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남아시아 출신 외국인 노동자의 직장 내에서의 문화갈등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Cultural Conflict in the Workplace of Foreign Workers from South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8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among Korean worker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to find out what socio-cultural contexts are located under these conflicts and what strategies will be sought to resolve these conflict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will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dividual conflicts, interpersonal conflicts, and conflicts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whole. We selected nine foreign workers from Indonesia, Vietnam and Thailand who live in Jeonnam, Incheon and Chungnam, which are currently engaged in manufacturing industr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food problem, the residential problem, the stress due to the heavy work as a personal problem and the individual conflict resulted in the problem of Korean language, religion issue and as the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in the problem of Dining together and pay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o overcome conflicts in the workplace of foreign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causes of conflict in the workpla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among Korean worker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to find out what socio-cultural contexts are located under these conflicts and what strategies will be sought to resolve these conflicts.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among Korean workers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to find out what socio-cultural contexts are located under these conflicts and what strategies will be sought to resolve these conflict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will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dividual conflicts, interpersonal conflicts, and conflicts within the organization as a whole. We selected nine foreign workers from Indonesia, Vietnam and Thailand who live in Jeonnam, Incheon and Chungnam, which are currently engaged in manufacturing industr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food problem, the residential problem, the stress due to the heavy work as a personal problem and the individual conflict resulted in the problem of Korean language, religion issue and as the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in the problem of Dining together and pay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ee suggestions were made to overcome conflicts in the workplace of foreign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causes of conflict in the work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출신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직장 내에서 한국인동료와의 갈등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갈등의 저변에는 어떤 사회문화적 맥락이 자리하고 있는지,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방안을 모색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라는 특성상 개인적 갈등과 개인간 갈등 그리고 노동현장인 전체적인 조직 내에서의 갈등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재 제조업에 종사하면서 전남, 인천, 충남에 거주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출신의 외국인 노동자 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갈등으로는 음식 문제와 주거 문제 및 과중한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개인간 갈등으로는 한국어 소통 문제와 종교 문제, 조직 내에서의 갈등으로는 회식문제와 임금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노동자의 직장내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예를 들어, 모국어로 된 안내책자 제공, 자조모임의 확대, 한국어교육의 확대, 종교이해교육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에서의 갈등 원인을 세 가지로 규명함으로써 그에 대한 완화방안을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지니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출신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직장 내에서 한국인동료와의 갈등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갈등의 저변에는 어떤 사회문화적 맥락이 자리하고 있는지, ...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출신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직장 내에서 한국인동료와의 갈등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갈등의 저변에는 어떤 사회문화적 맥락이 자리하고 있는지,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떤 방안을 모색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노동자라는 특성상 개인적 갈등과 개인간 갈등 그리고 노동현장인 전체적인 조직 내에서의 갈등 등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재 제조업에 종사하면서 전남, 인천, 충남에 거주하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출신의 외국인 노동자 9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갈등으로는 음식 문제와 주거 문제 및 과중한 업무에 따른 스트레스, 개인간 갈등으로는 한국어 소통 문제와 종교 문제, 조직 내에서의 갈등으로는 회식문제와 임금 문제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노동자의 직장내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예를 들어, 모국어로 된 안내책자 제공, 자조모임의 확대, 한국어교육의 확대, 종교이해교육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에서의 갈등 원인을 세 가지로 규명함으로써 그에 대한 완화방안을제시했다는 데에 의의를 지니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자크 아탈리, "호모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웅진닷컴 2005

      2 권종욱, "한국거주 외국인 근로자 적응 분석: Black의 해외파견자 적응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통상학회 17 (17): 161-183, 2012

      3 Creswell, John W., "질적 연구 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4 김안나, "외국인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학력 미스매치, 차별경험,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331-357, 2017

      5 김동회,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87-201, 2011

      6 이혜경, "외국인근로자 사회통합의 정치철학과 정책방향의 모색" 대한정치학회 25 (25): 117-139, 2017

      7 임춘희, "외국인근로자 고용에 대한 사업주의 인식과 어려움 및 대처 - 충남 서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71-189, 2016

      8 김수재,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갈등과 대응 - 인도네시아 노동자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38) : 153-184, 2008

      9 구경회, "외국인 노동자의 갈등유형과 조직유효성 연구" 16 : 91-111, 2011

      10 하종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의 다문화 인식과 다양성 경영에 관한 사례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 자크 아탈리, "호모노마드 유목하는 인간" 웅진닷컴 2005

      2 권종욱, "한국거주 외국인 근로자 적응 분석: Black의 해외파견자 적응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통상학회 17 (17): 161-183, 2012

      3 Creswell, John W., "질적 연구 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3

      4 김안나, "외국인근로자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학력 미스매치, 차별경험,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8 (48): 331-357, 2017

      5 김동회,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87-201, 2011

      6 이혜경, "외국인근로자 사회통합의 정치철학과 정책방향의 모색" 대한정치학회 25 (25): 117-139, 2017

      7 임춘희, "외국인근로자 고용에 대한 사업주의 인식과 어려움 및 대처 - 충남 서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71-189, 2016

      8 김수재,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갈등과 대응 - 인도네시아 노동자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소 (38) : 153-184, 2008

      9 구경회, "외국인 노동자의 갈등유형과 조직유효성 연구" 16 : 91-111, 2011

      10 하종천, "외국인 노동자를 고용한 중소기업 CEO의 다문화 인식과 다양성 경영에 관한 사례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이정환,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생활 만족도" 한국인구학회 39 (39): 25-48, 2016

      12 장인모,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 갈등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문화적응 매개효과 연구" 대한경영학회 28 (28): 159-177, 2015

      13 이윤정, "외국인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477-485, 2018

      14 김지현,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77-287, 2017

      15 정복성,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 차이에 따른 일-가정 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61-670, 2018

      16 박신규,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실태 및 정책과제- 전북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11) : 99-118, 2017

      17 "오마이뉴스, 2019년 2월 21일자"

      18 정선영, "사회적 관계망, 일상적 어려움, 사회적 지지가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34 : 1-35, 2013

      19 전혜정, "베트남 외국인 근로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6 (26): 380-389, 2015

      20 김판준,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기여에 관한 고찰" 3 (3): 207-237, 2013

      21 오영훈, "다문화사회 독일의 종교교육 : ‘모두 함께하는 종교수업’ 실험을 중심으로" 한국종교문화연구소 19 (19): 17-47, 2011

      22 류지성, "농축산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 지속성 결정요인 분석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40 (40): 749-766, 2013

      23 양순미, "농업분야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애로와 직무환경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9 (39): 97-122, 2016

      24 조태준, "국내 중소 제조업에 종사하는 중국인 근로자의 문화지능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8 (18): 1-27, 2016

      25 이선웅, "경기지역 일부 이주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증상의 상관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1 (21): 76-8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