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에 관한 종단연구(2): 변화의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Typology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Later Life(2): Focused on the determining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07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의 변화양상을 분석한 논문(종단연구(1))에 이어 세대관계의 유형 및 변화의 결정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자료는 종단 연구인 Hallym Aging Study의 일...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의 변화양상을 분석한 논문(종단연구(1))에 이어 세대관계의 유형 및 변화의 결정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자료는 종단 연구인 Hallym Aging Study의 일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2003년도와 2007년도 조사에 참여한 유자녀 노인 918명이다. 두 시점(T1, T2)에서 도출된 5가지 세대관계의 유형들-밀착형, 부모제공형, 부모수혜형, 별거친밀형, 소원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사용하였다. 횡단분석과 종단분석을 종합하여 볼 때, 세대관계 유형의 변화를 결정하는 요인들 중 부모관련 요인은 부모의 성과 건강, 경제적 여유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관련 요인으로는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 등 세대관계의 질이, 사회적 요인 중에서는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 및 정책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five type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and their change longitudinally. The preexisting panel data, HAS(Hallym Aging Study) the 1 wave data (2003, T1 ) and the 3 wave data (200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five types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and their change longitudinally. The preexisting panel data, HAS(Hallym Aging Study) the 1 wave data (2003, T1 ) and the 3 wave data (2007, T2) is used. T he respondents were 916 parents who were over 65 years at T1 period.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termining factors at T 1 and T 2 perio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nd its implication for the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arent-related variables, the gender, health, and economic status are shown to be the most crucial determinant in intergenerational relations. More specifically, the males, especially poor males who are estranged from the children, turn out to be the target for the social concern and various intervention. Second, among child-related factors, the subjective sense of satisfactions with the relations with their children proved to be a central factor. It is needed to develop the policies and programs to strengthen them. Third, the use of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shown to affect the intergenerational relations significantly. Especially, social services have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that the parent doesn`t live together but keeps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 children in spite of their health problems. It implies that enlargement and widespread use of the various public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needed urge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34): 621-647, 2000

      2 원영희, "한국노인의 거주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8 : 77-89, 1996

      3 김미혜, "한국노년학의 복지 분야 연구동향 - 1980년(창간호)부터 2008년(28권 제2호)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733-752, 2008

      4 박충선, "한국노년학 가족분야 연구 30년: 성과와 과제" 한국노년학회 28 (28): 797-813, 2008

      5 최정혜,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11-627, 2009

      6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35-157, 2002

      7 김정석,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30 (30): 1-24, 2007

      8 김정석, "최근 한국노인들의 실제 및 선호거주형태에 관한 연구" 1996

      9 김두섭,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23 (23): 56-89, 2000

      10 윤현숙,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년층과 장년층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77-194, 2005

      1 박경숙,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정도" 34 (34): 621-647, 2000

      2 원영희, "한국노인의 거주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8 : 77-89, 1996

      3 김미혜, "한국노년학의 복지 분야 연구동향 - 1980년(창간호)부터 2008년(28권 제2호)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733-752, 2008

      4 박충선, "한국노년학 가족분야 연구 30년: 성과와 과제" 한국노년학회 28 (28): 797-813, 2008

      5 최정혜,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11-627, 2009

      6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135-157, 2002

      7 김정석, "패널자료를 이용한 노년기 거주형태 변화분석" 30 (30): 1-24, 2007

      8 김정석, "최근 한국노인들의 실제 및 선호거주형태에 관한 연구" 1996

      9 김두섭, "중년층과 노부모의 세대관계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 23 (23): 56-89, 2000

      10 윤현숙,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년층과 장년층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77-194, 2005

      11 김혜경, "일본고령자의 사회적 지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 전국조사 자료 분석" 한국노년학회 24 (24): 123-145, 2004

      12 김명자, "신세대와 중년기 부부의 노부모 부양에 따른 부담감 및 보상 감 분석" 14 (14): 97-110, 1996

      13 최혜지, "손자녀 양육형태가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4 (24): 31-49, 2004

      14 박경숙, "세대관계의 다양성과 구조" 37 (37): 61-94, 2003

      15 정병은, "세대간 지원교환의 호혜성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노인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회 27 (27): 503-518, 2007

      16 한경혜, "세대간 사회적 지원의 교환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 12 (12): 55-80, 2000

      17 이상림, "세대간 교환관계가 중년층의 노후부양관에 미치는 영향" 5 (5): 83-111, 2002

      18 조병은, "사회교환적 관점에서 본 맞벌이 가족의 성인딸/며느리와 노모의 관계" 12 (12): 83-98, 1992

      19 강유진, "비동거자녀의 노부모 부양행동에 관한 연구" 17 (17): 271-288, 1997

      20 전혜정, "미국노인의 사회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종단적 자료분석" 한국노년학회 24 (24): 89-105, 2004

