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재강, "훈민시조 작가와 작품의 역사적 성격" 한국어문학회 79 : 491-516, 2003
2 박요순, "옥소 권섭의 시가 연구" 동국대학교 1986
3 문경새재 박물관, "옥소 권섭의 꿈세계—내 사는 곳이 마치 그림 같은데" 다운샘 1-327, 2003
4 송미라, "옥소 권섭 시조의 연구" 안동대학교 2009
5 정철진, "옥소 권섭 시조 연구" 계명대 2000
6 복희, "역경"
7 박요순, "신발견 황강구곡가고 in: 월암박성의박사환력기념논총" 동간행위원회 113-126, 1977
8 전재강, "시조 문학의 이념과 풍류" 보고사 109-396, 2007
9 전재강, "시조 문학에 나타난 유교 학문과 시적 자아의 성격" 한국어문학회 (93) : 2006
10 전재강, "송도적 시조의 작가와 작품의 성격" 한국어문학회 (96) : 191-220, 2007
1 전재강, "훈민시조 작가와 작품의 역사적 성격" 한국어문학회 79 : 491-516, 2003
2 박요순, "옥소 권섭의 시가 연구" 동국대학교 1986
3 문경새재 박물관, "옥소 권섭의 꿈세계—내 사는 곳이 마치 그림 같은데" 다운샘 1-327, 2003
4 송미라, "옥소 권섭 시조의 연구" 안동대학교 2009
5 정철진, "옥소 권섭 시조 연구" 계명대 2000
6 복희, "역경"
7 박요순, "신발견 황강구곡가고 in: 월암박성의박사환력기념논총" 동간행위원회 113-126, 1977
8 전재강, "시조 문학의 이념과 풍류" 보고사 109-396, 2007
9 전재강, "시조 문학에 나타난 유교 학문과 시적 자아의 성격" 한국어문학회 (93) : 2006
10 전재강, "송도적 시조의 작가와 작품의 성격" 한국어문학회 (96) : 191-220, 2007
11 정흥모, "사대부 시조의 변모-옥소 권섭의 시조 in: 조선후기 사대부시조의 세계 인식" 월인 28-56, 2001
12 전재강, "사대부 시조 작품론" 새문사 1-364, 2006
13 전재강, "도산십이곡의 이기론적 근거와 내적 질서 연구" 한국어문학회 70 : 217-241, 2000
14 노자, "도덕경"
15 전재강, "도가 관련 시조의 작자와 주제 문제" 한국어문학회 (73) : 445-470, 2001
16 박요순, "권섭론 in: 속·고시조작가론" 백산출판사 277-316, 1990
17 강정서, "구곡가계 시가에 나타난 공간 이미지와 지향의식" 경북대학교 1993
18 전재강, "고산구곡가의 충담소산과 이기묘적·주성적 성격" 안동어문학회 6 : 95-115, 2001
19 김문기, "경북의 구곡문화" 경상북도·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434, 2008
20 장정수, "黃江九曲歌의 창작 배경 및 구성 방식" 한국시조학회 21 : 241-269, 2004
21 권섭, "玉所稿 1-17권" 다운샘 2007
22 김문기, "九曲歌系 詩歌의 계보와 전개양상" 경북대 사범대 국어교육연구회 35-86, 1991
23 이상원, "<도통가>와 <황강구곡가> 창장의 배경과 그 의미 in: 조선시대 시가사의 구도와 시각" 보고사 259-277, 2004
24 신경숙, "18세기 예술·사회사와 옥소 권섭" 다운샘 1-31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