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과대학 학생들의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The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General English: Focusing on College of Enginee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5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general English programs at the college level. Total 166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engineering majors including Architecture, Mechanical, Urban, Smart Automotive, Electronic Engineering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one year of general English programs. Th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the purpose of taking the class,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suggestion for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survey’s categories, students’ majors to verify the differences within majors and classes which were Academic reading conducted by Korean professors and English conversation conduct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Overall statistic result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majors. However, the satisfaction for Academic reading was slightly higher than English conversation because students were still afraid of speaking English with a foreigner. The results showed students preferred to have Korean professors in general English classroom but did not agree with expanding class hours. The studen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variety of class subject in general English programs including the classes that helped to raise the TOEIC or other tests’ scores. Also the university needed to reform the general English program in the way that the participant can develop their English skill to actively participate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general English programs at the college level. Total 166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engineering majors including Architecture, Mechanical, Urban, Smart Automotive, 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general English programs at the college level. Total 166 students from five different engineering majors including Architecture, Mechanical, Urban, Smart Automotive, Electronic Engineering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one year of general English programs. Th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the purpose of taking the class,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the class and suggestion for improve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survey’s categories, students’ majors to verify the differences within majors and classes which were Academic reading conducted by Korean professors and English conversation conducted by Native English speakers. Overall statistic result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he majors. However, the satisfaction for Academic reading was slightly higher than English conversation because students were still afraid of speaking English with a foreigner. The results showed students preferred to have Korean professors in general English classroom but did not agree with expanding class hours. The studen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variety of class subject in general English programs including the classes that helped to raise the TOEIC or other tests’ scores. Also the university needed to reform the general English program in the way that the participant can develop their English skill to actively participate in English conversation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 A대학의 창의공과대학의 다섯 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양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개 학과의 166명의 학생들이 본 설문에 참여 하였으며, 설문지는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 교양영어 수강동기,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 교양영어 수업의 개선점의 항목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수강 동기에 전공별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수업의 만족도 및 태도는 교양영어 수업별 차이와 전공별 차이가 있는지, 전공별 제안하는 교양영어 개선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따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모든 전공에서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동기는 필수 학점이기 때문이라는 답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또한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수강한다는 문항도 비교적 높게 나왔다. 또한 필수학점임에도 불구하고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교양영어 수업중 원어민 교수가 진행하는 영어회화 수업보다 한국인 교수가 진행하는 대학영어 수업의 만족도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전공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개선점으로는 다양한 교양영어 수업이 필요하며, 교양영어 수업 교수진으로는 많은 학생들이 한국인 교수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효과적인 교양영어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이 개설되어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이 다양화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영어회화 수강에 앞서 기초영어 학습이 선행된 후 수강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지방 A대학의 창의공과대학의 다섯 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양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개 학과의 166명의 학생들이...

      지방 A대학의 창의공과대학의 다섯 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양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개 학과의 166명의 학생들이 본 설문에 참여 하였으며, 설문지는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 교양영어 수강동기, 교양영어 수업 만족도,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태도, 교양영어 수업의 개선점의 항목으로 이루어 져 있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수강 동기에 전공별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수업의 만족도 및 태도는 교양영어 수업별 차이와 전공별 차이가 있는지, 전공별 제안하는 교양영어 개선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따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모든 전공에서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동기는 필수 학점이기 때문이라는 답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또한 자신의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수강한다는 문항도 비교적 높게 나왔다. 또한 필수학점임에도 불구하고 교양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교양영어 수업중 원어민 교수가 진행하는 영어회화 수업보다 한국인 교수가 진행하는 대학영어 수업의 만족도가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전공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개선점으로는 다양한 교양영어 수업이 필요하며, 교양영어 수업 교수진으로는 많은 학생들이 한국인 교수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효과적인 교양영어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업이 개설되어 학생들의 수업 선택권이 다양화 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영어회화 수강에 앞서 기초영어 학습이 선행된 후 수강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경 ; 한수미, "플립드러닝 기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 효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01-127, 2021

      2 이영주, "일반영어와 실용영어의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3 (13): 153-174, 2014

      3 방영주, "영어능력 인증제, 능력별 교과과정, 그리고 대학 교양영어 교육: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고찰"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9 (9): 193-211, 2004

      4 강순희 ; 이현주 ; 서혁 ; 신상근 ; 이종원 ; 최진영, "사범대학 영어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교과교육연구소 11 (11): 637-656, 2007

      5 정동수, "대학의 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연구" 56 (56): 265-292, 2001

      6 성명희, "대학영어 인증제 고찰 및 제안" 4 (4): 97-111, 2005

      7 이정복, "대학 영어교육 개선 방안" 31 : 441-459, 2009

      8 박찬규, "대학 교양영어의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 효과 및 운영 결과 분석"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4 (54): 231-256, 2012

      9 박부남 ; 정혜옥, "대학 교양영어 확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집중 영어 프로그램" 21세기영어영문학회 22 (22): 285-309, 2009

      10 박지영,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조별활동에서 학업 수준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6 (26): 21-40, 2019

      1 김혜경 ; 한수미, "플립드러닝 기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 효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01-127, 2021

      2 이영주, "일반영어와 실용영어의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3 (13): 153-174, 2014

      3 방영주, "영어능력 인증제, 능력별 교과과정, 그리고 대학 교양영어 교육: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한 고찰"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9 (9): 193-211, 2004

      4 강순희 ; 이현주 ; 서혁 ; 신상근 ; 이종원 ; 최진영, "사범대학 영어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교과교육연구소 11 (11): 637-656, 2007

      5 정동수, "대학의 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연구" 56 (56): 265-292, 2001

      6 성명희, "대학영어 인증제 고찰 및 제안" 4 (4): 97-111, 2005

      7 이정복, "대학 영어교육 개선 방안" 31 : 441-459, 2009

      8 박찬규, "대학 교양영어의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 효과 및 운영 결과 분석"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54 (54): 231-256, 2012

      9 박부남 ; 정혜옥, "대학 교양영어 확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집중 영어 프로그램" 21세기영어영문학회 22 (22): 285-309, 2009

      10 박지영,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조별활동에서 학업 수준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6 (26): 21-40, 2019

      11 김용석,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거꾸로 수업(flipped class) 교수법 적용 후 정서적 경험, 학업성취도와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의 효과"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2 (22): 227-254, 2015

      12 윤유진,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효과 -학생의 영어성취도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47) : 331-353, 2018

      13 하명애,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9 (9): 269-299, 2010

      14 양윤정, "대학 교양영어 교육과정에 실용영어 도입효과" 미래영어영문학회 25 (25): 245-266, 2020

      15 이예식 ; 임홍미,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257-276, 2005

      16 김미영, "교양영어 및 팀티칭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인문학연구소 74 : 105-126, 2013

      17 정양수, "교양영어 교재와 영어 학술단어의 지도 방안" 한국현대언어학회 24 (24): 169-19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97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