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7월부터 1979년 5월까지 3년간 진해만의 표층에서 격월로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수온, 염분도, pH, 투명도, 용존산소, Chlorophyll-a,c, NO$_{2}$-N 및 PO$_{4}$-P)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26734
1980
English
학술저널
62-65(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76년 7월부터 1979년 5월까지 3년간 진해만의 표층에서 격월로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수온, 염분도, pH, 투명도, 용존산소, Chlorophyll-a,c, NO$_{2}$-N 및 PO$_{4}$-P)에 ...
1976년 7월부터 1979년 5월까지 3년간 진해만의 표층에서 격월로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수온, 염분도, pH, 투명도, 용존산소, Chlorophyll-a,c, NO$_{2}$-N 및 PO$_{4}$-P)에 대하여 조사했다. 9가지 환경요인이 식물성플랑크톤 군집 변화에 37.20%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각각의 환경요인으로는 PO$_{4}$-P, 투명도, Chlorophyll-a, 수온, 염분도 등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용존산소, NO$_{2}$-N, pH 및 Chlorophyll-c 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었다.
Estimation Of Vertical Structure Of Dispersion Coefficients Off Wolsong
Wave Generation And Wind-Induced Shear Current In Water
남해산 참굴 Crassostrea gigas(Thunberg)의 이식성장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