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인지적으로 도전받는 장애인들의 인권침해를 ‘성폭력, 성적 삶의 향유 박탈, 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에 대해 살펴보고, 이런 장애인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보장하기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20475
2012
-
338
학술저널
93-122(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으로 도전받는 장애인들의 인권침해를 ‘성폭력, 성적 삶의 향유 박탈, 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에 대해 살펴보고, 이런 장애인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보장하기 위...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으로 도전받는 장애인들의 인권침해를 ‘성폭력, 성적 삶의 향유 박탈,
생활시설에서의 인권침해’에 대해 살펴보고, 이런 장애인들의 인권을 옹호하고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지적 장애인들이 인지장애로 인해 자기 삶에서의 수많은 선택
과 결정의 기회를 박탈당해 왔는데 이것이 바로 인권침해이다. 모든 인간에게 조건 없이 보
편적으로 적용되는 원칙이자 천부적 권리인 인권이 인지적장애인들에게 잘 주어지지 않았
다. 사회복지사가 그들의 욕구를 사정하고 정의해주는 욕구중심의 사회복지 실천에서 벗어
나 인권중심의 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는 인지적 장애인들과 함께 그들의 욕구를 사정하고
결정하며, 그들이 감당할 만한 위험을 겪게 하고, 어떤 결정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는 모든
결정과정에 그들을 참여시켜 자기결정과 통제를 행사하도록 지원한다. 이것이 인지적 장애
인들의 인권을 존중하는 것이며, 인권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수행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