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의 환경투자는 점증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에 의한 강제적인 환경투자뿐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환경투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71953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9-165(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의 환경투자는 점증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에 의한 강제적인 환경투자뿐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환경투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
최근 지구온난화 등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의 환경투자는 점증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에 의한 강제적인 환경투자뿐 아니라 기업의 전략적 환경투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업들은 환경투자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기업가치 상승효과 사이의 상충관계(trade-off) 때문에 적절한 수준의 환경투자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환경투자가 기업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투자가 기업의 주가수익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선행연구와 다르게 환경투자에 대한 평균적인 주가반응과 아울러 투자기간에 따라 주가반응이 변화하는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200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경투자 금액 자료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추출하였다.
실증분석결과, 환경투자는 평균적으로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측면으로 인식되어 환경투자가 기업의 주가수익률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환경투자에 대한 장‧단기적인 시장반응은 단기에는 유의적인 음(-)의 반응을 보이다가 장기에는 유의적인 양(+)의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투자에 대한 시장반응이 단기에는 비용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으로 나타나지만, 장기적으로 투자에 따른 환경위험 감소와 간접적인 가치상승 효과로 인해 시장반응이 긍정적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기적으로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속적인 환경투자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기업의 경영자, 주식시장의 투자자, 환경정책 입안자 등 각종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corporate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been increasing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warming, both by governmental regulation and by corporate strategy. Corporations try to estimate optimal level of investment balancing the tra...
Recently corporate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been increasing to solve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warming, both by governmental regulation and by corporate strategy. Corporations try to estimate optimal level of investment balancing the trade-off between the environmental investment cost and the increase in corporate value from the investment. As part of the effort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on corporate profitability has been analyzed. This research analyzed how environmental investment of corporations impact stock price. Differently from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analyzed general stock price reaction as well as the reaction per investment period. The samples include listed companies at Korea Stock Exchange between 2000 and 2011, and the environmental investment amount was extracted from sustainability report of each corporation.
The empirical analysis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investment was negatively viewed by stock market investors, and it had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stock performance. However, the stock price reaction was only negative in the short term and became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long term. Such results support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environmental investment is viewed as an expense and leads to negative stock price reaction but the market reaction would become positive due to environmental risk decrease and indirect value increase in the long term.
This research indicate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managers, investors, environmental policy makers and other stakeholders that continuous environmental investment is necessary for the enhancement of corporate value in the long term.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부, "환경회계 가이드라인"
2 "지속가능경영포털"
3 "지속가능경영원"
4 백원선, "정보통신기술기업과 비금융제조기업간 차별적 주가결정요인" 한국회계학회 28 (28): 49-74, 2003
5 "인천광역시"
6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
7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8 정용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재무성과와의 관련성:환경시설투자를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17 (17): 325-352, 2008
9 Hughes, K. E., "The value Relevance of Nonfinancial Measures of Air Pollution in the Electric Utility Industry" 75 : 209-228, 2000
10 Clarkson, P. M., "The Market Valuation of Environmental Capital Expenditures by Pulp and Paper Companies" 79 (79): 329-353, 2004
1 환경부, "환경회계 가이드라인"
2 "지속가능경영포털"
3 "지속가능경영원"
4 백원선, "정보통신기술기업과 비금융제조기업간 차별적 주가결정요인" 한국회계학회 28 (28): 49-74, 2003
5 "인천광역시"
6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
7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
8 정용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재무성과와의 관련성:환경시설투자를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17 (17): 325-352, 2008
9 Hughes, K. E., "The value Relevance of Nonfinancial Measures of Air Pollution in the Electric Utility Industry" 75 : 209-228, 2000
10 Clarkson, P. M., "The Market Valuation of Environmental Capital Expenditures by Pulp and Paper Companies" 79 (79): 329-353, 2004
11 Klassen, R. D., "The Impac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on Firm Performance" 42 : 1199-1214, 1996
12 Campbell, K., "Site Uncertainty, Allocation Uncertainty, and Superfund Liability Valuation" 17 (17): 331-366, 1998
13 Barth, M. E., "Revalued Financial,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Associations with Share Prices and Non-market-based Value Estimates" (Supplement) : 199-233, 1998
14 Aboody, D., "Revaluations of Fixed Assets and Future Firm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UK" 26 : 149-178, 1999
15 Blacconiere, W. G., "Market Valuation and Deregulation of Electric Utilities" 29 : 231-260, 2000
16 Shane, P. B., "Market Response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duced Outside the Firm" (3) : 521-538, 1983
17 Shane, P. B., "Investigation of Shareholder Wealth Effects of Environmental Regulation" 10 (10): 485-520, 1995
18 "GRI Sustainability Reporting Guidelines" Global Reporting Initiative 2006
19 Barth, M. E., "Estimation and Market Valuation of Environmental Liabilities Relating to Superfund Sites" 32 (32): 177-209, 1994
20 Blacconiere, W. G.,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Market Reactions to Environmental Legislation" 12 (12): 149-178, 1997
21 Konar, S., "Does the Market Value Environmental Performance?" 82 (82): 281-289, 2001
22 Halme, M., "Does Corporate Environmental Protection Increase Or Decrease Shareholder Value? The Case Of Environmental Investments" 10 : 200-214, 2001
23 Johnston. D., "An Investigation of Regulatory and Voluntary Environmental Capital Expenditures" 24 : 175-206, 2005
24 Russo, M. V., "A Resource-based Perspective on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40 : 534-559, 1997
기술집약도에 기초한 연구개발지출의 가치관련성 연구: 미래경제적효익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현금흐름지속성이 재무분석가의 현금흐름예측에 미치는 영향
Earnings Quality and the Joint Issuance of Analyst Earnings and Cash Flow Forecas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8-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on ->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 | 0.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5 | 1.25 | 1.443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