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골이『죽은 혼』 제2권을 창작하던 마지막 10년은 주로 근대적 관점과 소위 탈근대적인 관점에서 그의 자기기만성과 광신적인 기독교 신앙으로 인해 ‘잃어버린 10년’으로 규정되어 왔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5717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9-119(3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골이『죽은 혼』 제2권을 창작하던 마지막 10년은 주로 근대적 관점과 소위 탈근대적인 관점에서 그의 자기기만성과 광신적인 기독교 신앙으로 인해 ‘잃어버린 10년’으로 규정되어 왔다...
고골이『죽은 혼』 제2권을 창작하던 마지막 10년은 주로 근대적 관점과 소위 탈근대적인 관점에서 그의 자기기만성과 광신적인 기독교 신앙으로 인해 ‘잃어버린 10년’으로 규정되어 왔다. 그러나 동일한 관점에서 러시아 사회의 기만성에 대한 고골의 비판은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 성서적인 시각에서 1842년에 발표된 『노름꾼』 에 반영된 현실의 악마적인 기만성에 대한 고골의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고골의 소위 ‘자기기만성’을 새롭게 규정하고자 한다.
『노름꾼』은 기존의 드라마 전통에 대한 창조적 모방성과 고골의 『죽은 혼』과『검찰관』과의 긴밀한 상호텍스트성을 특징으로 하며, 고골은 극중극의 이중사기 구성을 통해서 동시대 러시아 사회의 비속한 집단적인 모방욕망에 대한 자신의 염세적인 바로크 종말론을 극적으로 제시하였다. 고골은 특히 사기도박꾼들에 의해서 19세기 낭만주의 문화의 천재숭배, 나폴레옹 신화, 창기병 신화, 도박 숭배등 보다 이상주의적인 집단적 무의식이 자기기만적인 나르시시즘, 경제주의, 기회주의 등 보다 비속한 집단적 무의식을 충족시키는 도구로 전용되는 양태를 보여주었다. 성서적인 시각에서, 고골은 기독교-신화적인 바로크 종말론과 낭만주의적인 이분법에 따라 근대 사회의 현상적인 악마적인 기만성에 압도되고, 그로 인해 과도한 불안과 두려움을 갖게 되었으며, 이를 삶에서 연극적이고 이중적인 언행으로 표출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gol’s life and works have been shed light on primarily from modern and so-called post-modern viewpoints, from which Gogol’s perception of diabolic deceptivity of reality in modern Russian society was acknowledged as sharp and correct, whileas hi...
Gogol’s life and works have been shed light on primarily from modern and so-called post-modern viewpoints, from which Gogol’s perception of diabolic deceptivity of reality in modern Russian society was acknowledged as sharp and correct, whileas his committed search for Christian truth during the last decade of his life(1842-52) was regarded as lunatic and self-deceptive.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Gogol’s sharp understanding of the deceptivity of reality from the biblical viewpoint, focusing on his drama, Gamblers(1842), further reflecting on his so-called ‘self-deceptivity.’
In Gamblers, Gogol imitated the previous drama tradition creatively, transforming the tradition of double-deception plots in more complicated and tragic version, and showed its high intertextuality with Dead Souls and Inspector. Gogol portrayed the deeper infiltration of opportunism, economism, and self-deceptive narcissism into the modern Russian society, where swindlers at cards took advantage of the romantic culture of genius-worship, Napoleon myth, hussar myth, worship of gambling as nihilistic challenge to unknown fate, etc. to gratify their evil desires.
From the biblical viewpoint, Gogol’s perception of modern society was sharp and insightful, but interpreted it ambiguously from his Christian-mythic viewpoint, imbued with the pessimistic Baroque apocalypse and Romantic binary oppositions. These mythic or ambivalent ideas were attributed to his obsession with the prospected apocalyptic crisis of modern Russian society and his personal theatrical and double behaviours. Given his childlike sincerity and committed search for absolute truth, his enigma, stigmatized as tokens of his ‘self-deceptivity,’ had better be interpreted as ‘theatrical and doub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비사리온 벨린스키, "전형성, 파토스, 현실성 : 벨린스키 문학비평선" 한길사 2003
2 홍대화, "도회전설의 전파 텍스트로서 고골의 「외투」: 화자의 담화 분석" 한국러시아문학회 (50) : 233-260, 2015
3 이경완, "고골의 초기 낭만주의 설화에 나타난 인간의 욕망과 계약에 대한 바로크적 종말론" 한국노어노문학회 27 (27): 79-112, 2015
4 홍대화, "고골의 삶과 작품에 나타난 ‘기만’과 ‘자기기만’의 비극" 한국노어노문학회 23 (23): 269-295, 2011
5 이경완, "고골의 「코」에 나타난 기독교-신화적 세계관: 욕망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성서적 고찰" 러시아연구소 24 (24): 187-215, 2014
6 이경완, "고골의 「비이」에 나타나는 인간의 욕망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성서적 고찰" 한국러시아문학회 (46) : 51-76, 2014
7 이경완, "『죽은 혼』에 나타난 고골의 경제관에 대한 성서적 반성: 근대적인 경제 모델에 대한 대안 모색" 외국문학연구소 (43) : 207-236, 2011
8 Лотман, Ю, "Труды по русской и славянской филологии. Литературоведение, II (Новая серия)" Тарту 1996
