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류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휘 범주 안에서 어휘의미의 공통적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동사그룹의 의미적 특성이다. 동작류는 행위 실행의 양상과 방법으로 무제한 가변적인 속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25715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66(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작류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휘 범주 안에서 어휘의미의 공통적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동사그룹의 의미적 특성이다. 동작류는 행위 실행의 양상과 방법으로 무제한 가변적인 속성...
동작류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어휘 범주 안에서 어휘의미의 공통적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는 동사그룹의 의미적 특성이다. 동작류는 행위 실행의 양상과 방법으로 무제한 가변적인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일반화된 어휘의미로서 동작류 의미는 언어적으로 다양한 방법과 종류로 표현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동작류를 표현하는 여러 언어적 표현 수단들 가운데 하나로서 명사적 확장구를 통한 동작류 형성이 주요 연구 대상으로 이들 사이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관관계가 구조 의미적 분석을 통해 심도 있게 고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의 의미 그룹의 분석에선 개별기능동사들이 지니는 일정한 파생명사와의 결합 법칙이 파악된다. 체계적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된 동작류 의미를 나타내는 명사적 확장구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요소들에 의해 차별화된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1) 강화 의미 2) 행위의 시작을 의미하는 기동적 의미 3) 행위의 진행을 나타내는 연속성 의미 4) 행위가 일정시간 지속되며 반복되는 지속성 또는 간헐적 의미 5)행위의 중단을 나타내는 종결 의미 6) 행위의 완료를 나타내는 결과적 의미. 본 연구를 통해 명사적 확장구들의 구성원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결과적으로 동작류 범주와 관련하여 명사적 확장구의 의미체계가 총체적으로 연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명사적 확장구가 동사 의미체계에서 접두동사의 동작류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동작류를 표현하는 주요한 언어적 수단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배, "행위양식과 명사적 확장구의 의미론" 한국슬라브어학회 11 : 187-206, 2006
2 송현배, "러시아어의 명사적 전환구의 의미론" 한국슬라브어학회 10 : 139-162, 2005
3 송현배, "동사의 행위양식에 대한 구조 의미적 분석" 2 : 1997
4 Апресян, Ю. Д,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е исследование семантики русского глагола" Москва 1967
5 Дерибас, В. М, "Устойчивые глагольно-именные словосочетани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75
6 Ушаков Д. Н.,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35
7 Ожегов, С. И,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92
8 Даль, В.,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Т. 1-4" Москва 1955
9 Ахманова, О. С, "Современные синтаксические теории" Москва 2003
10 "Словарь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АН СССР. Т. 1-17. Москва.-Ленинград. 1950-1965. (=БАС)"
1 송현배, "행위양식과 명사적 확장구의 의미론" 한국슬라브어학회 11 : 187-206, 2006
2 송현배, "러시아어의 명사적 전환구의 의미론" 한국슬라브어학회 10 : 139-162, 2005
3 송현배, "동사의 행위양식에 대한 구조 의미적 분석" 2 : 1997
4 Апресян, Ю. Д,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е исследование семантики русского глагола" Москва 1967
5 Дерибас, В. М, "Устойчивые глагольно-именные словосочетания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75
6 Ушаков Д. Н.,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35
7 Ожегов, С. И,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92
8 Даль, В., "Толковый словарь живого великорусского языка. Т. 1-4" Москва 1955
9 Ахманова, О. С, "Современные синтаксические теории" Москва 2003
10 "Словарь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АН СССР. Т. 1-17. Москва.-Ленинград. 1950-1965. (=БАС)"
11 Александрова, З. Е, "Словарь синонимов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75
12 Евгеньева, А. П, "Словарь синонимов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Ленинград 1970
13 Лукин, В. А., "Семантические примитивы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Основы теории" Москва 1990
14 Бережан, С. Г, "Семантическая эквивалентность лексических единиц" Киев 1973
15 Бондарко, А. В., "Русский глагол" Ленинград 1967
16 Маслов, Ю. С, "Роль так называемой перфективации и имперфективации в процессе возникно вения славянского глагольного вида" Москва 1958
17 Мельчук, И. А. О суплетивизме, "Проблемы структурной лингвистики" Москва 1971
18 Бондарко, А. В, "Принципы функциональной грамматики и вопросы и аспектологии" Ленинград 1983
19 Розенталь, А. Э., "Практическая стилистика русс. языка" Москва 1975
20 Мордвилко, А. П, "Очерки по русской фразеологии(именные и глагольные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обороты)" Москва 1964
21 Балли, Шарль, "Общая лингвистика и вопросы француз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55
22 Котелова, Н. З., "Новые слова и значения" Москва 1973
23 Маслов, Ю. С, "Морфология глагольного вида в современном болгарском литературном языке" Москва-Ленинград 1963
24 Уфимцева, А. А., "Лексическое значение: Принципы сем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писания лексики" Москва 1986
25 Апресян, Ю. Д, "Лексическая семантика, синонимические средства языка" Москва 1974
26 Шанский, Н. М, "Лексикология современного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72
27 Земская, Е. А,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грамматике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55
28 Прокопович, Н. Н., "Именно- глагольное управление в совр. русс. языке" Москва 1975
29 Мокиенко, В. М, "Загадки русской фразеологии" Москва 1990
30 Гвоздарев, Ю. А, "Грамматичесие отношения между компонентами субстантивно-глагольных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х сочетаний" Вопросы лексики и фразеологии совр. русс. языка. Ростов 1968
31 "Грамматика современого русского литературного языка" Москва 1970
32 Козьменко, В. А., "Глагольно-именные фразеологические обороты в совр. русс. лит. языке./обороты с глаголом “делать”/" Харъков 1955
33 Мордвилко, А. П., "Глагольно-именные описательные выражения как особый тип устой чивых словосочетанй - РЯШ" 1961
34 Вендина, Т. И, "Введение в языкознание" Москва 2001
35 Реформатский, А. А, "Введение в языковедение" Москва 2001
36 "Академическая рус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37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АН СССР. Т. 1-4, Москва. 1981-1984². (=МАС) Современный словарь иностранных слов" Москва 1992
38 Исаченко, А. В, "Die russische Sprache der Gegenwart" I. Formenlehre. Halle 1962
극동지역 최초의 고려인 영화『도적』-『선봉』에 기초하여
고골의 수수께끼성과 근대 러시아 비판에 대한 성서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6 | 0.16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 | 0.19 | 0.3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