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olbutamide 가 AIIoxan 糖尿家兎의 心血管系의 微細構造에 미치는 影響 = Effects of Tolbutamide on Cardiovacular Fine Structures of Alloxan Induced Diabetic Rabb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604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는 최근에 그 기전은 모르지만, 고혈압과의 관계에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는 항경구당뇨제인 D-860이, alloxan 당뇨가토의 심·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형태학적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백색가토에 alloxan을 체중 1㎏당 130㎎씩 투여하여, alloxan 당뇨가토를 만든 후, 한편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사육하다가 3개월 및 6개월째가 되면 각기 검색하여 심장과 총경동맥의 소견을 관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방법으로 만든 alloxan가토에 D-860을 1㎏당 100㎎씩 및 200㎎을 1일 1회씩 매일 계속적으로 투여하다가, 역시 3개월 및 6개월째가 되면 각기 검색하여 심장과 총경동맥의 소견을 관찰하였다. 이들에서 얻은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光顯으로는, 심근섬유의 공포성변성, 관상동맥 주위의 섬유화 및 동맥의 중막근세포의 위축과 근세포간의 부종 및 섬유화 등이 일어났는데 이들은 모두 경한 변화들이었다. 이들 변화중 심근 및 관상 동맥의 것은 alloxan 당뇨가토군이, alloxan 당뇨가토에 D-860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현저한 경향이었고, 경동맥의 그것은 후자가 더 현저한 경향이었다.
      電顯으로는, 심근세포가 있어서는 세포질내에 대소공포의 출현과 myofibril의 走行의 붙규칙이, 관상동맥에 있어서는 기저막하의 교원섬유의 증가가, 그리고 경동맥에 있어서는 내피세포의 모양의 불규칙, 내막하 조직의 부종과 교원섬유의 증가, 내탄성판의 비후, 증막의 평활근세포의 위축과 간질조직의 부종 및 교원섬유의 증가 등이었다. 이들 변화중 심근 및 관상동맥의 것은 alloxan 당뇨가토군이, alloxan 당뇨가토에 D-860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더 현저한 경향이었으며, 경동맥의 그것은 후자에서 더 현저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연구 성적으로 보아 alloxan 당뇨가토에 D-860을 계속 투여하면 심근세포 및 관상현관에는 별 영향을 주는 것 같지 않으나, 경동맥에는 내피세포의 모양의 불규칙, 내피하의 부종과 교원 섬유의 증식, 내탄성판의 비후, 평활근세포의 위축, 간질조직의 부종 및 교원섬유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증식성 및 퇴행성변화가 alloxan 당뇨가토군에 비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이 경동맥의 변화는 고혈압과의 관계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소견이 아닌가 생각된다.
      번역하기

      저자는 최근에 그 기전은 모르지만, 고혈압과의 관계에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는 항경구당뇨제인 D-860이, alloxan 당뇨가토의 심·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형태학적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