9 Михед, П., "Творчество Н. В. Гоголя: Истоки, Поэтика, Контекст" СПб 1997
10 Лотман, Ю, "Статьи по семиотике и типологии культуры. т. 1." Александра 1992
1 비사리온 벨린스키, "전형성, 파토스, 현실성 : 벨린스키 문학비평선" 한길사 2003
2 홍대화, "도회전설의 전파 텍스트로서 고골의 「외투」: 화자의 담화 분석" 한국러시아문학회 (50) : 233-260, 2015
3 이경완, "고골의 초기 낭만주의 설화에 나타난 인간의 욕망과 계약에 대한 바로크적 종말론" 한국노어노문학회 27 (27): 79-112, 2015
4 홍대화, "고골의 삶과 작품에 나타난 ‘기만’과 ‘자기기만’의 비극" 한국노어노문학회 23 (23): 269-295, 2011
5 이경완, "고골의 「코」에 나타난 기독교-신화적 세계관: 욕망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성서적 고찰" 러시아연구소 24 (24): 187-215, 2014
6 이경완, "고골의 「비이」에 나타나는 인간의 욕망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성서적 고찰" 한국러시아문학회 (46) : 51-76, 2014
7 이경완, "『죽은 혼』에 나타난 고골의 경제관에 대한 성서적 반성: 근대적인 경제 모델에 대한 대안 모색" 외국문학연구소 (43) : 207-236, 2011
8 Лотман, Ю, "Труды по русской и славянской филологии. Литературоведение, II (Новая серия)" Тарту 1996
9 Михед, П., "Творчество Н. В. Гоголя: Истоки, Поэтика, Контекст" СПб 1997
10 Лотман, Ю, "Статьи по семиотике и типологии культуры. т. 1." Александра 1992
11 Лотман, Ю, "Статьи по семиотике и типологии культуры. т. 1." Александра 1992
12 Гоголь, Н. В., "Собрание сочинений в восьми томах, т. 4, 7" Изда-во Правда 1984
13 Воропаев, В., "Рус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века и христианство" Изд-во МГУ 1997
14 Семен, М., "Пятая глава. Театр — «Великая школа» и «Кафедра"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мир Гоголя
15 Ермаков, И., "Психоанализ литературы: Пушкин. Гоголь. Достоевский" Новое лит. обозрение 1999
16 "Перечитывая «ИГРОКОВ»"
17 Эсаулов, И, "Пасхальность русской словесности" Кругь 2004
18 Толстой, Л. Н., "О Шекспире и о драме(Критический очерк)"
19 Аксаков, С, "История моего знакомства с Гоголем" Гос. издат. худож. лит 1952
20 Мочульский, К, "Духовный путь Гоголя" YMCA-PRESS 1934
21 Манн Ю. В, "Динамика русского романтизма" Аспект Пресс 1995
22 Мережковский, Д. С, "Гоголь и Чорт : Исследование" Скорпион 1906
23 "Гоголь в русской революции"
24 Вересаев, В, "Гоголь в жизни" Моск. рабочий 1990
25 Зеньковский, В. Н. В, "Гоголь" Logos 1994
26 Kutik, Ilya, "Writing as Exorcism : The Personal Codes of Pushkin, Lermontov, and Gogo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05
27 Gregg, Richard, "The Writer and His Quiff: How Young Gogol’ Sought to Shape His Public Image" 63 (63): 2004
28 Proffer, Carl R, "The Simile and Gogol’s Dead Souls" Mouton 1967
29 Karlinsky, Simon, "The Sexual Labyrinth of Nikolai Gogo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30 Goldstein, Darra, "The Hunger Artist: Feasting & Fasting with Gogol" 52 (52): 2009
31 Peace, Richard, "The Enigma of Gogol: An Examination of the Writings of N.V. Gogol and Their Place in the Russian Literary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32 Moeller-Sally, Stephen, "Parallel Lives: Gogol’s Biography and Mass Readership in Late Imperial Russia" 54 (54): 1995
33 Singleton, Amy C, "Noplace like Home : the Literary Artist and Russia's Search for Cultural Ident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34 Bojanowska, Edyta M., "Nikolai Gogol: Between Ukrainian and Russian National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35 Gasparov, Boris, "GǾGǾL: Exploring Absence: Negativity in 19-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Slavica 1999
36 Ehre, Milton, "Gogol"s Gamblers: Idea and Form" 25 (25): 1981
37 Shapiro, Marianne, "Gogol and Dante" 17 (17): 1987
38 Lovejoy, Arthur O, "Essays in the History of Ideas" Greenwood Press 1978
39 Terras, V., "Belinskij and Russian Literary Criticism: The Heritage of Organic Aesthetics" The Univ. of Wisconsin Press 1974
40 Григорьев, А. А., "// Русская эстетика и критика 40-50-х годов XIX века" Искусство 1982
41 Григорьев, А. А., "// Аполлон Григорьев, сочинения. т. 2" Художественная литература 1990
극동지역 최초의 고려인 영화『도적』-『선봉』에 기초하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6 | 0.16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3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