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청대 ≪사기≫가 문장 창작의 전범으로 정립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것이 실제 문인들의 문장 창작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따라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45876
김희경 (원광대학교)
2022
Korean
청대 ; ≪사기≫ ; ≪사기≫평점 ; 고전 ; 정전 ; 정전화 ; 방포 ; 의법론 ; 동성파 ; Qing Dynasty ; Shiji ; Comments on Shiji ; Classic ; Canon ; Canonization ; Fang Bao ; Yi-Fa Theory ; Tongcheng School
KCI등재
학술저널
221-251(3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청대 ≪사기≫가 문장 창작의 전범으로 정립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것이 실제 문인들의 문장 창작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따라서 ...
본 논문은 청대 ≪사기≫가 문장 창작의 전범으로 정립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것이 실제 문인들의 문장 창작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따라서 이미 오랜 세월 ‘고전(Classic)’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왔던 ≪사기≫를 ‘정전(Canon)’ 또는 ‘정전화(Canonization)’의 측면에서 논의함으로써,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청대 ≪사기≫의 문학적 가치를 재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청대라는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사기≫가 문장 창작의 모범으로서 그 위상이 확고히 정립되었고, 그 과정에서 당시 청 왕조의 문화 정책에 따라 사상의 통제와 문장 창작의 규범화가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동성파의 시조라 일컬어지는 방포의 역할에 주목하여, 먼저 방포의 ≪사기≫ 평점과 ≪사기≫ 관련 문장들을 통해 방포의 ≪사기≫ 인식을 살펴보고, 방포가 창작한 문장들을 분석하여 ≪사기≫에서 비롯한 문장 이론인 의법론이 실제 문장 창작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방포가 ≪사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장 이론을 만들고 이를 실제 창작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실천적으로 ≪사기≫를 계승하였고, 이후 동성파 문인들의 문장 이론 및 창작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사기≫가 청대 문장 창작의 전범으로 ‘정전화’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규명해 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2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2001
3 심경호, "한문 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 일본 문학의 정전 형성과 근대 그리고 젠더" 소명출판 2002
5 벤저민 엘먼,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예문서원 2004
6 고규진, "문학정전"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7 방포, "동성파 산문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9
8 양녠췬, "강남은 어디인가 :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 글항아리 2015
9 黃肇基, "鑒奧與圓照―方苞林紓的<左傳>評點" 允晨文化 2008
10 周振甫, "錢鍾書談藝錄讀本" 上海敎育出版社 1992
2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문화사 2001
3 심경호, "한문 산문의 미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4 하루오 시라네, "창조된 고전 : 일본 문학의 정전 형성과 근대 그리고 젠더" 소명출판 2002
5 벤저민 엘먼,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예문서원 2004
6 고규진, "문학정전"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7 방포, "동성파 산문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9
8 양녠췬, "강남은 어디인가 :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 글항아리 2015
9 黃肇基, "鑒奧與圓照―方苞林紓的<左傳>評點" 允晨文化 2008
10 周振甫, "錢鍾書談藝錄讀本" 上海敎育出版社 1992
11 譚軍武, "論經典 ― 對一個文學概念的問題式考察" 南京大學 2014
12 許福吉, "義法與經世―方苞及其文學研究" 學林出版社 2001
13 王建農, "清代傳記文學論 — 以顧炎武、方苞、曾國藩、沈復爲個案" 21 (21): 2005
14 趙向南, "淸初十作家傳記文硏究" 蘇州大學 2002
15 王志華, "淸初≪史記≫流播視野下的方苞≪史記≫學硏究" 15 (15): 2016
16 張高評, "淸代經學國際硏討會論文集" 中央硏究院 中國文哲硏究所 1994
17 邱詩雯, "淸代桐城派≪史記≫學硏究" 臺灣成功大學 2014
18 김희경, "淸代官修古文選集의 變遷과 그 정치적⋅문학적 의의 연구 ― 韓愈의 位相提高와 그 의미를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100) : 49-77, 2020
19 兪樟華, "淸代傳記硏究" 上海三聯書店 2013
20 王曉玲, "淸代≪史記≫文學闡釋論稿" 陝西師範大學 2012
21 歸有光, "歸方評點史記"
22 백광준, "桐城派의 講學 傳統" 영남중국어문학회 (45) : 413-436, 2005
23 백광준, "桐城派의 成立과 志向, 그리고 八股文- 八股文을 文化的 環境으로 바라보기 위한 提言" 한국중국어문학회 42 : 107-124, 2004
24 禹秀明, "桐城派古文理論與≪史記≫" 西南大學 2004
25 馮麗君, "桐城四祖與≪史記≫" 浙江師範大學 2004
26 張高評, "春秋書法與左傳學史" 五南圖書出版公司 2001
27 최석원, "明代 詩選集을 통해 본 唐詩에 대한 지식의 창출과 수용" 한국중국어문학회 96 : 107-125, 2018
28 김희경, "方苞의 散文 批評 硏究―실제 비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29 方苞, "方苞集" 上海古籍出版社 1983
30 廖素卿, "方苞詩文研究" 臺灣中國文化大學 1992
31 劉 暢, "方苞散傳的敍事特點探微" 38 (38): 2018
32 何昶熠, "方苞≪左傳義法舉要≫ㆍ≪史記評語≫“義法”研究" 陝西師範大學 2017
33 方苞, "方望溪遺集" 黃山書社 1990
34 方苞, "方望溪先生全集" 臺灣商務印書館 1968
35 吳納, "文章辯體序說ㆍ文體明辯序說" 人民文學出版社 1998
36 劉勰, "文心雕龍義證" 上海古籍出版社 2013
37 馮永敏, "散文鑑賞藝術探微" 文史哲出版社 1998
38 許海月, "從宋明清古文選本看≪史記≫的文學經典化" 陝西師範大學 2018
39 張金梅, "從“≪春秋≫義法”到“義法批評”: 中國散文批評的發展歷程及其基本內涵" 33 (33): 2012
40 王世貞, "弇州續稿"
41 方苞, "左傳義法" 廣文書局 1978
42 김준연, "唐詩 名篇의 正典化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중국어문학회 85 : 1-27, 2015
43 兪樟華, "史記藝術論" 華文出版社 2002
44 司馬遷, "史記" 中華書局 2013
45 박경남, "古典과 正典 개념의 분리 재정립을 위한 提言 -『大學』의 古典化와 正典化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51) : 11-49, 2015
46 錢基博, "中國文學史" 中華書局 1993
47 周明, "中國古代散文藝術" 江蘇教育出版社 1994
48 韓兆琦, "中國傳記文學史" 河北敎育出版社 1992
49 王基倫, "≪春秋≫筆法與桐城三祖方苞、劉大櫆、姚鼐的古文創作" (51) : 2012
50 張新科, "≪史記≫文學經典的建構過程及其意義" (5) : 2012
51 張新科, "≪史記≫文學經典化的重要途徑 — 以明代評點爲例" (3) : 2014
1920년대 <산송장>의 번역과 공연에 관한 연구 - 토월회 <산송장> 공연 상황을 중심으로
오장환 시의 보여주기 기법과 현실 대응 방식 - 산문시와 숨은 화자를 중심으로
웹툰 「미생」과 드라마 <미생>의 서사담론(narrative discourse) 분석을 통한 세계관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2 | 0.32 | 0.597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