 = 254
      • 3. 화성행궁 광장 3 = 257
      • 4. 화성열차 제작 1 = 260
      • 5. 화성열차 제작 2 = 263
      • 6. 여민각의 탄생 1 = 266
      • 7. 여민각의 탄생 2 = 271
      • 8. 화성 성신사의 복원 1 = 275
      • 9. 화성 성신사의 복원 2 = 278
      • 10. 화서공원 조성 1 = 283
      • 11. 화서공원 조성 2 = 288
      • 12. 장안문 성곽잇기 = 292
      • 07 수원화성의 숨은 이야기 = 297
      • 1. 팔달산의 원래 이름은 '탑산(塔山)' = 298
      • 2. 지금의 서장대(화성장대)는 다섯 번째 건물 = 301
      • 3. 서장대 현판은 정조대왕 친필 = 305
      • 4. 화성행궁 현판 = 308
      • 5. 장안문 현판 글씨 누가 썼나? = 314
      • 6. 수원(水原)은 '물의 근원지'인가, '물 벌'인가? = 318
      • 7.「화성기적비문」은 수원화성의 핵심 필독서 = 322
      • 8. '화성 주변 재개발사업' 무산 = 327
      • 9. 서장대는 수원의 등대 = 332
      • 10. 화성행궁 오래된 느티나무는 신목(神木) = 335
      • 11. 화성행궁 후원은 사색하기 좋은 곳 = 339
      • 08 수원의 시ㆍ구청사와 박물관ㆍ아트센터 이야기 = 345
      • 1. 수원시청사 = 346
      • 2. 장안구청사 = 350
      • 3. 권선구청사 = 354
      • 4. 팔달구청사 = 358
      • 5. 영통구청사 = 361
      • 6. 사연 많은 경기아트센터 건립 = 365
      • 7. 화성박물관 건립 = 370
      • 09 근ㆍ현대 수원의 변화 = 375
      • 1. 수원화성은 천주교도 순교 성지 = 376
      • 2. 수원화성 곳곳에서 천주교 신자 처형 = 380
      • 3. 수원화성에서 천주교 신자 83인 순교 = 385
      • 4.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수원의 교육 = 390
      • 5. 8ㆍ15해방부터 현재까지 수원의 교육 = 396
      • 6. 경기도청 유치는 수원 상권 확장의 계기 = 399
      • 7. 50년 전 수원 이야기 1 = 403
      • 8. 50년 전 수원 이야기 2 = 409
      • 10 남기고 싶은 이야기 = 415
      • 1.『수원의 옛 지도』만들기 = 416
      • 2.『수원시 도시계획 200년사』편찬 = 421
      • 3. 원천유원지 추억 = 425
      • 4. 광교의 영예와 애환 = 430
      • 5. 광교저수지 = 435
      • 6. 수원시 도로명 주소 사업 = 440
      • 7. 행궁동 레지던시는 문화마을의 초석 = 445
      • 8. 오늘의 자료는 역사가 된다 = 452
      • 9. 중고 자동차 메카가 된 수원 = 456
      • 10. 수원 민자역사는 현대백화점이 될 뻔했다 = 460
      • 11. 행궁동의 한옥은 왜 사라졌을까? = 465
      • 12. 비경, 성벽과 어우러진 억새밭 = 469
      • 11 수원화성을 만든 사람들 = 473
      • 1. 화성 건설은 특별기구 '화성성역소'가 담당했다 = 474
      • 2. 화성을 만든 장인들 = 479
      • 3. 화성 만든 이들을 기린다 = 484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수원과 세계유산 화성 이야기

      판매중 38,000원 38,000원 (0%)

      종이책 구매

      0포인트 (0%)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수원과 세계유산 화성 이야기 (도시전문가 김충영의)

      경기도 도청소재지인 수원(水原)은 화성(華城)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문화도시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크게 파괴됐던 화성은 1996년 축성 2백주년을 맞아 그 역사성이 재조명되면서 무너진 성곽과 헐린 화성행궁을 다시 복원하자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했고, 그 이듬해인 1997년에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면서 복원사업이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화성 복원의 중심인물은 수원문화원장 출신인 수원시장 심재덕이었고 심재덕의 의지를 실무에서 구현해낸 이가 이 책의 저자다. 수원시 공무원으로 사회의 첫발을 디딘 저자는 화성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는 수원시 구내방송을 듣는 순간, 화성이 자신을 부르는 소리라고 느꼈다. 그다음 날 화성을 한 바퀴 답사하면서 관리상태가 엉망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저자는 화성을 복원하려면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뜻있는 이들을 모아 답사 모임 ‘화성연구회’를 만들었다. 저자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1년간 화성 업무를 담당해 오늘날 화성이 만들어지는 기초를 ...

      more

      저자소개

      자료제공 : YES24.COM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