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2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공공임대주택 주거공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4개소 분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for 1 to 2 person household Social housing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changes in Lifestyles - Focus on the analysis of 4 seoul-type Social Housi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57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In efforts to improve residential space for 1∼2 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ly implemented plans and current types of Social hous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Through variable elements capable of various activities in space, variability should be secured by an arrangement of system furniture and three-dimensional space composition. In addition, various elevations should be formed using colors and balconies, rather than a standardized elevation. and space efficiency should be increased through scalability. Thus, the results show that a focus on the expansion of the living room is not only needed but an improvement of the bathroom and kitchen space should also respond to the housing preference of 1∼2 person household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using. As for the layout plan, the entrance space for active connection with the street space should be planned to induce natural social exchange between residents.
      Adequate housing is a basic human right. Social housing should be adaptable to new lifestyles, Therefore, the suggestions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to help satisfy and meet the improvement demands for Social housing.
      번역하기

      IIn efforts to improve residential space for 1∼2 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ly implemented plans and current types of Social hous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Through variable elements capab...

      IIn efforts to improve residential space for 1∼2 person househol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wly implemented plans and current types of Social housi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Through variable elements capable of various activities in space, variability should be secured by an arrangement of system furniture and three-dimensional space composition. In addition, various elevations should be formed using colors and balconies, rather than a standardized elevation. and space efficiency should be increased through scalability. Thus, the results show that a focus on the expansion of the living room is not only needed but an improvement of the bathroom and kitchen space should also respond to the housing preference of 1∼2 person household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using. As for the layout plan, the entrance space for active connection with the street space should be planned to induce natural social exchange between residents.
      Adequate housing is a basic human right. Social housing should be adaptable to new lifestyles, Therefore, the suggestions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to help satisfy and meet the improvement demands for Social hous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2 "법제처"

      3 김태연, "문화공간의 시대적 의미변화와 구조적 특성에관한 연구" 한국대학교 2007

      4 조예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주거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9

      5 이강선,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는 도시형 집합주거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6 서진영, "도심형 소형주택의 실내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15) : 2013

      7 이창범, "도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대응한 주거 계획"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4

      8 "국토교통부"

      9 "국가법령정보센터"

      10 노병렬, "공공임대주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1 "통계청"

      2 "법제처"

      3 김태연, "문화공간의 시대적 의미변화와 구조적 특성에관한 연구" 한국대학교 2007

      4 조예진,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 가구를 위한 주거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19

      5 이강선,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는 도시형 집합주거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6 서진영, "도심형 소형주택의 실내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15) : 2013

      7 이창범, "도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에 대응한 주거 계획"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4

      8 "국토교통부"

      9 "국가법령정보센터"

      10 노병렬, "공공임대주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11 김대윤,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유공간 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21

      12 정우진,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해비타트단지와 국민임대단지 커뮤니티의식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13 김혜련, "1인가구를 위한 소형주택 공급유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0

      14 정주영, "1인 가구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원룸형 소형주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2019

      15 차주엽, "1~2인 가구를 위한 소형주택정책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