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0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보다 건강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3곳에서 조사된 367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프로그램과 Sobel's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자기개념, 자아분화가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았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자기개념, 부모애착, 자아분화의 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간에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셋째,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간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성과 주체성을 가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개인적 변인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 감소를 위해 개인적 변인인 자기개념과 자아분화를 발달 및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보다 건강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형성하...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보다 건강하고 원활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3곳에서 조사된 367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프로그램과 Sobel's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자기개념, 자아분화가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았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애착이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자기개념, 부모애착, 자아분화의 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간에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셋째,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 간에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로 인해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청소년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성과 주체성을 가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개인적 변인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대인관계문제 감소를 위해 개인적 변인인 자기개념과 자아분화를 발달 및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It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adolescents to form healthier and smo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ources of 367 students attending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Sobel's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whether parents attachment,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affects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The correla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examined to find out that the parents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lso, self-concept had the strongest impact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llowed by parents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ion.
      Second,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parents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lessen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Third,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parents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lessen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ion.
      These findings manifest the importance of personal variables on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As the adolescence is a period where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subjectivity ar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variabl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re should be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to develop and improve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which are personal variables, to reduce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It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a...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It intended to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adolescents to form healthier and smoot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resources of 367 students attending three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Sobel's 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whether parents attachment,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affects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The correlation of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as examined to find out that the parents attach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Also, self-concept had the strongest impact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followed by parents attachment and self-differentiaion.
      Second,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parents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lessen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Third, it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ion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parents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lessen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fferentiaion.
      These findings manifest the importance of personal variables on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As the adolescence is a period where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subjectivity are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personal variables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re should be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to develop and improve self-concept and self-differentiaion, which are personal variables, to reduce the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문제 10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1
      • 제 1 절 대인관계문제 11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문제 10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1
      • 제 1 절 대인관계문제 11
      • 제 2 절 부모애착 14
      • 제 3 절 자기개념 18
      • 제 4 절 자아분화 24
      • 제 3 장 연구방법 28
      • 제 1 절 연구대상 및 절차 28
      • 제 2 절 측정도구 28
      • 제 3 절 자료분석방법 34
      • 제 4 장 연구결과 35
      • 제 1 절 일반적 특성 35
      • 제 2 절 주요변인별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6
      • 제 3 절 부모애착, 자기개념과 자아분화의 회귀분석 39
      • 제 4 절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매개효과 검증 41
      • 제 5 절 부모애착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아분화 매개효과 검증 43
      • 제 5 장 논의 및 결론 45
      • 제 1 절 논의 45
      • 제 2 절 제한점 51
      • 참고문헌 52
      • 부록 67
      • 국문초록 77
      • ABSTRACT 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