      21 한경혜, "떠난 장남, 남은 장남 : 생애과정 관점에서 본 농촌노인의 거주유형 결 정요인" 43 (43): 649-669, 2000

      22 김혜경, "농촌지역 재택고령자에 있어서의 사회적 지원제공과 수령의 관련요인" 18 (18): 198-209, 1998

      23 이가영, "농촌지역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의 관련성" 21 (21): 672-683, 2000

      24 윤현숙, "노인의 건강상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및 중재효과" 한국노년학회 27 (27): 649-666, 2007

      25 정경희, "노인의 거주형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2 (22): 102-127, 2002

      26 안경숙, "노인부부가구·노인독신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0, 2005

      27 유성호, "노인과 성인자녀의 별거를 결정짓는 변인: 그 이론적 탐색" 16 (16): 51-68, 1996

      28 모선희, "노인과 가족, In 한국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생각의 나무 83-122, 1999

      29 정기원, "노부모와 별거 성인자녀와의 가족유대: 정서적 지원에 대한 교환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회 24 (24): 123-148, 2001

      30 김미영, "노부모-자녀 동거의 결정요인과 지역간 차이, 1985-2005" 한국농촌계획학회 15 (15): 89-107, 2009

      31 유희정,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에 관한 종단연구(1):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1) : 87-111, 2011

      32 유희정,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과 변화에 관한 종단 연구" 한림대학교 2010

      33 김정석, "노년기 가족관계의 질에 대한 척도구성, In 변화하는노인의삶과노인"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34 조병은, "노년기 가족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현황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59-75, 2007

      35 김명자, "기혼자녀(아들·딸)와 부모간의 정서적 결속도에 따른 부양행동" 대한가정학회 43 (43): 37-51, 2005

      36 김미혜, "고령화 한국사회의 부양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별 부양체계 분석을 통하여" 한국노년학회 26 (26): 617-639, 2006

      37 Shaw, B. A, "Tracking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roughout late life" 62 (62): 90-99, 2007

      38 Hogan, D. P, "The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s in american families" 98 (98): 1428-1458, 1993

      39 Aquilino, W. S, "The Likelihood of parent-Adult child coresidence : Effects of family structure and parental characteristics" 52 : 405-419, 1990

      40 Ward, R. A., "The Influence of parent and child needs on coresidence in middle and later life" 54 (54): 209-221, 1993

      41 Kim, H, "Support exchange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korean elderly" 15 : 331-347, 2000

      42 Hogan, D. P, "Sources of emergency help and routine assistance in old age" 73 (73): 917-936, 1995

      43 Spitze, G, "Sons, daughter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support" 52 : 420-460, 1990

      44 Ikkink, K. K, "Perceived instrumental support ex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elderly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Normative and structural explanations" 61 : 831-844, 1999

      45 Davey, A,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exchange and mental health" 53B (53B): 86-95, 1998

      46 Rossi, A. S, "Of Human bonding: Parent-child relations across the life course" Aldine de Gruyter 1990

      47 van Tilburg, T. G, "Network and health changes among older dutch adults" 58 (58): 697-713, 2002

      48 Cantor, M. H, "Neighbors and friends: An overlooked resource in the informal support system" 1 : 434-463, 1979

      49 Bengtson, V. L,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aging families: An example of formal theory construction" 53 : 856-870, 1991

      50 Silverstein, M,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nd the structure of adult child-parent relationships in american families" 103 (103): 429-460, 1997

      51 Takagi, E., "Intergenerational coresidence of older adults in Japan: Conditions for cultural plasticity" 62B (62B): 330-339, 2007

      52 Logan, J. R, "Inform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 by older americans" 49 : 25-34, 1994

      53 Litwak. E, "Helping the elderly: The complementary roles of informal networks and formal systems" Guilford Press 1985

      54 Bengtson, V. L, "Global aging and the challenge to families, Global aging and challenges to families" Aldine de Gruyter 1-24, 2003

      55 Stoller, E. P, "Formal services and informal helping: the Myth of service substitution" 8 : 37-52, 1989

      56 Lee, G. R, "Filial responsibility and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assistance" 56 : 559-565, 1994

      57 Antonucci, T. C, "An Examination of sex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older men and women" 17 : 739-749, 1987

      58 Lee, G. R, "Aging parent-adult child coresidence: Further evidence on the role of parental dependency" 17 (17): 46-59, 1996

      59 Suitor, J, "Aged parents and aging children: Determinants of relationship quality" Theory and Research 1994

      60 Dannefer, D, "Age structure, life course and aged heterogeneity: prospects for research and theory" 2 : 1-10, 1988

      61 Lawton, L, "Affection, social contact, and geographic distance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56 : 57-68, 1994

      62 Han, Gyoung-hae, "A Typology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in korea"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8

      63 Aartsen, M. J,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physical and cognitive decline on the personal network in old age" 21 (21): 249-266, 2004

      64 유승주 Yu, Seung-Ju, "<논문>도시와 농촌의 노부모-자녀의 동거 결정요인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0 (30): 57-86,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SOCIAL WORK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2.02 2.30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