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공간 경험을 위한 ‘상상 풍경’ 프로젝트 = ‘Imaginary Landscape’ Project for a Space Experience Where Reality and Virtuality are Combine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9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 conducted in an effort to realize an 'imaginary landscape' in which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are integrate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a arts in actual places. This experiment attempts to create a new space using invisible display technology with transparency by which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are unified. Reality integrated with the virtual world changes into a conceptual space within an idea, and the space mixed with the world within the idea leads to an imaginary space, a new media-combined space. Interfaces in the high-tech era are not limited to simple two-dimensional visual perception display media but pursue the integration of reality and the virtual realm beyond virtual reality. This phenomenon requires a wide range of technical and artistic integration with various fields and requires practical technicalization and research on applications in multiple fields. In the area of media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 fusion between science and art, research on practical technologies and experiments in which artistic creations are not divided into a dichotomy are required, and the “imaginary landscape” project was planned as a venue for such media art experiment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artistic meaning of experimental explorations of an invisible screen and media installations in actual environments. During the project, visual experience in the environment is directly presented to the viewer and communicated with the place, thereby creating a multidimensional spatial production. That induces an emotional experience in the individual in a public space, expanding such an experience back into the public space and allowing viewers to experience this type of new space. In an ideological sense, the expansion of place and the perception of space will bring an image of the imagination into reality and motivate an experience of the landscape of the imagination. Through this project, we can look forward to an aesthetic experience of a space to as to stimulate the imagination and realize the objects of the imagination in reality.
      번역하기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 conducted in an effort to realize an 'imaginary landscape' in which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are integrate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a arts in actual places. This experiment attempts to create a new space usi...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 conducted in an effort to realize an 'imaginary landscape' in which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are integrate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a arts in actual places. This experiment attempts to create a new space using invisible display technology with transparency by which the virtual world and reality are unified. Reality integrated with the virtual world changes into a conceptual space within an idea, and the space mixed with the world within the idea leads to an imaginary space, a new media-combined space. Interfaces in the high-tech era are not limited to simple two-dimensional visual perception display media but pursue the integration of reality and the virtual realm beyond virtual reality. This phenomenon requires a wide range of technical and artistic integration with various fields and requires practical technicalization and research on applications in multiple fields. In the area of media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 fusion between science and art, research on practical technologies and experiments in which artistic creations are not divided into a dichotomy are required, and the “imaginary landscape” project was planned as a venue for such media art experiments.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artistic meaning of experimental explorations of an invisible screen and media installations in actual environments. During the project, visual experience in the environment is directly presented to the viewer and communicated with the place, thereby creating a multidimensional spatial production. That induces an emotional experience in the individual in a public space, expanding such an experience back into the public space and allowing viewers to experience this type of new space. In an ideological sense, the expansion of place and the perception of space will bring an image of the imagination into reality and motivate an experience of the landscape of the imagination. Through this project, we can look forward to an aesthetic experience of a space to as to stimulate the imagination and realize the objects of the imagination in re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실제 장소에서의 미디어아트 실천을 통한 가상과 현실이 일체화된 ‘상상 풍경’의 구현을 위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이 실험은 투명성을 지닌 비가시적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과 현실이 일원화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과 일체화된 현실은 관념 속의 개념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관념 속의 세계와 혼합된 공간은 새로운 미디어 결합 공간인 상상적 공간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이테크 시대의 인터페이스는 2차원적인 단순 시각인지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가상현실을 넘어 현실과 가상의 일체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분야와의 기술적, 예술적 통합을 광범위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현실적인 기술화와 더불어 다분야에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미디어아트에서는 과학과 예술의 융합적 관점에서 실제적 기술에 관한 연구와 예술적 창작의 이분화 된 연구가 아닌 하나로 융화된 실험이 필요하며, 이러한 미디어아트 실험의 장으로서 ‘상상 풍경’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가시적 스크린의 실험적 탐색과 현실 환경에서 미디어설치의 예술적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에서는 관람자에게 환경에서의 시각경험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여 장소와 소통함으로써 다차원적 공간생산을 불러일으킨다. 공공 공간에서의 개인의 감성적 경험을 유도하고, 다시 공공 공간으로 확장하면서 관람자로 하여금 새로운 공간을 경험하게 한다. 관념적 의미에서 장소성의 확장과 공간인식은 상상의 이미지를 현실로 불러들여 상상의 풍경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고 그러한 상상을 현실로 실현시킬 수 있는 공간의 미적 경험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실제 장소에서의 미디어아트 실천을 통한 가상과 현실이 일체화된 ‘상상 풍경’의 구현을 위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이 실험은 투명성을 지닌 비가시적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

      본 논문은 실제 장소에서의 미디어아트 실천을 통한 가상과 현실이 일체화된 ‘상상 풍경’의 구현을 위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이 실험은 투명성을 지닌 비가시적 디스플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과 현실이 일원화된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과 일체화된 현실은 관념 속의 개념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관념 속의 세계와 혼합된 공간은 새로운 미디어 결합 공간인 상상적 공간으로 이어지게 된다. 하이테크 시대의 인터페이스는 2차원적인 단순 시각인지의 디스플레이 매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가상현실을 넘어 현실과 가상의 일체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분야와의 기술적, 예술적 통합을 광범위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현실적인 기술화와 더불어 다분야에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 미디어아트에서는 과학과 예술의 융합적 관점에서 실제적 기술에 관한 연구와 예술적 창작의 이분화 된 연구가 아닌 하나로 융화된 실험이 필요하며, 이러한 미디어아트 실험의 장으로서 ‘상상 풍경’ 프로젝트를 기획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가시적 스크린의 실험적 탐색과 현실 환경에서 미디어설치의 예술적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에서는 관람자에게 환경에서의 시각경험을 직접적으로 제시하여 장소와 소통함으로써 다차원적 공간생산을 불러일으킨다. 공공 공간에서의 개인의 감성적 경험을 유도하고, 다시 공공 공간으로 확장하면서 관람자로 하여금 새로운 공간을 경험하게 한다. 관념적 의미에서 장소성의 확장과 공간인식은 상상의 이미지를 현실로 불러들여 상상의 풍경을 경험하게 할 것이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고 그러한 상상을 현실로 실현시킬 수 있는 공간의 미적 경험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Flusser V,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1" 천년의 상상 2014

      3 신승원, "앙리 르페브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 Flusser V,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5 Refevbre H,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6 Michelangelo di Lodovico Buonarroti Simoni, "the Last Judgement" Sistine Chapel 1541

      7 Julius Popp, "bit.fall [media installation]" South Bank 2010

      8 류재하, "Outdoor air-permeable dot screen"

      9 René François Ghislain Magritte, "Le chateau des Pyrenees [painting]" Israel Musium 1959

      10 firefly, "CIVANA Lights: Drone Show Spectacular" Arizona 2019

      1 Flusser V,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2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1" 천년의 상상 2014

      3 신승원, "앙리 르페브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4 Flusser V,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5 Refevbre H,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6 Michelangelo di Lodovico Buonarroti Simoni, "the Last Judgement" Sistine Chapel 1541

      7 Julius Popp, "bit.fall [media installation]" South Bank 2010

      8 류재하, "Outdoor air-permeable dot screen"

      9 René François Ghislain Magritte, "Le chateau des Pyrenees [painting]" Israel Musium 1959

      10 firefly, "CIVANA Lights: Drone Show Spectacular" Arizona 2019

      11 Julius Popp, "2015-2016 국립현대미술관 전시 정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