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대가 발달한 강화도 남단 여차리, 동막리, 동검도에서의 정점 CTD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염분변동 양상 및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관측 자료는 조간대의 침수기간동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8130
2008
Korean
조간대 ; 노출 및 침수 ; 염분 ; 강화도 ; 연안 지하수 ; inter-tidal zone ; exposure and submersion ; salinity ; Ganghwado ; coastal ground-water
KCI등재
학술저널
310-320(1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간대가 발달한 강화도 남단 여차리, 동막리, 동검도에서의 정점 CTD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염분변동 양상 및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관측 자료는 조간대의 침수기간동안...
조간대가 발달한 강화도 남단 여차리, 동막리, 동검도에서의 정점 CTD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염분변동 양상 및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관측 자료는 조간대의 침수기간동안의 자료만을 이용하였다. 침수기간동안의 기온자료와 수온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상관관계가 매우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수온변화는 조위의 상승하강과 반대되는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 주었다. 반면, 장기적인 지하수 유입의 영향으로 조석주기 동안 해수에서의 염분경사는 해안선에서 바다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수온의 경우에는 해안선에서 바다방향으로 갈수록 수온이 감소)이 있기 때문에 수온과는 반대되는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조석의 침수기간동안의 염분변화는 침수시점을 기준으로 조위가 상승하여 고조에 도달할 때 까지 증가하고, 조위가 감소하여 노출되는 시점까지 다시 염분이 감소하는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patterns were analysed using the CTD data measured in the Yeochari, Dongmakri and Donggeomdo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Only the data during the submersion period of the measurement stations were us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patterns were analysed using the CTD data measured in the Yeochari, Dongmakri and Donggeomdo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Only the data during the submersion period of the measurement stations were used in this analysis.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s is very low and the water temperature variation shows clearly the opposite patterns as the tidal elevation increases and decreases. Whereas, the salinity change shows the similar pattern of the tidal elevation change pattern because the salinity change pattern could be described as the increasing function from the shoreline to offshore regions due to the continuous ground-water inflow in the adjacent watersheds. The salinity is increased from the submersion time to the high tide and decreased from the high tide to the exposure time.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규전, "측량정보공학" 양서각 2008
2 손민호, "조간대 생태학(Intertidal Ecology)" 아카데미서적 2004
3 조홍연, "연안해역 기온과 수온의 상관관계 및 이력현상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 (19): 213-221, 2007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세계좌표계 도입에 다른 기준점 구축 및 관리방안, 2000 NGIS 지 원연구사업" 건설교통부 2001
5 안순모,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 서동물 분포" 27 (27): 78-90, 1992
6 국립해양조사원, "배움바다 - 배움자 료실, NORI-05 (정밀 GEOID 계산모형)"
7 Michael, H.A.., "Seasonal oscillations in water exchange between aquifers and the coastal ocean" 463 (463): 1145-1148, 2005
8 Chapuis, R.P., "Pumping test in a confined aquifer under tidal influence" 44 (44): 300-305, 2006
9 Knowles, N., "Natural and management influences on freshwater inflows and salinity in the San francisco Estuary at monthly to interannual scales" 38 (38): 25;1-25;11, 2002
10 Strang, G., "Linear Algebra, Geodesy, and GPS, Wellesley" CamBridge Press 1997
1 조규전, "측량정보공학" 양서각 2008
2 손민호, "조간대 생태학(Intertidal Ecology)" 아카데미서적 2004
3 조홍연, "연안해역 기온과 수온의 상관관계 및 이력현상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 (19): 213-221, 2007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세계좌표계 도입에 다른 기준점 구축 및 관리방안, 2000 NGIS 지 원연구사업" 건설교통부 2001
5 안순모,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 서동물 분포" 27 (27): 78-90, 1992
6 국립해양조사원, "배움바다 - 배움자 료실, NORI-05 (정밀 GEOID 계산모형)"
7 Michael, H.A.., "Seasonal oscillations in water exchange between aquifers and the coastal ocean" 463 (463): 1145-1148, 2005
8 Chapuis, R.P., "Pumping test in a confined aquifer under tidal influence" 44 (44): 300-305, 2006
9 Knowles, N., "Natural and management influences on freshwater inflows and salinity in the San francisco Estuary at monthly to interannual scales" 38 (38): 25;1-25;11, 2002
10 Strang, G., "Linear Algebra, Geodesy, and GPS, Wellesley" CamBridge Press 1997
11 Gupta, R.S., "Hydrology and Hydraulic Systems, Chap. 5" Prentice Hall 1989
12 Bear, J., "Hydraulics of Groundwater" McGraw-Hill Int’l Book Co 1979
13 Alley, W.M., "Flow and Storage in Groundwater Systems" 296 (296): 1985-1990, 2002
14 Pugh, D., "Changing Sea levels, Effects of Tides, Weather and Climate, Chap. 9" Cambridge Univ. Press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2-2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7 | 0.608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