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의 범주 및 구조 설계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4 (4): 83-120, 2007
2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49-72, 2009
3 조항록,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99-219, 2004
4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5 박영순, "한국어 교육으로서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23 : 67-89, 2003
6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7 김금숙,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토의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7) : 297-322, 2015
8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 콘텐츠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중동·아랍 문화 코드 연구(영화· 방송을 중심으로)" KOCCA 11-47, 2011
9 한하림, "한국 심층 문화 교육을 위한 다중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87-210, 2014
10 홍동희, "한·이 언어·문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의 범주 및 구조 설계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4 (4): 83-120, 2007
2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49-72, 2009
3 조항록,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99-219, 2004
4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5 박영순, "한국어 교육으로서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23 : 67-89, 2003
6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7 김금숙,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토의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7) : 297-322, 2015
8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 콘텐츠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중동·아랍 문화 코드 연구(영화· 방송을 중심으로)" KOCCA 11-47, 2011
9 한하림, "한국 심층 문화 교육을 위한 다중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87-210, 2014
10 홍동희, "한·이 언어·문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황설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항목 선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53-273, 2013
12 김금년, "프로젝트학습 모형에 따른 중등교육 아랍어 교수·학습 방법 -언어·문화 융합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474-475, 2017
13 장정은, "중등영어교사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교수 현황, 인식 및 교수 역량에 관한 고찰"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8 (28): 197-215, 2016
14 송경근, "중동지역연구" 조선대학교출판부 2000
15 정수일, "이슬람 문명" 창작과 비평사 2007
16 박갑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문화적 배경" 서울대 국어교육과 26 (26): 133-150, 1998
17 "영화 <별리섬>"
18 "영화 "
19 "영화 "
20 공일주,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교육 실태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19-634, 2006
21 전완경, "아랍의 관습과 매너(1)" 부산외대출판사 2003
22 송경근, "아랍유학생이 한국에서 직면하는 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글로벌문화학회 9 (9): 85-100, 2018
23 설유경,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 K드라마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4 Samira Khadhraoui,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언어 및 문화 교육과정 개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25 권현숙,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예비편 교재’ 개발 기초 연구 -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08) : 255-284, 2015
26 공지현, "아랍어 희곡 텍스트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교육 연극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13 (13): 1-29, 2009
27 공지현, "아랍어 교육에서의 아랍문화 교수에 관한 연구" 한국중동학회 20 (20): 159-182, 1999
28 공지현, "아랍어 교육과 아랍 문화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18 (18): 158-175, 2003
29 김재희, "시사만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5 (35): 165-192, 2014
30 Larry A. Samovar,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1 유수연, "문화간 의사소통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32 김수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33 이노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갈등 양상 : 국내거주 무슬림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5-34, 2010
34 최은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중국어 문화교육의 내용 선정 및 수업 지도방안 고찰"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4) : 149-168, 2011
35 "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13회"
36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과정 적용 연구 보고서(4단계)" 2017
37 김용선, "『코란의 이해』,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 민음사 1991
38 Hall, E., "The Silent Language" Fawcett 1959
39 Lamb, C., "The Claim to be Unique: World’s Religions" Mi Eerdmans 1982
40 Byra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41 Mehrabian, A., "Nonverbal Communication" Aldine-Atherton 1972
42 Norton, B., "Identity, Language Learning, and Social Change" 44 (44): 412-446, 2011
43 Norton, B., "Identity and Language Learning - Gender, ethnicity an educational change" Pearson 2000
44 Deardorff, D. K.,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 Student Outcome of Internationalization" 10 (10): 254-, 2006
45 Fantine, A., "Explor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World learning Publications 2006
46 Brown, S. C., "Applying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Allyn and Bacon 2002
47 Fantini, A. E., "About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 Construct" School for International Training
48 공지현, "9.11 이후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19 (19): 1-33,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