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 이후 고추가 세계로 확산되었고, 많은 지역의 음식에서 매운맛이 강해졌다. 그렇지만 고추의 전파 과정은 매우 복잡하여 그 경로를 단순하게파악하기가 힘들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 이후 고추가 세계로 확산되었고, 많은 지역의 음식에서 매운맛이 강해졌다. 그렇지만 고추의 전파 과정은 매우 복잡하여 그 경로를 단순하게파악하기가 힘들다. ...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도착 이후 고추가 세계로 확산되었고, 많은 지역의 음식에서 매운맛이 강해졌다. 그렇지만 고추의 전파 과정은 매우 복잡하여 그 경로를 단순하게파악하기가 힘들다. 고추의 전파는 에스파냐인보다는 오히려 포르투갈인들이 더 큰 기여를 했다. 특히 인도의 고아(Goa) 같은 중요한 교역 거점들에 고추가 전해지고 다시 튀르키예를 거쳐 헝가리 같은 동유럽이나 그리스, 발칸 지역으로 확산했다. 다른 한편 역시 복잡다기한 경로를 거쳐 아시아 각지에 들어왔으며, 조선과 일본에도 유입되었다. 우리나라의 음식은 고추를 많이 사용하여 갈수록 매워졌으나 그 과정은 처음 점진적이었다가 19세기에 가속화되었고, 20세기에 정점을 맞이했다. 반면 일본에서는 그와 같은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고추를 수용하고 음식이 매워지는 과정이 사회마다 상이한 이유는 무엇일까? 역사가들은 ‘욕망의 자율성’으로 설명한다. 매번 사회구조가 인간의 감성을 전적으로 통제하는 게 아니라 반대로 감성 같은 요소가 작동하여 사회구조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차라, 프레드, "향신료의 지구사" 휴머니스트 2009
2 유중림, "증보산림경제" 지구문화사 2005
3 이용기, "조선무쌍 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2001
4 몬타나리, 맛시모, "유럽의 음식문화" 새물결 2001
5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6 KBS, "역사스페셜 – 밥상의 혁명, 독초 고추의 변신"
7 주영하, "식탁 위의 한국사, 메뉴로 본 20세기 한국 음식문화사" 휴머니스트 2013
8 브로델, 페르낭,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도서출판까치 1995
9 투생-사마, 마귈론, "먹거리의 역사" 도서출판까치 2002
10 허균, "도문대작, 1600년대 도문대작 식재료 전통음식 조리서" 백산출판사 2017
1 차라, 프레드, "향신료의 지구사" 휴머니스트 2009
2 유중림, "증보산림경제" 지구문화사 2005
3 이용기, "조선무쌍 신식요리제법" 궁중음식연구원 2001
4 몬타나리, 맛시모, "유럽의 음식문화" 새물결 2001
5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신광출판사 1999
6 KBS, "역사스페셜 – 밥상의 혁명, 독초 고추의 변신"
7 주영하, "식탁 위의 한국사, 메뉴로 본 20세기 한국 음식문화사" 휴머니스트 2013
8 브로델, 페르낭,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도서출판까치 1995
9 투생-사마, 마귈론, "먹거리의 역사" 도서출판까치 2002
10 허균, "도문대작, 1600년대 도문대작 식재료 전통음식 조리서" 백산출판사 2017
11 빙허각 이씨, "규합총서" 백산출판사 2014
12 권대영, "고추이야기" 도서출판효일 2011
13 나지, 아말, "고추, 그 맵디매운 황홀" 뿌리와이파리 2002
14 김종덕, "‘고쵸’에 대한 논쟁" 한국농업사학회 8 (8): 105-126, 2009
15 Watts, D., "West Indies: Patterns of Development, Culture and Environmental Change since 149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6 Pedron, Martine, "Tomate, avocat, piment. Ces plantes venues d’Amérique" 297 : 2005
17 Brown, Cecil H., "The Paleobiolinguistics of Domesticated Chili Pepper (Capsicum spp.)" 4 : 1-11, 2013
18 Ho, Ping-Ti,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Food Plants into China" 57 : 191-201, 1955
19 Jane, Cecil, "The Four Voyages of Columbus" Dover Press 1988
20 Kraft, Kraig H., "Multiple Lines of Evidence for the Origin of Domesticated Chili Pepper, Capsicum annuum, in Mexico" 111 (111): 6165-6170, 2014
21 Sabban, Françoise, "Le piment ne brûle pas toutes les bouches" 87 : 1986
22 Quellier, Florent, "Le goût de l’inconnu" 355 : 2010
23 Monardes, Nicolás Bautista, "Joyfull Newes out of the New Found World: Wherein Are Declared the Rare and Singular Vertues of Divers and Sundrie Herbs, Trees, Oyles, Plants & Stones, with Their Applications as Well to the Use of Phisicke, as Chirurgery ... Also the Portrature of the Sayde Herbes, Very Aptly Described" Cookbooks and Herbals 1580
24 Lee, Alexander, "Enchiladas, a Culinary Monument to Colonialism" 69 : 2019
25 Andrews, Jean, "Diffusion of Mesoamerican Food Complex to Southeastern Europe" 83 (83): 194-204, 1993
26 Dalby, Andrew, "Dangerous Tastes, The Story of Spices" University of Calofornia Press 2000
27 Billing, Jennifer, "Antimicrobial Functions of Spices : Why Some Like It Hot" 73 (73): 3-49, 1998
28 Anderson, E., "Anatolian Mystery" Landscape (Spring) 14-16, 1958
29 주경철, "18세기의 맛 취향의 탄생과 혀끝의 인문학" 문학동네 2014
좋은 삶을 위해 누구와 어디서 어떻게 살아야 할까? [서평] 정성훈(2022), 『가족과 국가 이후의 공동체』, 보고사, 192쪽
빈곤의 현장에서 삶의 취약성을 정면으로 직시하다 [서평] 조문영(2022), 『빈곤과정: 빈곤의 배치와 취약한 삶들의 인류학』, 글항아리, 425쪽
오상순, ‘기인’의 풍문을 넘어 ‘시(인)’의 진실로 [서평] 이은지 엮음(2022), 『공초 오상순 전집』, 소명출판, 7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