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Family Factors and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538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동의 도덕성 발달이 가정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이다. 하지만 아동은 유아기 때부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의와 공평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적 판단, 즉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결정을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편의상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6, 7세 유아의 도덕성 발달이 어떤 가족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러 가족요인들 중에서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어머니의 가치관과 종교, 그리고 가정환경의 질에 초점을 두었다. 6, 7세 아동과 어머니 41쌍이 조사 관찰되었다. 아동의 도덕성 발달은 Moral Development Scale Interview에 의해, 어머니의 가치관은 Schaefer and Edgerton Rank-Order of Parental Values에 의해, 가정환경의 질은 Home Observation for the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Preschool Version)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correlation, t-test,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가 사용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즉, 어머니가 유아에게 지지적이고 자극적인 가정환경을 제공할수록 유아는 Moral Development Scale Interview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중회귀분석에서도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가정의 소득정도가 가정환경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아동의 도덕성 발달이 가정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이다. 하지만 아동은 유아기 때부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의...

      아동의 도덕성 발달이 가정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이미 여러 선행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이다. 하지만 아동은 유아기 때부터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의와 공평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덕적 판단, 즉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결정을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편의상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6, 7세 유아의 도덕성 발달이 어떤 가족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러 가족요인들 중에서 본 연구는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어머니의 가치관과 종교, 그리고 가정환경의 질에 초점을 두었다. 6, 7세 아동과 어머니 41쌍이 조사 관찰되었다. 아동의 도덕성 발달은 Moral Development Scale Interview에 의해, 어머니의 가치관은 Schaefer and Edgerton Rank-Order of Parental Values에 의해, 가정환경의 질은 Home Observation for the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Preschool Version)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correlation, t-test, multiple regression, path analysis 가 사용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즉, 어머니가 유아에게 지지적이고 자극적인 가정환경을 제공할수록 유아는 Moral Development Scale Interview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중회귀분석에서도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도덕성 발달을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가정의 소득정도가 가정환경의 질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mily factors included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 of family environment to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ere: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values, mother`s religion and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Forty-one 6- to 7-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in their home settings. Result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oral development of children. Mothers who provided a more stimulating home environment had children who received higher scores on the Moral Development Sca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번역하기

      Family factors included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 of family environment to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ere: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values, mother`s religion and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Forty-one 6- to 7-year-old c...

      Family factors included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 of family environment to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ere: socioeconomic status, maternal values, mother`s religion and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Forty-one 6- to 7-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in their home settings. Result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oral development of children. Mothers who provided a more stimulating home environment had children who received higher scores on the Moral Development Sca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o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1.77 2.21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