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과학기술혁신본부와 정책조정 방식 변화 =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Coordi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3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OSTI) was created by a different method of organizational change from that of precedent administrative reform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new method, the OSTI case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ministries as an alternative model for governmental reform. The theory part introduced two approaches of organizational reform, namely structural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level of hierarchial authority and process approach which emphasizes the flow of information/expertise in organizational operation. It also discussed various ways of understanding for S&T policy coordination. After this, the paper reviewed details of the OSTI reform with special reference to implications for the mode of S&T policy coordination. It concludes that the OSTI may offer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oordination mechanism of the process approach.
      번역하기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OSTI) was created by a different method of organizational change from that of precedent administrative reform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new method, the OSTI case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minis...

      The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OSTI) was created by a different method of organizational change from that of precedent administrative reform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new method, the OSTI case can be widely applied to other ministries as an alternative model for governmental reform. The theory part introduced two approaches of organizational reform, namely structural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level of hierarchial authority and process approach which emphasizes the flow of information/expertise in organizational operation. It also discussed various ways of understanding for S&T policy coordination. After this, the paper reviewed details of the OSTI reform with special reference to implications for the mode of S&T policy coordination. It concludes that the OSTI may offer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oordination mechanism of the process approa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 과학기술정책 50년의 발자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2 "참여정부 과학기술정책 종합평가결과보고."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2005

      3 "우리나라 정부기구 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대중 정부 3년을 중심으로" 2001

      4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 종합조정 및 자문기구의 변천사" (7월호) : 1998

      5 "시스템 설계전제의 변화와 공공부문 과학기술발전관리시스템 구조의 개혁" 5 (5): 1-21, 1997

      6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의 틀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7 "국가혁신체제 정립을 위한 과학기술부 개편방안(안)."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4

      8 "국가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혁신본부의 주요 업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9 "과학기술혁신촉진을 위한 정책조정 방안 - 탐색적 접근" 2005

      10 "과학기술혁신본부 이렇게 운영하겠습니다." 2004

      1 "한국 과학기술정책 50년의 발자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2 "참여정부 과학기술정책 종합평가결과보고."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2005

      3 "우리나라 정부기구 개편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대중 정부 3년을 중심으로" 2001

      4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 종합조정 및 자문기구의 변천사" (7월호) : 1998

      5 "시스템 설계전제의 변화와 공공부문 과학기술발전관리시스템 구조의 개혁" 5 (5): 1-21, 1997

      6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의 틀 모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7 "국가혁신체제 정립을 위한 과학기술부 개편방안(안)."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4

      8 "국가과학기술혁신을 위한 혁신본부의 주요 업무"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9 "과학기술혁신촉진을 위한 정책조정 방안 - 탐색적 접근" 2005

      10 "과학기술혁신본부 이렇게 운영하겠습니다." 2004

      11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국가과학기술행정체계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4

      12 "과학기술정책론" 2001

      13 "과학기술정책 조정기구 운영체계 확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14 "과학기술부총리체제 출범 6개월간의 성과와 향후과제." 2005

      15 "과학기술부총리체제 1년 성과와 향후과제." 2005

      16 "과학기술부 집행기능 이관계획" 과학기술부 2004

      17 "과학기술 행정체제의 발전방향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3

      18 "Special Issue on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Science and Technology" OECD 1998

      19 "Research and Innovation Governance in Eight Countries" University of Ottawa. 2003

      20 "Improving Distributed Intelligence in Complex Innovation System" 1999

      21 "2005년도 부서별 직무성과계획." 2005

      22 "'05년도 상반기 부서별 주요업무 추진실적."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