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스페인어 문화권 인문학.문화용어 사전 편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jority of the studies related to Spain and Latin America were so far published in forms of thesis and dissertation, fragmentary and unprofessional research results given by other field's researchers, or untrustworth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from unknown sources.
      So the actual state is that students, the public or even professional researchers have no fundamental access to the data on humanities and culture of Spanish-speaking areas. Therefore, this research team carried out the research of the terminology for Spanish-speaking culture areas' humanities and culture for three years based on the field's professional researchers' solid recognition, various viewpoints and in-depth knowledge with five specific targets below.

      1. To synthesize and systemize basic data on Spanish-speaking culture and its humanities.
      2. To provide specific and trustworthy fundamental data in the manner of compiling a dictionary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and outlining the terminology after investigating, collecting and analyzing.
      3. To secure practical basic information on Spanish-speaking culture and its humanities.
      4. To establish the unity of academic terminology for Spanish-speaking culture and its humanities.
      5.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the data mentioned above.

      For these ob
      번역하기

      The majority of the studies related to Spain and Latin America were so far published in forms of thesis and dissertation, fragmentary and unprofessional research results given by other field's researchers, or untrustworth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

      The majority of the studies related to Spain and Latin America were so far published in forms of thesis and dissertation, fragmentary and unprofessional research results given by other field's researchers, or untrustworthy information on the internet from unknown sources.
      So the actual state is that students, the public or even professional researchers have no fundamental access to the data on humanities and culture of Spanish-speaking areas. Therefore, this research team carried out the research of the terminology for Spanish-speaking culture areas' humanities and culture for three years based on the field's professional researchers' solid recognition, various viewpoints and in-depth knowledge with five specific targets below.

      1. To synthesize and systemize basic data on Spanish-speaking culture and its humanities.
      2. To provide specific and trustworthy fundamental data in the manner of compiling a dictionary by systematically organizing and outlining the terminology after investigating, collecting and analyzing.
      3. To secure practical basic information on Spanish-speaking culture and its humanities.
      4. To establish the unity of academic terminology for Spanish-speaking culture and its humanities.
      5.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the data mentioned above.

      For these ob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전까지 스페인·라틴아메리카 관련 연구는 대부분 논문 형태로 출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성이 결여된 타 분야 일부 연구자들이 낸 파편적이고 비효율적이며 비전문적인 연구 결과들과 인터넷 등지에 떠도는 출처 불명의 신뢰할 수 없는 정보들이 정보 출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이나 일반인은 물론이고 전문 연구자들조차도 스페인어 문화권의 인문학 및 문화 자료에 쉽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지니지 못한 것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팀은 각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지닌 확고한 인식, 다양한 시각, 심도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스페인어 문화권 인문학·문화용어 연구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구체적 목적을 가지고 3개 년도에 걸쳐 수행하였다.

      첫째, 스페인어 문화권의 문화와 인문학에 대한 기초자료를 종합화·체계화한다.
      둘째, 사전 작업 방식으로 용어를 조사·수집·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기술함으로써 구체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토대 자료를 마련한다.
      셋째, 실용성을 지향하는 스페인어 문화권 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넷째, 스페인어 문화권 관련 학술용어의 통일성을 확립한다.
      다섯째, 자료의 가용성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목적 아래 본 연구는 스페인어 문화권인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문학, 종교, 사상 등 인문학과 문화에 대한 기초정보와 연구 자료를 엄격한 기준과 원칙하에 스페인어 문화권 인문학·문화의 각 분야별(문학·역사·사상·종교·문화 등) 주요 표제어 500개와 하위 표제어 7500개를 선정하여 스페인어권 인문학ㆍ문화용어 사전을 집대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페인어 문화권을 지리적 기준에 따라 유럽(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브라질을 제외한 중남미 전역)로 구분하여 그 역사의 흐름 속에서 드러난 각각의 인문학적·문화적 특징을 조망하였다. 동시에 동일 언어권이기에 각별히 상호 영향력이 강했던 두 지역이 각각 수용해온 외부적 영향을 고려하여 기존의 인문학적·문화적 특성에서 새롭게 생성·발전된 인문학적·문화적 특징을 중첩시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의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기 때문에 객관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스페인 및 라틴아메리카 인문학과 문화 전문가 6명이 팀을 구성하여 연구대상 표제어의 선정 및 집필에 투입되었다. 3년간의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민관단체 및 해당 분야의 전문가뿐 아니라 스페인어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과 학생들도 자유롭게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과 시사성을 제공하는 원천이 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작·공유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전까지 스페인·라틴아메리카 관련 연구는 대부분 논문 형태로 출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성이 결여된 타 분야 일부 연구자들이 낸 파편적이고 비효율적이며 비전문적인 연구 결과...

      이전까지 스페인·라틴아메리카 관련 연구는 대부분 논문 형태로 출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성이 결여된 타 분야 일부 연구자들이 낸 파편적이고 비효율적이며 비전문적인 연구 결과들과 인터넷 등지에 떠도는 출처 불명의 신뢰할 수 없는 정보들이 정보 출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학생이나 일반인은 물론이고 전문 연구자들조차도 스페인어 문화권의 인문학 및 문화 자료에 쉽고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지니지 못한 것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팀은 각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이 지닌 확고한 인식, 다양한 시각, 심도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스페인어 문화권 인문학·문화용어 연구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구체적 목적을 가지고 3개 년도에 걸쳐 수행하였다.

      첫째, 스페인어 문화권의 문화와 인문학에 대한 기초자료를 종합화·체계화한다.
      둘째, 사전 작업 방식으로 용어를 조사·수집·분석하여 체계적으로 정리․기술함으로써 구체적이고도 신뢰할 수 있는 토대 자료를 마련한다.
      셋째, 실용성을 지향하는 스페인어 문화권 관련 기초자료를 확보한다.
      넷째, 스페인어 문화권 관련 학술용어의 통일성을 확립한다.
      다섯째, 자료의 가용성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목적 아래 본 연구는 스페인어 문화권인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문학, 종교, 사상 등 인문학과 문화에 대한 기초정보와 연구 자료를 엄격한 기준과 원칙하에 스페인어 문화권 인문학·문화의 각 분야별(문학·역사·사상·종교·문화 등) 주요 표제어 500개와 하위 표제어 7500개를 선정하여 스페인어권 인문학ㆍ문화용어 사전을 집대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페인어 문화권을 지리적 기준에 따라 유럽(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브라질을 제외한 중남미 전역)로 구분하여 그 역사의 흐름 속에서 드러난 각각의 인문학적·문화적 특징을 조망하였다. 동시에 동일 언어권이기에 각별히 상호 영향력이 강했던 두 지역이 각각 수용해온 외부적 영향을 고려하여 기존의 인문학적·문화적 특성에서 새롭게 생성·발전된 인문학적·문화적 특징을 중첩시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의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기 때문에 객관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스페인 및 라틴아메리카 인문학과 문화 전문가 6명이 팀을 구성하여 연구대상 표제어의 선정 및 집필에 투입되었다. 3년간의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민관단체 및 해당 분야의 전문가뿐 아니라 스페인어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과 학생들도 자유롭게 활용하여 다양한 시각과 시사성을 제공하는 원천이 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제작·공유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