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벽신화란, 태초의 자연현상을 인간 삶의 진보에 의한 문화의 변천과정을 상상력으로 표현해 낸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인류문화사적 관점에서 관찰해보면, 철광석(돌)을 녹여 문명의 이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78695
고용환 (경남정보대학교)
2019
Korean
KakinomotonoHitomaro ; Iwane ; Chinese Pangu(盤古) Myth.& Megalithic culture ; Norito(祝詞) & Ohotonohogai (大殿祭) ; Iwasiro ; Iwamakura ; Yin-Yang Wu-Hsing Idea of Taoism ; The sacredness of the rock and ideology notion according to yin & yang thought. ;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柿本人麻呂) ; 이와네(돌 뿌리岩根) ; 盤古신화와 거석문화 ; 노리토․오호토노호가이(祝詞․大殿祭) ; 음양사상에 의한 돌(바위)의 신성함과 영혼관.
KCI등재
학술저널
177-206(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개벽신화란, 태초의 자연현상을 인간 삶의 진보에 의한 문화의 변천과정을 상상력으로 표현해 낸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인류문화사적 관점에서 관찰해보면, 철광석(돌)을 녹여 문명의 이기...
개벽신화란, 태초의 자연현상을 인간 삶의 진보에 의한 문화의 변천과정을 상상력으로 표현해 낸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인류문화사적 관점에서 관찰해보면, 철광석(돌)을 녹여 문명의 이기로 만들어낸 제철문화의 제련과정과 軌를 같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히토마로의 45번 아키들 노래에서의 ‘돌 뿌리(岩根)’표기를 중심으로 그 본연의 뜻을 추론해보고 자 하였다. 실제로 히토마로 노래에서의 1차적인 의미해석으로는 ‘통행에 방해가 되는 암석’으로 표현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다시 신앙적인 측면에서, ‘바위(岩)’와 관련된 신화와 영혼관의 의미를 고찰해보면, 『고사기』歌謡40번에서 ‘바위에 서다’고 표현한 것과, 스쿠나비코나(少名御)神에 의한 ‘가무호키(神寿き)’의 내용과 노리토(祝詞) ‘오호토노호가이(大殿祭)’에서 조정의 제사에 쓰이는 제문에 ‘소코쓰이와네(아랫돌 뿌리(底津磐根)’라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궁중에서 천황을 祝壽 하는 제문으로 사용되어진 표기형태 라고 논증하였다.
또한, 히토마로의 歌句에 영향을 받은 야카모치(家持)의 나카토미의 노리토(4031)를 인용한 ‘돌 뿌리’ 노래에서도, 장수를 기원한 노리토의 종교적 의미를 띤 노래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돌과 관련된 이미지를 중국 시문, ‘遊仙詩’와 비교하여 ‘돌베개(岩枕)’의 원뜻을 고찰해보면, 신선이 ‘돌베개’ 위에 노니는 신선의 우주관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하리마국(播磨国)風土記』의 ‘이와(伊和)大神’의 설화에서는 산의 돌을 타고 내려온 ‘요리시로(依代)’로써의 바위神의 실체를 밝혀낼 수 있었다.
이를 다시 신화적 의미에서 히토마로의 ‘돌 뿌리’의 의미를 분석해보면, ‘이와쓰쓰오신(岩筒之男神)’에서 ‘이와사쿠’와 ‘네사쿠’의 신을 낳게 한 것도, 같은 돌(바위)를 신화소재로 하는 중국의 盤古와 그 아들 신 禹와 啓와 같은 돌 신들의 탄생신화인 거석문화에 영향을 받아 창조된 신격이라 추론하였다. 이처럼, ‘돌 뿌리’는 ‘바위(돌)’의 오묘함과 神靈함이 깃들어 있는 신화적 요소와 함께, 돌 바위(磐石)에 신성성과 음양사상이 결합되어, 궁정의 권위와 瑞祥함을 표현하는 노리토제문의 종교적 제의로 사용되어져왔던 것이다.
고로, 히토마로의 45번 노래에서의 ‘돌 뿌리’ 표기에는, 나쁜 기운을 제거하고, 부친 쿠사카베의 혼령을 진정시키려는 음양술에 의한 노리토의 진혼가적 성격이 ‘돌 뿌리’ 표기에 깃들여져 있다고 추론할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pening myth of the beginning i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natural phenomenon by the imagination of the transition of the culture by the progress of the life of mankind. Considering “Iwane” from such a viewpoint, it can be considered to mean...
The opening myth of the beginning i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natural phenomenon by the imagination of the transition of the culture by the progress of the life of mankind. Considering “Iwane” from such a viewpoint, it can be considered to mean the deification of the rock itself.
