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과 작문의 독자 이론 -페렐만(Perelman)과 파크(Park)의 논의를 중심으로- = Perelman`s Universal Audience and Audience Theory of Wri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3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작문 이론의 관점에서 페렐만(Perelman)의 청중 이론을 분석한 것이다. 페렐만의 청중 이론은 페렐만이 전통적 수사학을 현대사회에 맞게 새롭게 주창한 <신수사학>의 핵심 개념이다. 페렐만은 논증추론의 타당성과 합당성에 대한 근거를 찾기 위해 청중(audience)에 주목했다. 수사학에서 담론의 성공과 실패는 결국 청중을 설득하느냐, 못 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페렐만의 수사학에서 청중은 가장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작문 이론은 수사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논문에서는 수사학에서의 청중 개념과 글쓰기에서의 독자 개념에 대해 페렐만과 파크(Park)의 관점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작문 이론에서 독자 개념은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전달받는독자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호출하는 독자 개념’이다. 전자는 전통적인 수사학적 관점이며, 후자는 수사학적 관점을 비판하고 새롭게 제기된 관점이다. 페렐만은 신수사학 통해 전통적 관점과 결별하고 후자의 관점을 택한다. 다시 말해 청중은 독자 개념과 같이 작가의 주관 속에 호출된 존재로서 관념의 산물이다. 독자는 실재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필자의 의식 속에 상상된 허구의 산물인 것이다. 페렐만의 이런 관점은 전통적 수사학과 결별한 매우 선진적인 것이었다. 파크 역시 독자를 허구적 존재, 즉 호출된 존재로 보았다는 점에서 페렐만과 유사하다. 그러나 청중이나 독자를 규정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파크는 페렐만과 생각을 달리한다. 페렐만은 보편청중의 개념을 통해 오디언스를 보편적 합리성, 보편적이성의 의미로 사용한다. 그래서 이를 모든 수사적 담론의 이성적 판단근거로 사용했다. 이에 반해 파크는 독자를 보다 구체적인 맥락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페렐만의 관점을 추상적이라고 비판한다. 파크는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이 실제 창작과정에서 구현할 수 없는 주관적, 관념적산물로 인식했던 것이다. 파크처럼 기능면에서 독자를 분석하면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은 담화공동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은 한 시대, 한 집단의 통념과 가치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이론을 비교하며 이런 점을 밝히고자 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작문 이론의 관점에서 페렐만(Perelman)의 청중 이론을 분석한 것이다. 페렐만의 청중 이론은 페렐만이 전통적 수사학을 현대사회에 맞게 새롭게 주창한 <신수사학>의 핵심 개념...

      이 논문은 작문 이론의 관점에서 페렐만(Perelman)의 청중 이론을 분석한 것이다. 페렐만의 청중 이론은 페렐만이 전통적 수사학을 현대사회에 맞게 새롭게 주창한 <신수사학>의 핵심 개념이다. 페렐만은 논증추론의 타당성과 합당성에 대한 근거를 찾기 위해 청중(audience)에 주목했다. 수사학에서 담론의 성공과 실패는 결국 청중을 설득하느냐, 못 하느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페렐만의 수사학에서 청중은 가장 중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작문 이론은 수사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논문에서는 수사학에서의 청중 개념과 글쓰기에서의 독자 개념에 대해 페렐만과 파크(Park)의 관점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본다. 작문 이론에서 독자 개념은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전달받는독자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호출하는 독자 개념’이다. 전자는 전통적인 수사학적 관점이며, 후자는 수사학적 관점을 비판하고 새롭게 제기된 관점이다. 페렐만은 신수사학 통해 전통적 관점과 결별하고 후자의 관점을 택한다. 다시 말해 청중은 독자 개념과 같이 작가의 주관 속에 호출된 존재로서 관념의 산물이다. 독자는 실재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필자의 의식 속에 상상된 허구의 산물인 것이다. 페렐만의 이런 관점은 전통적 수사학과 결별한 매우 선진적인 것이었다. 파크 역시 독자를 허구적 존재, 즉 호출된 존재로 보았다는 점에서 페렐만과 유사하다. 그러나 청중이나 독자를 규정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파크는 페렐만과 생각을 달리한다. 페렐만은 보편청중의 개념을 통해 오디언스를 보편적 합리성, 보편적이성의 의미로 사용한다. 그래서 이를 모든 수사적 담론의 이성적 판단근거로 사용했다. 이에 반해 파크는 독자를 보다 구체적인 맥락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페렐만의 관점을 추상적이라고 비판한다. 파크는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이 실제 창작과정에서 구현할 수 없는 주관적, 관념적산물로 인식했던 것이다. 파크처럼 기능면에서 독자를 분석하면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은 담화공동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페렐만의 보편청중 개념은 한 시대, 한 집단의 통념과 가치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이론을 비교하며 이런 점을 밝히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analyze Perelman``s Audience in writing theory. Perelman`s Audience theory is the key concept of New Rhetoric that Perelman changed traditional rhetoric into the new rhetoric to fit modern society. Perelman emphasized the audience to take the evidence on the validity and rationality in argument inference. The success and failure in rhetoric depends on whether it persuades the audience or not. Therefore the audience is very important in Perelman`s rhetoric. Specifically He think that universal audience is more important than particular audience. Traditional writing theor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hetoric. This article examines Perelman and Park`s point of view in rhetoric`s audience and writing`s audience. Writing`s audience is divided into two ways in writing theory. One is ``audience as addressed`` and the other is ``audience as invoked``. The former is a new viewpoint and the latter is traditional rhetoric. Perelman doesn`t use traditional viewpoints any longer in new rhetoric and chooses the audience as invoked. Generally readers are just fiction that writers make in the imagination. Park believes that the audience as invoked is to be produced in the writing. Namely the readers perform the function of context in writing process. If Perelman sees the audience in the functional aspects, his audience corresponds to discourse community. This article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the two theo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o analyze Perelman``s Audience in writing theory. Perelman`s Audience theory is the key concept of New Rhetoric that Perelman changed traditional rhetoric into the new rhetoric to fit modern society. Perelman emphasized the audience t...

      This article is to analyze Perelman``s Audience in writing theory. Perelman`s Audience theory is the key concept of New Rhetoric that Perelman changed traditional rhetoric into the new rhetoric to fit modern society. Perelman emphasized the audience to take the evidence on the validity and rationality in argument inference. The success and failure in rhetoric depends on whether it persuades the audience or not. Therefore the audience is very important in Perelman`s rhetoric. Specifically He think that universal audience is more important than particular audience. Traditional writing theor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hetoric. This article examines Perelman and Park`s point of view in rhetoric`s audience and writing`s audience. Writing`s audience is divided into two ways in writing theory. One is ``audience as addressed`` and the other is ``audience as invoked``. The former is a new viewpoint and the latter is traditional rhetoric. Perelman doesn`t use traditional viewpoints any longer in new rhetoric and chooses the audience as invoked. Generally readers are just fiction that writers make in the imagination. Park believes that the audience as invoked is to be produced in the writing. Namely the readers perform the function of context in writing process. If Perelman sees the audience in the functional aspects, his audience corresponds to discourse community. This article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the two theor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