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심폐소생술 시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 간의 가슴압박 질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36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 음성측정기를 활용하여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과의 가슴압박 질 비교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대상자는 C도 소재 응급구조과 재학생으로 심폐소생술 15주 교육과정을 이수한 89명(실험군 45명, 대조군 44명)을 무작위추출 하여 시행하였다. 집단 구분은 간소화된 구령집단을 실험군, 연속적 구령집단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측정 기간은 1차(2011년 11월 10일, 11월 28일)와 2차(2012년 9월3일-9월4일)로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가슴압박(회, %)은 실험군(102.86회, 67.79%)이 대조군(85.31회, 55.84%) 보다 가슴압박 질 효과가 높았다(p<.05). 반면, 약한 가슴압박(회) 시행은 실험군(35.54회) 보다 대조군(61.13회)이 높았다. 성별에 있어서는 실험군의 남자가, 체중에 있어서는 실험군의 60kg이상이 적절한 가슴압박을 보였다(p<.05).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 음성측정기를 활용하여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과의 가슴압박 질 비교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대상자는 C도 소재 ...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시 음성측정기를 활용하여 구조자의 간소화된 구령방법과 연속된 구령방법과의 가슴압박 질 비교를 통해 심폐소생술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대상자는 C도 소재 응급구조과 재학생으로 심폐소생술 15주 교육과정을 이수한 89명(실험군 45명, 대조군 44명)을 무작위추출 하여 시행하였다. 집단 구분은 간소화된 구령집단을 실험군, 연속적 구령집단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측정 기간은 1차(2011년 11월 10일, 11월 28일)와 2차(2012년 9월3일-9월4일)로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적절한 가슴압박(회, %)은 실험군(102.86회, 67.79%)이 대조군(85.31회, 55.84%) 보다 가슴압박 질 효과가 높았다(p<.05). 반면, 약한 가슴압박(회) 시행은 실험군(35.54회) 보다 대조군(61.13회)이 높았다. 성별에 있어서는 실험군의 남자가, 체중에 있어서는 실험군의 60kg이상이 적절한 가슴압박을 보였다(p<.05).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efficiency of CPR through comparing the chest-compression quality between rescuers simplified verbal order method and the continued verbal order method by utilizing voice meter during CPR. Subjects were 89 people(45 peop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44 people for the control group) who completed the 15-week CPR curriculum as undergraduates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C Province and were carried out by being randomly extracted. The group division was se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group with the simplified verbal order and for the control group as the group with the continued verbal order. The period of measurement was progressed primarily(November 10, November 28, 2011) and secondarily(September 3-September 4, 2012). An analysis was used SPSS WIN 12.0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chest compression(time, %), the quality was higher(p<.05) in the experimental group(102.86 times, 67.79%) than the control group(85.31 times, 55.84%). As a result of research, the chest compression(time, %) in the experimental group(102.86 times, 67.79%) had the higher effect of chest compression quality(p<.05) than the control group(85.31 times, 55.84%).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weak chest compression(time) was higher in control group(61.13 times) than experimental group(35.54 times). The proper chest compression was shown(p<.05) in men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gender and in over 60kg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weigh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efficiency of CPR through comparing the chest-compression quality between rescuers simplified verbal order method and the continued verbal order method by utilizing voice meter during CPR. Subjects were 89 pe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efficiency of CPR through comparing the chest-compression quality between rescuers simplified verbal order method and the continued verbal order method by utilizing voice meter during CPR. Subjects were 89 people(45 peop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44 people for the control group) who completed the 15-week CPR curriculum as undergraduates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C Province and were carried out by being randomly extracted. The group division was se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group with the simplified verbal order and for the control group as the group with the continued verbal order. The period of measurement was progressed primarily(November 10, November 28, 2011) and secondarily(September 3-September 4, 2012). An analysis was used SPSS WIN 12.0 program. As a result of research,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chest compression(time, %), the quality was higher(p<.05) in the experimental group(102.86 times, 67.79%) than the control group(85.31 times, 55.84%). As a result of research, the chest compression(time, %) in the experimental group(102.86 times, 67.79%) had the higher effect of chest compression quality(p<.05) than the control group(85.31 times, 55.84%).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weak chest compression(time) was higher in control group(61.13 times) than experimental group(35.54 times). The proper chest compression was shown(p<.05) in men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gender and in over 60kg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weigh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고찰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희, "정상인과 음성질환자의 호흡의 동적 기능 및 호흡-발성의 협응 기능 평가 : 음성, 성문 및 호흡 통합검사장치 활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 나준호,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조자의 피로에 의한 가슴압박의 질 변화와 이와 관련된 구조자의 특성; 마네킹을 이용한 가상 연구" 대한응급의학회 22 (22): 431-437, 2011

