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에서의 잠재성 개념 도입은 현대건축에서의 건축가와 철학가의 만남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출발점은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위한 건축분야의 자구책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02922
2013
Korean
540
KCI등재
학술저널
23-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건축에서의 잠재성 개념 도입은 현대건축에서의 건축가와 철학가의 만남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출발점은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위한 건축분야의 자구책에서 ...
건축에서의 잠재성 개념 도입은 현대건축에서의 건축가와 철학가의 만남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출발점은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위한 건축분야의 자구책에서 시작되어진 시대적 산물이었다. 이러한 잠재성의 개념은 건축에 있어 공간 구축의 철학적 의미와 가능성 그리고 공간의 다양한 의미부여와 인문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갖게 하였다. 최근 디지털 디자인 건축언어로 표현되고 구축되고 있는 잠재성 공간은 철학적 이론과 개념을 바탕이 된 건축의 새로운 시도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공간구성에 있어 철학적 접근의 수단을 현대기술의 하나인 디지털 건축언어로만 해결하려는 움직임은 현실적 구축의 건축을 더욱더 난해하고 힘들게 하였으며 기존의 축적된 건축기술과 역사적 흐름의 단절을 갖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근현대의 건축 교육을 바탕으로 일본의 지역적 특생이 돋보이는 건축가 SANAA, Ito Toyo, Maki Fumihiko의 공공시설건축물을 선정하여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공간 구성의 기본단위중 수직성분인 벽과 기둥의 정의로서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작품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건축물에 구축된 벽과 기둥의 특성을 추출한다. 그를 바탕으로 잠재성 공간의 형성과 특징을 밝혀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일본 현대건축의 특성으로 세계사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성의 조화를 이루었음을 알고, 그것에 나타난 공공시설의 잠재성 공간 구축의 특성을 파악하며 그를 통한 잠재성 공간의 필요성과 표현적 접근방법의 다양성과 새로운 건축 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탈리아신 펠로우쉽 설립배경과 역할 연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의 건물 입면 디자인 요소들 및 환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