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Moral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54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one of the recent instructive effort to find a way how moral classes can reach their goals. Genarally spe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practiced around western society. And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may be defined as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which holds that all students should be treatrd equally and given equal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cultivating their abilities regardless of their social or cultural background. It teaches respect for others and tolerance of the differences that exist among people. It also teaches students to treat others without bias. Most recently Korea society was made rapid change and called upon a new educational attempt. Multicultural society expects creative persons who understand and respect various types of people with open mind and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cooper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m. The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prepare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for korean people to understand and respect people of different race, gender, lanquage, class, etc. With this in view,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considerable value and meaning in education of korea. This study place the focus on three point. Firstly, discussion of development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econdly, discussion of applicabl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 in moral subject the third, discussion of an attemp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 in unification education. In process of study go on, val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in place the focus on these three point make clear. This approach might be useful methods to reduce the cultural shock related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Korea society and to develop cultural maturity of the people
      번역하기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one of the recent instructive effort to find a way how moral classes can reach their goals. Genarally spe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practiced around western society. And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may be defi...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is one of the recent instructive effort to find a way how moral classes can reach their goals. Genarally speaking, Multicultural education has practiced around western society. And also Multicultural education may be defined as an educational reform movement which holds that all students should be treatrd equally and given equal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cultivating their abilities regardless of their social or cultural background. It teaches respect for others and tolerance of the differences that exist among people. It also teaches students to treat others without bias. Most recently Korea society was made rapid change and called upon a new educational attempt. Multicultural society expects creative persons who understand and respect various types of people with open mind and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cooper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m. The obj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prepare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for korean people to understand and respect people of different race, gender, lanquage, class, etc. With this in view, this study attempts to show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considerable value and meaning in education of korea. This study place the focus on three point. Firstly, discussion of development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secondly, discussion of applicable possi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 in moral subject the third, discussion of an attempt of multicultural educational approach in unification education. In process of study go on, val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pproach in place the focus on these three point make clear. This approach might be useful methods to reduce the cultural shock related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Korea society and to develop cultural maturity of the peo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본격적으로 ‘다문화’에 관한 논의의 비약적인 증대와 더불어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필요성과 그러한 가치의 바람직한 실현 등 우리 사회가 맞이한 새로운 환경과 그러한 환경 속에서 해결해야 할 어려운 교육적 과제들을 던져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제 사회 전반에 걸쳐 본격적으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이 적극 부각되고 있다. 그렇다면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다문화교육은 인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집단에 속해 있는 서른 다른 사람들의 상호 이해와 평등 관계를 중시한다. 또한 민족, 사회적 지위, 성별, 종교, 이념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집단의 문화를 동등한 가치로 인식하며, 특히 학생들에게는 자신이 속해 있지 않은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다양한 문화를 올바로 이해시키기 위한 지식, 태도, 가치교육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의 핵심 가치들을 유념해 볼때, 다문화 사회로 들어선 한국은 안정적인 국가발전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적극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비록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미 학교교육에서는 다양한 교과에서 다문화교육과 이에 관련한 연구들이 수행중이거나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도덕교과에서는 다문화교육적 접근과 관련한 연구나 시도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살펴보고, 학교 교육의 여러 교과들 중 특히 도덕교과에 대한 다문화교육적 접근을 통해 그 의미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번역하기

      최근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본격적으로 ‘다문화’에 관한 논의의 비약적인 증대와 더불어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필요성과 ...

      최근 한국 사회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본격적으로 ‘다문화’에 관한 논의의 비약적인 증대와 더불어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필요성과 그러한 가치의 바람직한 실현 등 우리 사회가 맞이한 새로운 환경과 그러한 환경 속에서 해결해야 할 어려운 교육적 과제들을 던져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이제 사회 전반에 걸쳐 본격적으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중요성이 적극 부각되고 있다. 그렇다면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다문화교육은 인종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집단에 속해 있는 서른 다른 사람들의 상호 이해와 평등 관계를 중시한다. 또한 민족, 사회적 지위, 성별, 종교, 이념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집단의 문화를 동등한 가치로 인식하며, 특히 학생들에게는 자신이 속해 있지 않은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다양한 문화를 올바로 이해시키기 위한 지식, 태도, 가치교육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문화교육의 핵심 가치들을 유념해 볼때, 다문화 사회로 들어선 한국은 안정적인 국가발전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적극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비록 제한적이긴 하지만 이미 학교교육에서는 다양한 교과에서 다문화교육과 이에 관련한 연구들이 수행중이거나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도덕교과에서는 다문화교육적 접근과 관련한 연구나 시도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살펴보고, 학교 교육의 여러 교과들 중 특히 도덕교과에 대한 다문화교육적 접근을 통해 그 의미와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종호, "현대의 민족문제와 다문화주의: 한국: 단일민족 환상깨고 다문화주의로의 ‘전환시대’" 한국민족연구원 30 : 2007

      2 강휘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 (20): 2006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의 교육내용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006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대 대학원 2008

      5 전효관, "통일교육에 대한 무관심 현상과 다원화의 필요성 in: 통일교육의 다원화와 제도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통일교육협의회 부설 통일교육연구소 2002

      6 추병완, "통일교육" 하우 2002

      7 홍석준,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의 분절과 통합:‘다문화주의’와‘신민족주의’는병존가능한가?" 4 : 2004

      8 양영자, "분단-다문화시대 교육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모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07

      9 이향규, "민족화해시대의 통일교육 방향 in: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민간단체 통일교육 방향의 모색" 통일교육협의회 2001

      10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006

      1 송종호, "현대의 민족문제와 다문화주의: 한국: 단일민족 환상깨고 다문화주의로의 ‘전환시대’" 한국민족연구원 30 : 2007

      2 강휘원,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요인과 통합 정책"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 (20): 2006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의 교육내용 쟁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006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대 대학원 2008

      5 전효관, "통일교육에 대한 무관심 현상과 다원화의 필요성 in: 통일교육의 다원화와 제도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통일교육협의회 부설 통일교육연구소 2002

      6 추병완, "통일교육" 하우 2002

      7 홍석준,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의 분절과 통합:‘다문화주의’와‘신민족주의’는병존가능한가?" 4 : 2004

      8 양영자, "분단-다문화시대 교육이념으로서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의 양립가능성 모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007

      9 이향규, "민족화해시대의 통일교육 방향 in: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민간단체 통일교육 방향의 모색" 통일교육협의회 2001

      10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006

      11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4) : 2000

      12 박재의, "다문화교육 연구학교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방향 모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13 전희옥, "다문화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방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14 Stewart, Rohn, "The Reach Center and Multicultural(Multi-ethnic) Art Education, EDRS"

      15 Lisa A.Jones, "Teaching Citizenship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2004

      16 Rosa Hernandez Sheets, "Students Self-Empowerment: A Dimen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6 (6): 1999

      17 Banks,J., "Race, Cultural and Education" Routeldge 2006

      18 Steven Vertovec, "Multiculturalism, Culturalism and Public Incorporation ; Kymlicka & Norman,?Citizenship in Diverse Societies" . 19 : 2000

      19 J. A. Banks, "Multicultu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goals ;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3.28" Allyn & Bacon 1993

      20 Sleeter, C. E, "Multicultural education as social activism" Albany 1996

      21 Moore, O.K., "Learning theory and culture" 59 :

      22 Alkin,Marvin C., "Encyclopedia of EducationalResearch-sixth edition(vol.3)"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2

      23 Todd,R,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Cassell 1991

      24 White, L.A, "Culturalogical vs.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of Human Behavior" 12 :

      25 C. E. Sleeter,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57 :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