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랍어·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Content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Speaking Arabic Learners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78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ducation contents and to establish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speaking Arabic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need not only linguistic skills but also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culture and classification of thinking that enables speaking in the target language. For such a reas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n, using iceberg model, categorized the items of the culture education by four types as follows: ‘attitude·manner’, ‘cultural base’, ‘cultural surface’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tems described Korean and Arabian cultural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be able to present the detaile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deep culture and surface culture of Korean’s and Arabian's and constructed the cultural contents by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ducation contents and to establish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speaking Arabic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ducation contents and to establish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speaking Arabic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need not only linguistic skills but also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culture and classification of thinking that enables speaking in the target language. For such a reas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n, using iceberg model, categorized the items of the culture education by four types as follows: ‘attitude·manner’, ‘cultural base’, ‘cultural surface’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tems described Korean and Arabian cultural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be able to present the detaile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deep culture and surface culture of Korean’s and Arabian's and constructed the cultural contents by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와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교육의 항목을 설계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다. 이 두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목표 문화권의 화자들과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발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고의 유형과 문화의 심층 구조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빙산 모델을 활용하여 ‘자세·태도’, ‘문화 기저’, ‘문화 표층’, ‘소통 기술’로 범주화한 교육 항목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한-아 문화 내용들을 기술하였다. 본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 수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으나, 한국과 아랍의 문화 영역을 심층 문화와 표층 문화로 구분하여 문화 교육 항목을 설정하고, 영역별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와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교육의 항목을 설계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다. 이 두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목...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와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교육의 항목을 설계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다. 이 두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목표 문화권의 화자들과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발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고의 유형과 문화의 심층 구조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빙산 모델을 활용하여 ‘자세·태도’, ‘문화 기저’, ‘문화 표층’, ‘소통 기술’로 범주화한 교육 항목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한-아 문화 내용들을 기술하였다. 본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 수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으나, 한국과 아랍의 문화 영역을 심층 문화와 표층 문화로 구분하여 문화 교육 항목을 설정하고, 영역별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의 범주 및 구조 설계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4 (4): 83-120, 2007

      2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49-72, 2009

      3 조항록,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99-219, 2004

      4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5 박영순, "한국어 교육으로서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23 : 67-89, 2003

      6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7 김금숙,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토의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7) : 297-322, 2015

      8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 콘텐츠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중동·아랍 문화 코드 연구(영화· 방송을 중심으로)" KOCCA 11-47, 2011

      9 한하림, "한국 심층 문화 교육을 위한 다중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87-210, 2014

      10 홍동희, "한·이 언어·문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 오지혜,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의 범주 및 구조 설계 방안"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4 (4): 83-120, 2007

      2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 내용 구축 방안"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49-72, 2009

      3 조항록, "한국어 문화 교육론의 내용 구성 시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 (1): 199-219, 2004

      4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 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5 박영순, "한국어 교육으로서 문화 교육에 대하여" 이중언어학회 23 : 67-89, 2003

      6 배재원,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혜안 2014

      7 김금숙, "한국 학생과 유학생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토의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47) : 297-322, 2015

      8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 콘텐츠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중동·아랍 문화 코드 연구(영화· 방송을 중심으로)" KOCCA 11-47, 2011

      9 한하림, "한국 심층 문화 교육을 위한 다중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87-210, 2014

      10 홍동희, "한·이 언어·문화 비교를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1 황설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항목 선정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53-273, 2013

      12 김금년, "프로젝트학습 모형에 따른 중등교육 아랍어 교수·학습 방법 -언어·문화 융합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474-475, 2017

      13 장정은, "중등영어교사들의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교수 현황, 인식 및 교수 역량에 관한 고찰"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8 (28): 197-215, 2016

      14 송경근, "중동지역연구" 조선대학교출판부 2000

      15 정수일, "이슬람 문명" 창작과 비평사 2007

      16 박갑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 문화적 배경" 서울대 국어교육과 26 (26): 133-150, 1998

      17 "영화 <별리섬>"

      18 "영화 "

      19 "영화 "

      20 공일주,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교육 실태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619-634, 2006

      21 전완경, "아랍의 관습과 매너(1)" 부산외대출판사 2003

      22 송경근, "아랍유학생이 한국에서 직면하는 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글로벌문화학회 9 (9): 85-100, 2018

      23 설유경,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 K드라마를 중심으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4 Samira Khadhraoui,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언어 및 문화 교육과정 개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8

      25 권현숙, "아랍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예비편 교재’ 개발 기초 연구 - 교사와 학습자의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08) : 255-284, 2015

      26 공지현, "아랍어 희곡 텍스트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교육 연극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13 (13): 1-29, 2009

      27 공지현, "아랍어 교육에서의 아랍문화 교수에 관한 연구" 한국중동학회 20 (20): 159-182, 1999

      28 공지현, "아랍어 교육과 아랍 문화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18 (18): 158-175, 2003

      29 김재희, "시사만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5 (35): 165-192, 2014

      30 Larry A. Samovar,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31 유수연, "문화간 의사소통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8

      32 김수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문화교육 방법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0

      33 이노미,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갈등 양상 : 국내거주 무슬림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5-34, 2010

      34 최은희,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중국어 문화교육의 내용 선정 및 수업 지도방안 고찰"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4) : 149-168, 2011

      35 "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13회"

      36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과정 적용 연구 보고서(4단계)" 2017

      37 김용선, "『코란의 이해』,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 민음사 1991

      38 Hall, E., "The Silent Language" Fawcett 1959

      39 Lamb, C., "The Claim to be Unique: World’s Religions" Mi Eerdmans 1982

      40 Byra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41 Mehrabian, A., "Nonverbal Communication" Aldine-Atherton 1972

      42 Norton, B., "Identity, Language Learning, and Social Change" 44 (44): 412-446, 2011

      43 Norton, B., "Identity and Language Learning - Gender, ethnicity an educational change" Pearson 2000

      44 Deardorff, D. K.,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 Student Outcome of Internationalization" 10 (10): 254-, 2006

      45 Fantine, A., "Explor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World learning Publications 2006

      46 Brown, S. C., "Applying multicultural and global concepts in the classroom and beyond" Allyn and Bacon 2002

      47 Fantini, A. E., "About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 Construct" School for International Training

      48 공지현, "9.11 이후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19 (19): 1-33,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