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 ‘Bodies’ of Woman-Animal and Woman-Doll in Lee sang’s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 문학에서 자주 나타나는 초현실적인 변신은 고정적이며 안정된 실체로서의 몸이 아닌, 새롭게 변형되고 생성되는 몸을 형상화하고 있다. 특별히 이상 문학에서 변신이 여성의 몸이라...

      이상 문학에서 자주 나타나는 초현실적인 변신은 고정적이며 안정된 실체로서의 몸이 아닌, 새롭게 변형되고 생성되는 몸을 형상화하고 있다. 특별히 이상 문학에서 변신이 여성의 몸이라는 매개를 통해 형상화된다는 점은 새롭게 주목해 볼만하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변신의 상상력은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형태로 드러난다. ‘동물되기’는 인간됨을 완전히 초월한 변신으로서 여성-동물 가운데 ‘여성-거미’와 ‘여성-새’는 종(種)을 가로지르는 횡단적 사유의 결과물이며 현실로부터의 탈주가 가능한 무성적(無性的)인 그로테스크한 몸들을 형상화한다. 한편 이상 텍스트에서 여성의 몸은 인형 그 가운데서 태엽 인형인 오토마타나 줄이 달린 꼭두각시로 표현되기도 한다. 여성의 신체를 미러링하고 있는 여성-인형의 몸은 여성 인간의 섹슈얼리티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남성주체의 지배욕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여성-인형의 몸에 대한 남성인물의 지배욕망은, 이상 텍스트의 남성 인물들이 지속적으로 탈주를 위한 초월적 변신에의 욕망을 갖고 있지만 그들에게 끝내 포기하기 어려운 인간됨에 대한 집착이 남성성의 형태로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rrealistic metamorphosis frequently shown in Lee sang’s literature, are representing the newly transformed and formed body, instead of a body as an object of knowledge in modern medical science, and a fixed and stabled entity. Especially, it i...

      The surrealistic metamorphosis frequently shown in Lee sang’s literature, are representing the newly transformed and formed body, instead of a body as an object of knowledge in modern medical science, and a fixed and stabled entity. Especially, it is valuable enough to newly pay attention to metamorphosis in Lee sang’s literature as it is represented through the mediation of woman’s body. In Lee sang’s texts, the imagination of metamorphosis through woman’s body is revealed in the form of woman-animal and woman-doll. In case of woman-animal, the woman-spider and woman-bird are the results of cross-sectional thinking that transcends the species, and representing such grotesque bodies that could run away from the reality. Meanwhile, in Lee sang’s texts, woman’s body is sometimes represented as automata which is a controllable clockwork doll or a puppet with strings. This inhuman body similar to human body is composed of inorganic matters, which represents a terrifying body different from animals. Even though the woman-animal and woman-doll mediate the deconstructive thinking that disturbs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in Lee sang’s literature, the body of woman-doll is not free from the male subject’s desire to dominate others, especially, women. The desire to dominate woman’s body represented into doll, shows that the vestige of being humane the male characters or male subjects could not give up to the end is remained as a trace of masculinity in Lee sang’s tex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이상(李箱) 문학과 ‘몸’의 실험 2. 여성-동물: 거미와 새로의 환투 3. 여성-인형: 오토마타와 꼭두각시, 무대 위의 배우들 4. 결론: 비인간(non-human)으로의 변신과 포기할 수 없는 남성성
      • 1. 이상(李箱) 문학과 ‘몸’의 실험 2. 여성-동물: 거미와 새로의 환투 3. 여성-인형: 오토마타와 꼭두각시, 무대 위의 배우들 4. 결론: 비인간(non-human)으로의 변신과 포기할 수 없는 남성성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oucault, M.,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4

      2 Bradley, F., "초현실주의" 열화당 2003

      3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3

      4 김주현, "정본 이상문학전집 2-소설" 소명출판 2009

      5 김주현, "정본 이상문학전집 1-시" 소명출판 2009

      6 주현진, "이상(李箱) 문학의 근대성 : ‘의학-육체-개인’" 한국시학회 (23) : 377-417, 2008

      7 권영민, "이상 전집 2-단편소설 : 날개 외" 태학사 2013

      8 권영민, "이상 전집 1-시 : 오감도 외" 태학사 2013

      9 박소영, "이상 시의 시적 자아와 인식 대상으로서 ‘여성’의 형상화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229-255, 2017

      10 김주현, "이상 시의 상호텍스트적 분석: 특히 ‘개’의 이미지와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1 : 141-159, 1996

      1 Foucault, M., "헤테로토피아" 문학과지성사 2014

      2 Bradley, F., "초현실주의" 열화당 2003

      3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3

      4 김주현, "정본 이상문학전집 2-소설" 소명출판 2009

      5 김주현, "정본 이상문학전집 1-시" 소명출판 2009

      6 주현진, "이상(李箱) 문학의 근대성 : ‘의학-육체-개인’" 한국시학회 (23) : 377-417, 2008

      7 권영민, "이상 전집 2-단편소설 : 날개 외" 태학사 2013

      8 권영민, "이상 전집 1-시 : 오감도 외" 태학사 2013

      9 박소영, "이상 시의 시적 자아와 인식 대상으로서 ‘여성’의 형상화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229-255, 2017

      10 김주현, "이상 시의 상호텍스트적 분석: 특히 ‘개’의 이미지와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1 : 141-159, 1996

      11 박소영, "이상 시에 드러난 ‘피’와 ‘얼굴’ 그리고 ‘두개골’ 이미지의 유기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27-49, 2014

      12 신범순, "이상 시 전집 : 꽃속에 꽃을 피우다 1" 나녹 2017

      13 조대한, "이상 문학의 동물 및 새 변신 연구" 반교어문학회 (50) : 277-310, 2018

      14 Braidotti, R., "유목적 주체" 여이연 2004

      15 Braidotti, R, "변신: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 꿈꾼문고 2020

      16 Grosz, E, "몸 페미니즘을 향해: 무한히 변화하는 몸" 꿈꾼문고 2019

      17 Deleuze, G., "매저키즘" 인간사랑 1996

      18 정항균, "동물되기" 세창출판사 2020

      19 박상순, "나는 장난감 인형과 결혼한다" 민음사 2019

      20 Foster, H., "강박적 아름다움" 아트북스 2018

      21 박소영, "李箱 詩에 나타난 皮膚 感覺의 形象化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5 (45): 317-34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