      3 황성오,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장소생술" 군자출판사 3-360, 2011

      4 황성오, "심폐소생술 중 하행 대동맥 내 압력 차이 발생의 혈역학적 의의" 대한응급의학회 13 (13): 237-242, 2002

      5 백홍석, "심폐소생술 시행 시 피구조자의 위치, 성별, 체중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정확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0-290, 2011

      6 박상섭, "심폐소생술 시행 시 구령집단과 비구령집단 간의 심폐소생술 정확도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2607-2615, 2011

      7 최재형, "기본소생술 교육에서 가슴압박 기억에 음악적 리듬이 주는 효과" 대한응급의학회 22 (22): 635-642, 2011

      8 KACPR,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배포"

      9 이준석, "가슴압박의 질과 구조자 피로도: 병원 내 2인 교대 심폐 소생술에 대한 가상 연구" 대한응급의학회 21 (21): 299-306, 2010

      10 Z. Lei, "The effect of two different count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CPR on a manikin-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80 (80): 685-688, 2009

      1 최성희, "정상인과 음성질환자의 호흡의 동적 기능 및 호흡-발성의 협응 기능 평가 : 음성, 성문 및 호흡 통합검사장치 활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 나준호,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구조자의 피로에 의한 가슴압박의 질 변화와 이와 관련된 구조자의 특성; 마네킹을 이용한 가상 연구" 대한응급의학회 22 (22): 431-437, 2011

      3 황성오, "심폐소생술과 전문 심장소생술" 군자출판사 3-360, 2011

      4 황성오, "심폐소생술 중 하행 대동맥 내 압력 차이 발생의 혈역학적 의의" 대한응급의학회 13 (13): 237-242, 2002

      5 백홍석, "심폐소생술 시행 시 피구조자의 위치, 성별, 체중에 따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정확도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0-290, 2011

      6 박상섭, "심폐소생술 시행 시 구령집단과 비구령집단 간의 심폐소생술 정확도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2607-2615, 2011

      7 최재형, "기본소생술 교육에서 가슴압박 기억에 음악적 리듬이 주는 효과" 대한응급의학회 22 (22): 635-642, 2011

      8 KACPR, "공용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배포"

      9 이준석, "가슴압박의 질과 구조자 피로도: 병원 내 2인 교대 심폐 소생술에 대한 가상 연구" 대한응급의학회 21 (21): 299-306, 2010

      10 Z. Lei, "The effect of two different count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CPR on a manikin-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80 (80): 685-688, 2009

      11 F. J. Ochoa, "The effect of rescuer fatigue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37 (37): 149-152, 1998

      12 Z. Lei, "The effect of different methods of counting of rescue crew on the qua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22 (22): 76-78, 2010

      13 G. Ritter, "The effect of bystander CPR on survival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victims" 110 (110): 932-937, 1985

      14 P. A. Cameron, "Tension pneumoperitoneum aft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55 (155): 44-47, 1991

      15 R. S. Hoke, "Skeletal chest injuries secondary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63 (63): 327-338, 2004

      16 C. F. Weston, "Predicting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multivariate analysis" 34 : 27-34, 1997

      17 C. Vaillancourt, "Performer fatigue and CPR quality comparing 30:2 to 15:2 compression to ventilation ratios in older bystanders: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82 (82): 51-56, 2011

      18 O. Ananiadoua, "Operative stabilization of skeletal chest injuries secondary to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a cardiac surgical patient" 10 (10): 478-480, 2009

      19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Highlig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20 A. Ashton, "Effect of rescuer fatigue on performance of continuous external chest compressions over 3 min" 55 (55): 151-155, 2002

      21 M. Holmberg,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47 (47): 59-70, 2000

      22 D. Yannopoulos, "Clinical and hemodynamic comparison of 15 :2 and 30 :2 compression to-ventilation ratio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34 (34): 1444-1449, 2006

      23 S. O. Hwang, "Changes of aortic dimensions as evidence of cardiac pump mechanism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humans" 50 (50): 87-93, 2001

      24 이기호, "2010년 심폐소생술 지침에 따른 지속적인 가슴압박 시 구조자 피로를 막기 위한 구조자 1분 교체방법과 2분 교체 방법의 비교" 대한응급의학회 23 (23): 455-459, 2012

      25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