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바람이 시의 목을 베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4255622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한티재,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811.17 판사항(22)

      • ISBN

        9788997090617 03810 : ₩8,000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대구

      • 서명/저자사항

        바람이 시의 목을 베고 / 채형복 지음.

      • 기타서명

        채형복 시집

      • 형태사항

        146 p. ; 20 cm.

      • 총서사항

        한티재시선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순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청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1부 시선
        시선 1
        시선 2
        시선 3
        시선 4
        시선 5
        시선 6
        시선 7
        시선 8
        시선 9
        시선 10
        민들레
        나뭇가지를 자르며
        낙화
        가을
        까치밥
        겨울
        늦가을에


        2부 비탄
        부복
        비탄
        조선낫
        오체투지
        점─선
        추락 1
        추락 2
        어둠
        잡초
        디아스포라
        품위
        국장일
        허수아비
        굴뚝
        광란
        시지프스
        묵은 책을 정리하며
        은둔과 유목의 경계에서
        악몽

        3부 가면놀이
        교수님 스타일 1
        교수님 스타일 2
        교수님 스타일 3
        교수님 스타일 4
        교수님 스타일 5
        교수님 스타일 6
        교수님 스타일 7
        교수님 스타일 8
        교수님 스타일 9
        교수님 스타일 10
        가면놀이
        대학 정신
        죽음서곡
        독백 1
        독백 2
        독백 3
        독백 4
        독백 5

        발문 / 권순진
        시인의 말
      • 1부 시선
        시선 1
        시선 2
        시선 3
        시선 4
        시선 5
        시선 6
        시선 7
        시선 8
        시선 9
        시선 10
        민들레
        나뭇가지를 자르며
        낙화
        가을
        까치밥
        겨울
        늦가을에


        2부 비탄
        부복
        비탄
        조선낫
        오체투지
        점─선
        추락 1
        추락 2
        어둠
        잡초
        디아스포라
        품위
        국장일
        허수아비
        굴뚝
        광란
        시지프스
        묵은 책을 정리하며
        은둔과 유목의 경계에서
        악몽

        3부 가면놀이
        교수님 스타일 1
        교수님 스타일 2
        교수님 스타일 3
        교수님 스타일 4
        교수님 스타일 5
        교수님 스타일 6
        교수님 스타일 7
        교수님 스타일 8
        교수님 스타일 9
        교수님 스타일 10
        가면놀이
        대학 정신
        죽음서곡
        독백 1
        독백 2
        독백 3
        독백 4
        독백 5

        발문 / 권순진
        시인의 말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바람이 시의 목을 베고

      판매중

      미리보기

      8,000원 7,200원 (10%)

      종이책 구매

      400포인트 (5%)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바람이 시의 목을 베고 (채형복 시집)

      권위주의에 맞서 싸우는 따뜻한 감성의 리얼리스트! 채형복 시인은 로스쿨에서 법을 가르치는 법학자이다. 경직된 법학을 전공한 사람이 긴장의 이완을 위한 여기(餘技)나 문화적 취향쯤으로 시를 쓰는 게 아닐까 하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으나, 그에게 시는 그런 수준에 머물지 않는다. 정치철학자 ‘마사 누스바움’이 『시적 정의』(Poetic Justice)라는 책에서 “시인과 판사가 하나 되는 세상이라야 공적 영역에서 정의가 세워진다”고 한 역설을 마음속 깊이 새기고 사는 채형복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 『바람이 시의 목을 베고』는 우리에게 서늘한 기운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채형복의 시에 물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의 시에도 자연이 있고 계절의 오고 감이 있으며 가족과 추억이 있다. 또한 현재 자신을 둘러싼 일상이 있다. 때로는 간결하면서도 조촐하게 시에 수분을 주입하기도 한다. 그리고 삶의 서성거림 속에서 세상의 아픔과 깊음을 읽는 그의 맑은 눈이 보인다. 그가 체험한 생의 본질과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 “...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