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퇴옹 성철의『百日法門』 연구-불생불멸의 함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oeong Seongcheol's 『The Buddhist writings one hundred days』-With the implications of immort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0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7년 12월 4일부터-1968년 2월 18일 까지 합천 해인사에서는 총림의 방장에 추대된 퇴옹 성철 대종사(1912-1993)의 백일법문이 개최되었다. 백일법문은 한국 불교의 방대한 사상을 총망라한 결집의 장(場)이었다. 퇴옹은 출가 이후 장좌불와와 봉은사 결사를 단행하는 등 구도를 지향하는 선(禪)수행 중심의 불교개혁을 꽤하고 통합과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그는 수행적 관점에서 지눌이 제창한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단박에 깨침을 강조하는 돈오돈수를 주장하여 불교계의 논쟁을 일으킨바 있다. 이러한 퇴옹의 사상은 법문에서도 그 진의가 드러난다.
      퇴옹은 과학이론을 수용하여 모든 존재(自性)는 연기적 조건에 따라 형성, 소멸된다는 자성의 성질을 강조하고 색과 공에 치우치지 않는 참된 깨달음인 ‘중도’를 강조하였으며, 불생불멸이며 불구부정, 부증불감이라는 진리를 통해 진여의 실상이 상주불멸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같은 인식은 중도의 참된 의미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이는 고전역학이 질량과 에너지를 분리한 것을 정설로 여겼으나 아인슈타인이 ‘질량과 에너지가 동등하다’는 등가원리를 발견하고 기존의 학설을 재정립한 것처럼 현대과학의 원형을 가져와 인식의 틀을 전환하고 불교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과정이며, 불교에 담긴 불생불멸이 과학을 통해 비로소 해명되었다는 확철대오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67년 12월 4일부터-1968년 2월 18일 까지 합천 해인사에서는 총림의 방장에 추대된 퇴옹 성철 대종사(1912-1993)의 백일법문이 개최되었다. 백일법문은 한국 불교의 방대한 사상을 총망라한 결집...

      1967년 12월 4일부터-1968년 2월 18일 까지 합천 해인사에서는 총림의 방장에 추대된 퇴옹 성철 대종사(1912-1993)의 백일법문이 개최되었다. 백일법문은 한국 불교의 방대한 사상을 총망라한 결집의 장(場)이었다. 퇴옹은 출가 이후 장좌불와와 봉은사 결사를 단행하는 등 구도를 지향하는 선(禪)수행 중심의 불교개혁을 꽤하고 통합과 내실을 기하고자 하였다. 그는 수행적 관점에서 지눌이 제창한 돈오점수를 비판하고 단박에 깨침을 강조하는 돈오돈수를 주장하여 불교계의 논쟁을 일으킨바 있다. 이러한 퇴옹의 사상은 법문에서도 그 진의가 드러난다.
      퇴옹은 과학이론을 수용하여 모든 존재(自性)는 연기적 조건에 따라 형성, 소멸된다는 자성의 성질을 강조하고 색과 공에 치우치지 않는 참된 깨달음인 ‘중도’를 강조하였으며, 불생불멸이며 불구부정, 부증불감이라는 진리를 통해 진여의 실상이 상주불멸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같은 인식은 중도의 참된 의미를 대중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한 새로운 인식의 변화로 볼 수 있다.
      이는 고전역학이 질량과 에너지를 분리한 것을 정설로 여겼으나 아인슈타인이 ‘질량과 에너지가 동등하다’는 등가원리를 발견하고 기존의 학설을 재정립한 것처럼 현대과학의 원형을 가져와 인식의 틀을 전환하고 불교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한 과정이며, 불교에 담긴 불생불멸이 과학을 통해 비로소 해명되었다는 확철대오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老子"

      2 이동하, "해방 후 한국불교 총림과 결사의 특징 비교 연구- 해방공간기 총림과 결사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4) : 441-467, 2020

      3 박인석, "퇴옹성철의 선문헌 번역사업의 배경과 의의" 한국선학회 (48) : 69-93, 2017

      4 이병욱, "퇴옹성철의 보조지눌 사상의 비판과 두 사상의 공통점" 보조사상연구원 (56) : 77-112, 2020

      5 서재영, "퇴옹성철(退翁性徹)의 백일법문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학회 (42) : 71-108, 2005

      6 최원섭, "퇴옹 성철의 불서 인용과 유필노트" 불교문화연구원 (90) : 159-183, 2020

      7 박태원, "퇴옹 성철의 돈오돈수론과 선(禪)수행 담론– 선(禪) 수행론의 두 가지 쟁점담론과 관련하여 -" 새한철학회 85 (85): 257-273, 2016

      8 조준호, "초기불교와 퇴옹성철의 중도" 한국불교연구원 (41) : 265-297, 2014

      9 곽철환, "초기불교 이야기" (주)산림출판사 2017

      10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도서출판 중원문화 2009

      1 "老子"

      2 이동하, "해방 후 한국불교 총림과 결사의 특징 비교 연구- 해방공간기 총림과 결사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4) : 441-467, 2020