On the other hand, the origin of the gods “Iwasaku” and “Nesaku” was created by the influence of megalithic cultures found in the myths of the birth of China's rock and the sons of God, It is considered to be a deity.
Observing this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t is known that mankind is in agreement with the transition process of iron ore culture, which has transformed iron ore into an instrument of civilization. It is also seen in the notation that such a “spirit of the rock” is included in the deity. In add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is “Iwane” means to remove the rock which interferes with the passage by pushing the rock which is the first in order to the 45th song of Hitomaro.
When I consider this “Iwane” from the aspect of mythical faith to the meaning of the soul spirit, it is a word used in the rituals of the Norito (Kamuhoki Shinto, Ohotonohogai) Is confirmed. It is confirmed that the similar content is Norito's vocabulary that prays for longevity as well as the song of Yakamochi (4031), who has been subjected to songwriting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lyrical phrases.
If you compare the origin of the vocabulary of “Iwamakura” and the original meaning with “Yusen's poetry”, you can find that it is directly linked to the universe conception of “Shinsen's play with Rock pillow”. In addition, there is a narrative of ‘Iwa (Rock) Okami’ in ‘Harima country Fudoki’, and it is told with the character of the god of rock so to speak, God descends from the heaven with the rock of the mountain. It is known that.
After all, it is thought that the Hitomaro ‘Iwane’ notation is derived from the same divine conception as the myth narrative that the rock is torn and the god is born as seen in the Chinese Pangu(盤古) Myth. Furthermore, if I recall that it was created on the basis of “Norito” used in religious ceremonies of the court in “Iwane” notation, it will also be included in Waka's requiem (example 45). If considered in terms of being used, it is inferred that it is a songification of Yin and Yang ideas based on the sacredness of the rock.
참고문헌 (Reference)
1 "세계4대 창세신화"
2 장수철, "산해경" 현암사 2005
3 守屋俊, "記紀神話論考" 雄山閣出版 1989
4 山路平四郎, "記紀歌謡評釈, 歌謡四〇番「酒楽歌」" 東京堂出版 1973
5 広畑輔雄, "盤古説話と記紀神話" 24 : 1965
6 班固, "漢書, 武帝紀第六" 浙江古籍出版社
7 安吉煥, "淮南子, (下)「脩務訓」" 明文堂
8 楠山春樹, "淮南子, (上)「覧冥訓」" 明治書院
9 大野晋, "日本書紀, (一)神代上 第五段" 岩波書店 1994
10 荻原浅男, "日本古典文学全集" 小学館 1973
1 "세계4대 창세신화"
2 장수철, "산해경" 현암사 2005
3 守屋俊, "記紀神話論考" 雄山閣出版 1989
4 山路平四郎, "記紀歌謡評釈, 歌謡四〇番「酒楽歌」" 東京堂出版 1973
5 広畑輔雄, "盤古説話と記紀神話" 24 : 1965
6 班固, "漢書, 武帝紀第六" 浙江古籍出版社
7 安吉煥, "淮南子, (下)「脩務訓」" 明文堂
8 楠山春樹, "淮南子, (上)「覧冥訓」" 明治書院
9 大野晋, "日本書紀, (一)神代上 第五段" 岩波書店 1994
10 荻原浅男, "日本古典文学全集" 小学館 1973
11 内田泉之助, "文選(詩篇)上" 明治書院 1985
12 本田済, "抱朴子․列仙伝․神仙伝․山海経" 平凡社 1988
13 "孫 樹林「盤古の天地開闢と道家思想」 島根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ジャーナル"
14 西郷信綱, "古事記注釈, 第一巻" 平凡社
15 倉野憲司, "古事記․祝詞"
16 鈴木正崇, "創生神話と王権神話ーアジアの視点からー" (1) : 2015
17 欽立輯校, "先秦漢魏晋南北朝詩" 中華書局
18 고용환, "人麻呂의 아키들 노래에 있어서 <宿>고찰" 4 : 2001
19 고용환, "人麻呂の明日香皇女挽歌における「石橋渡」と 「打橋渡」一考"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23-345, 2015
20 橋本正一, "京都大学学術情報リポジトリVERS10"
21 黒板勝美, "『延喜式』巻八․神祇八「祝詞」" 吉川行弘文館
22 "『太平御覽』 (一),巻八二「皇王部七․夏帝禹」" 中華書局
23 大野晋, "『古事記伝』 第九巻" 筑摩書房
24 http://www.asahi-net.or.jp/~sg2h-ymst/niigasa.html, "http://www.asahi-net.or.jp/~sg2h-ymst/niigasa.html"
고대 한국인의 사생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68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