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실태 분석 = An Analysis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Status of the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8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ge entrance rate, employment rate, and unemployment rate of the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South Korea and the trend of each status over the past 10 years.
      In the current article,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since 2002, published by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statu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many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chose job training programs for post-secondary students or job training programs in local welfare centers; (b) the unemployment rate for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decreased over time; (c) the employment rate for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decreased slightly, and (d) the employment rate for jobs or college careers not requiring assistance and support was very low.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ge entrance rate, employment rate, and unemployment rate of the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South Korea and the trend of each status over the past 10 years. In ...

      This study analyzed the college entrance rate, employment rate, and unemployment rate of the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South Korea and the trend of each status over the past 10 years.
      In the current article,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since 2002, published by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entrance and employment status. The results indicate that (a) many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chose job training programs for post-secondary students or job training programs in local welfare centers; (b) the unemployment rate for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decreased over time; (c) the employment rate for individuals graduating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s decreased slightly, and (d) the employment rate for jobs or college careers not requiring assistance and support was very l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실태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교육인적자원)에서 발간 된 지난 10년간의 특수교육통계(특수교육실태조사서) 중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졸업생 수, 진학생 수 및 진학률, 취업생 수 및 취업률, 그리고 미진학생․미취업생 수 및 미진학률․미취업률에 대한 통계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특성은 첫째, 특수학교(급) 졸업생의 많은 수가 전공과 진학 및 복지관 취업을 선택하였다. 둘째, 특수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다소간 감소한 반면 특수학급 졸업생의 취업률은 다소간 증가하였다. 넷째, 특수학교(급) 졸업생의 미진학률 및 미취업률은 다소간 감소하였다. 다섯째, 특수학교(급) 졸업생의 독립적 생활을 전제한 진학률 및 취업률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실태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교육인적자원)에서 발간 된 지난 10년간의 특수교육통...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학 및 취업 실태를 파악하고 그 특징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교육인적자원)에서 발간 된 지난 10년간의 특수교육통계(특수교육실태조사서) 중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졸업생 수, 진학생 수 및 진학률, 취업생 수 및 취업률, 그리고 미진학생․미취업생 수 및 미진학률․미취업률에 대한 통계 자료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특성은 첫째, 특수학교(급) 졸업생의 많은 수가 전공과 진학 및 복지관 취업을 선택하였다. 둘째, 특수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은 다소간 감소한 반면 특수학급 졸업생의 취업률은 다소간 증가하였다. 넷째, 특수학교(급) 졸업생의 미진학률 및 미취업률은 다소간 감소하였다. 다섯째, 특수학교(급) 졸업생의 독립적 생활을 전제한 진학률 및 취업률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섭,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지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정민호, "특수학교 학교기업형 직업훈련실 설치 사업의 전망과 과제" 국립특수교육원 2009

      3 김정희, "특수학교 직업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9 (9): 139-158, 2007

      4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별책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통계" 교육인적자원부 2008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7 노선욱, "특수교육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1

      8 조규영,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실천적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57-275, 2011

      9 김진호, "충남지역 특수학교 발달장애 졸업생의 성인생활 실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255-247, 2004

      10 정인숙,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특수교육기관과 관련기관 간의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49-366, 2008

      1 정희섭, "특수학교(급) 고등부 졸업생의 진로실태 및 진로 지원체지 구축방안" 국립특수교육원 2005

      2 정민호, "특수학교 학교기업형 직업훈련실 설치 사업의 전망과 과제" 국립특수교육원 2009

      3 김정희, "특수학교 직업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9 (9): 139-158, 2007

      4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별책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통계" 교육인적자원부 2008

      6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인적자원부 2001

      7 노선욱, "특수교육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1

      8 조규영,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실천적 진로 및 직업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57-275, 2011

      9 김진호, "충남지역 특수학교 발달장애 졸업생의 성인생활 실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255-247, 2004

      10 정인숙,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특수교육기관과 관련기관 간의 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349-366, 2008

      11 전보성,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전환교육 실태조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511-531, 2007

      12 조인수,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환교육과 서비스"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2

      13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4 곽지혜,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지역사회 현장중심 직업교육 실태와 개선방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143-165, 2011

      15 Wehman, P., "Transition: The bridge to adulthood. In Life beyond the classroom: Transition strategies for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Paul H. Brookes 4-42, 2006

      16 Bassett, D. S., "Research issues in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An exploratory survey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20 (20): 81-100, 1997

      17 Soderlund, J., "Parental perspectives on comprehensive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0 (20): 157-70, 1995

      18 Carter, E. W., "Meaningful work: Improving employment outcomes for transition-age youth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49 (49): 63-69, 2005

      19 Blackorby, J., "Longitudinal postschool outcomes of youth with disabilities: Finding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transition study" 62 (62): 399-413, 1996

      20 Drew, C J., "Intellectual disabilities across the lifespan" Merrill 2007

      21 Drew, C. J., "Intellectual disabilities across the lifespan" Merrill 2007

      22 Hardman, M. L., "Human exceptionality: School, community, and family" Cengage Learning 2010

      23 Mardman, M. J., "Human Exceptionality" Houghton Mifflin 2007

      24 Steere, D. E., "Growing up: Transition to adult lif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2007

      25 deFur, S., "Designing individualized education (IEP) transition plans"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ERIC Clearing house on Disabilities and Gifted Education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