      3 박인석, "퇴옹성철의 선문헌 번역사업의 배경과 의의" 한국선학회 (48) : 69-93, 2017

      4 이병욱, "퇴옹성철의 보조지눌 사상의 비판과 두 사상의 공통점" 보조사상연구원 (56) : 77-112, 2020

      5 서재영, "퇴옹성철(退翁性徹)의 백일법문에 대한 고찰" 한국불교학회 (42) : 71-108, 2005

      6 최원섭, "퇴옹 성철의 불서 인용과 유필노트" 불교문화연구원 (90) : 159-183, 2020

      7 박태원, "퇴옹 성철의 돈오돈수론과 선(禪)수행 담론– 선(禪) 수행론의 두 가지 쟁점담론과 관련하여 -" 새한철학회 85 (85): 257-273, 2016

      8 조준호, "초기불교와 퇴옹성철의 중도" 한국불교연구원 (41) : 265-297, 2014

      9 곽철환, "초기불교 이야기" (주)산림출판사 2017

      10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도서출판 중원문화 2009

      11 히로세 타치시게, "질량의 기원" 전파과학사 2019

      12 히로세 타치시게, "진공이란 무엇인가(실은텅빈 상태가 아니었다)" 전파과학사 2019

      13 김성철, "중론 개정본" 도서출판 오타쿠 2021

      14 소흥렬, "자연주의적 유신론" 서광사 1992

      15 소광희, "자연존재론" (주)문예출판사 2009

      16 퇴옹 성철, "이 뭐꼬" 도서출판 장경각 2018

      17 신오현, "원효 철학 에세이" (주)믿음사 2003

      18 임정빈, "우주의 비밀과 현대물리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코람미디어 2016

      19 은 명,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은명출판사 2014

      20 퇴옹 성철, "영원한 자유" 도서출판 장경각 2017

      21 이운허, "열반경 1, 2" 동국역경원 2004

      22 김성구,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 불광출판사 2018

      23 미치오 카쿠, "아인슈타인의 우주" 도서출판 승산 2007

      24 이종필, "신의 입자를 찾아서" 도서출판 마티 2015

      25 일 아, "숫따니빠따" 불광출판사 2015

      26 김택근, "성철평전" 모과나무 2017

      27 퇴옹 성철, "성철스님의 돈오입도요문론 강설" 장경각 2015

      28 도대현, "성철선사상" 운주사 2012

      29 프란시스 스토리, "사성제" 고요한소리 2011

      30 우찬툰, "불교-과학시대의 종교" (사)고요한소리 2017

      31 박순달, "불교와 자연과학" 집문당 1992

      32 엠오시 월슈, "불교와 기독교" (사)고요한소리 2020

      33 김성규, "불교속의 과학 과학속의 불교" 우리출판사 2000

      34 고정혜 ; 서왕모, "보조 지눌과 퇴옹 성철의 無心 비교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44) : 327-353, 2020

      35 이운허, "법화경 外" 동국역경원 1997

      36 퇴옹 성철, "백일법문, 하" 도서출판 장격각 2018

      37 퇴옹 성철, "백일법문, 중" 도서출판 장격각 2018

      38 퇴옹 성철, "백일법문, 상" 도서출판 장격각 2018

      39 정병조, "반야심경의 세계" 사단법인 불교연구원 1999

      40 베르너하이젠베르크, "물리학과 철학" 도서출판 온누리 2011

      41 막스플랑크, "물리철학" 전파과학사 2016

      42 최봉수, "마가반야바라밀경 1" 동국역경원 1996

      43 동국역경원, "대반야바라밀다경" 동국역경원 2010

      44 김두재, "능엄경" 민족사 2010

      45 양경은, "뉴턴 시공간의 4차원 해석에서의 실체론과 관계론 간의 논쟁" 한국수학사학회 30 (30): 87-100, 2017

      46 서재영, "근·현대불교에서퇴옹성철의 역할과 백일법문의 위치" 한국선학회 (48) : 5-37, 2017

      47 임진아, "과정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3) : 7-41, 2012

      48 "金剛三昧經"

      49 이중표, "精選 쌍윳따 니까야" 불광출판사 2021

      50 이중표, "精選 디가 니까야" 불광출판사 2019

      51 퇴옹 성철, "禪門正路" 도서출판 장경각 2017

      52 최원섭, "百日法門에 보이는 퇴옹 성철의불교 인식과 근대불교학 활용" 한국불교학회 (75) : 27-53, 2015

      53 박인석, "永明延壽의 無心論과 후대 영향" 한국선학회 (45) : 109-141, 2016

      54 "敦煌本 六祖壇經"

      55 퇴옹 성철, "敦煌本 六祖壇經" 장경각 2002

      56 "摩訶般若波羅蜜經"

      57 "宗鏡錄 (大正藏 48)"

      58 "大般若波羅蜜多經"

      59 "大般涅槃經"

      60 "大涅槃經(大正藏 12)"

      61 "中論"

      62 김경숙, "‘산시산수시수(山是山水是水)’에 대한 출전과 의미 고찰" 한국선학회 (58) : 33-61, 2021

      63 Druyan, Ann, "The Varieties of Scientific Experience A Personal View of the Search for God" Penguin USA 2007

      64 Barnett, Lincoln, "The Universe and Dr. Einstein" Dover Publications 2005

      65 Albert Einstein, "The Principle of Relativity: A Collection of Original Memoirs on the Special and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Dover Publications 1952

      66 Minkowski, Hermann, "Space and Time: Minkowski's Papers on Relativity" Minkowski Institute Press 2012

      67 데이비드 보더니스, "E=MC2" 생각의 나무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