      저자는 최근에 그 기전은 모르지만, 고혈압과의 관계에 있어서 주목을 받고 있는 항경구당뇨제인 D-860이, alloxan 당뇨가토의 심·혈관에 미치는 영향을 형태학적 측면에서 알아보기 위하여, 백색가토에 alloxan을 체중 1㎏당 130㎎씩 투여하여, alloxan 당뇨가토를 만든 후, 한편으로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고 그대로 사육하다가 3개월 및 6개월째가 되면 각기 검색하여 심장과 총경동맥의 소견을 관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방법으로 만든 alloxan가토에 D-860을 1㎏당 100㎎씩 및 200㎎을 1일 1회씩 매일 계속적으로 투여하다가, 역시 3개월 및 6개월째가 되면 각기 검색하여 심장과 총경동맥의 소견을 관찰하였다. 이들에서 얻은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光顯으로는, 심근섬유의 공포성변성, 관상동맥 주위의 섬유화 및 동맥의 중막근세포의 위축과 근세포간의 부종 및 섬유화 등이 일어났는데 이들은 모두 경한 변화들이었다. 이들 변화중 심근 및 관상 동맥의 것은 alloxan 당뇨가토군이, alloxan 당뇨가토에 D-860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현저한 경향이었고, 경동맥의 그것은 후자가 더 현저한 경향이었다.
      電顯으로는, 심근세포가 있어서는 세포질내에 대소공포의 출현과 myofibril의 走行의 붙규칙이, 관상동맥에 있어서는 기저막하의 교원섬유의 증가가, 그리고 경동맥에 있어서는 내피세포의 모양의 불규칙, 내막하 조직의 부종과 교원섬유의 증가, 내탄성판의 비후, 증막의 평활근세포의 위축과 간질조직의 부종 및 교원섬유의 증가 등이었다. 이들 변화중 심근 및 관상동맥의 것은 alloxan 당뇨가토군이, alloxan 당뇨가토에 D-860을 투여한 군에서 보다 더 현저한 경향이었으며, 경동맥의 그것은 후자에서 더 현저한 경향이었다.
      이상의 연구 성적으로 보아 alloxan 당뇨가토에 D-860을 계속 투여하면 심근세포 및 관상현관에는 별 영향을 주는 것 같지 않으나, 경동맥에는 내피세포의 모양의 불규칙, 내피하의 부종과 교원 섬유의 증식, 내탄성판의 비후, 평활근세포의 위축, 간질조직의 부종 및 교원섬유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증식성 및 퇴행성변화가 alloxan 당뇨가토군에 비하여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이 경동맥의 변화는 고혈압과의 관계에 있어서 주목할만한 소견이 아닌가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have studi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cardiovascular system induced by oral hypoglycemic agent, D-860, which recently called attention in the aspect of its relation to the genesis of hypertension.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were prepared by injection 130㎎ of alloxan per ㎏ of body weight. These diabetic animals, then were administered 100㎎ and 200㎎ of D-860, per ㎏ of body weights for 3 and 6 months, respectively. Control groups were prepared by the same procedures except giving D-860. Animals were sacrificed and hearts and common carotid arteries were extirpated and then examined by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Light microscopically, vacuolar degeneration of myocardial fiber, pericoronary fibrosis, and atrophy of smooth muscle cells and interstitial edema and fibrosis of media in the common carotid artery were observed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ut these changes were milder. The changes of the myocardium and coronary arteries were more severe in control group, while the changes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were more s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myocardial cells showed appearance of variable sized vacuoles in the sarcoplasm and irregularity of directions of myofibrils. The coronary artery showed increase of collagen fibers under the basement membrane, and common carotid artery showed irregularity of the surface of endothelial cells, edema and increase of collagen fiber in the subintimal layer, thickening of internal elastic membrane, atrophy of smooth muscle cells, interstitial edema and increase of collagen fiber in the media. Among these changes, those of myocardium and coronary artery were more severe in the control group, but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severe changes in the common carotid artery.
      From the basis that continued administration of D-860 to the alloxan-diabetic rabbits could induce more server proliferative and degenerative changes in carotid artery rather than myocardium and coronary artery, compared with non-D-860-treated 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changes of common carotid artery were possibly significant in the genesis of hypertension.
      번역하기

      The author have studi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cardiovascular system induced by oral hypoglycemic agent, D-860, which recently called attention in the aspect of its relation to the genesis of hypertension.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were p...

      The author have studied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cardiovascular system induced by oral hypoglycemic agent, D-860, which recently called attention in the aspect of its relation to the genesis of hypertension.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were prepared by injection 130㎎ of alloxan per ㎏ of body weight. These diabetic animals, then were administered 100㎎ and 200㎎ of D-860, per ㎏ of body weights for 3 and 6 months, respectively. Control groups were prepared by the same procedures except giving D-860. Animals were sacrificed and hearts and common carotid arteries were extirpated and then examined by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Light microscopically, vacuolar degeneration of myocardial fiber, pericoronary fibrosis, and atrophy of smooth muscle cells and interstitial edema and fibrosis of media in the common carotid artery were observed in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ut these changes were milder. The changes of the myocardium and coronary arteries were more severe in control group, while the changes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were more s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Electron microscopically, the myocardial cells showed appearance of variable sized vacuoles in the sarcoplasm and irregularity of directions of myofibrils. The coronary artery showed increase of collagen fibers under the basement membrane, and common carotid artery showed irregularity of the surface of endothelial cells, edema and increase of collagen fiber in the subintimal layer, thickening of internal elastic membrane, atrophy of smooth muscle cells, interstitial edema and increase of collagen fiber in the media. Among these changes, those of myocardium and coronary artery were more severe in the control group, but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severe changes in the common carotid artery.
      From the basis that continued administration of D-860 to the alloxan-diabetic rabbits could induce more server proliferative and degenerative changes in carotid artery rather than myocardium and coronary artery, compared with non-D-860-treated control group,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se changes of common carotid artery were possibly significant in the genesis of hyperten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