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론학파 회의주의자들의 궁극적 목표는 평안이다. 평안은 고통의 상대개념이고 따라서 회의주의자의 평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고통이 무엇인지 파악되어야 한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80855
박승권 (충북대학교)
2022
Korean
scepticism ; Pyrrhonism ; ataraxia ; 회의주의 ; 피론학파 ; 평안(ataraxia)
KCI등재
학술저널
71-92(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피론학파 회의주의자들의 궁극적 목표는 평안이다. 평안은 고통의 상대개념이고 따라서 회의주의자의 평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고통이 무엇인지 파악되어야 한다...
피론학파 회의주의자들의 궁극적 목표는 평안이다. 평안은 고통의 상대개념이고 따라서 회의주의자의 평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벗어나고자 하는 고통이 무엇인지 파악되어야 한다. 피론학파의 평안과 대비되는 고통은 가치나 실천에 관한 고통(가치-고통)과 불규칙한 사태의 진리를 파악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고통(인식-고통), 그리고 로고스의 대립에 의한 고통(로고스-고통)이 있다. 가치-고통은 어떤 것이 본성적으로 가치있다는 믿음에 의한 고통이므로 이 믿음을 유보함으로써 평안을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인식-고통은 그렇지 않다. 인식-고통은 진리를 발견하지 못했기에 발생하는 고통이므로 진리발견을 통해 해소 해야 한다. 게다가 인식-고통은 탐구를 시작하는 모든 이의 고통이지 피론주의자의 평안과 관련된 고유한 고통이 아니다. 인식-고통을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발견하는 로고스의 대립과 이로 인한 로고스-고통이 회의주의자가 해결하려는 고통이다. 로고스의 대립은 로고스의 진리함축적 성격에 의한 것이므로, 회의주의자는 판단유보를 통해 진리로부터 현상으로 돌아선다. 또한 진리로부터 현상으로 방향을 바꿈으로서 로고스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며, 진리발견의 필수적 성격이 제거되어 인식-고통도 해소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권, "피론학파 회의주의자의 행위에 관한 연구" 범한철학회 100 (100): 161-190, 2021
2 Sextus Empiricus, "피론주의 개요" 지만지 2008
3 박승권, "진리의 기준에 대한 피론학파의 논박 -『피론주의 개요』 2권을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86 (86): 357-386, 2017
4 황설중, "신(新)아카데미학파와 피론주의의 차이에 관하여" 새한철학회 91 (91): 355-384, 2018
5 강철웅, "설득과 비판 : 초기 희랍의 철학 담론 전통" 후마니타스 2016
6 Frede M., "The Orginal Sceptics" Hackett 1980
7 Diogenes Laertius, "The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25
8 Perin C., "The Demands of Reason : An Essay on Pyrrhonian Scepticism" Oxford 2010
9 Grgic F., "Sextus Empiricus on the Goal of Skepticism" 26 (26): 2006
10 Striker G., "Scepticism as a kind of philosophy" 83 (83): 2001
1 박승권, "피론학파 회의주의자의 행위에 관한 연구" 범한철학회 100 (100): 161-190, 2021
2 Sextus Empiricus, "피론주의 개요" 지만지 2008
3 박승권, "진리의 기준에 대한 피론학파의 논박 -『피론주의 개요』 2권을 중심으로-" 범한철학회 86 (86): 357-386, 2017
4 황설중, "신(新)아카데미학파와 피론주의의 차이에 관하여" 새한철학회 91 (91): 355-384, 2018
5 강철웅, "설득과 비판 : 초기 희랍의 철학 담론 전통" 후마니타스 2016
6 Frede M., "The Orginal Sceptics" Hackett 1980
7 Diogenes Laertius, "The Loeb Classical Libra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25
8 Perin C., "The Demands of Reason : An Essay on Pyrrhonian Scepticism" Oxford 2010
9 Grgic F., "Sextus Empiricus on the Goal of Skepticism" 26 (26): 2006
10 Striker G., "Scepticism as a kind of philosophy" 83 (83): 2001
11 Sextus Empiricus, "Pyrrhoneas Hypotyposes. Outlines of Pyrrho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1933
12 Grgic F., "Investigative and Suspensive Scepticism" 22 (22): 2014
13 Striker G., "Essays on Hellenistic Epistemology and 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4 Massie P., "A Companion to Ancient Philosoph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18
퇴옹 성철의『百日法門』 연구-불생불멸의 함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47 | 1.28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