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Digital platform applicated plan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29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통해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를 높이는 방안과 디지털 문식 환경에 걸맞는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모색한다. 블로그는 특정 게시글을 중심으로 댓글 커뮤니케이션이 다중적으로 발생하고 트랙백을 통해 관련 논의의 확장이 가능하므로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는데 적합한 플랫폼이다. 현재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동료 피드백은 일대일의 형태를 취하므로 피드백 주체의 글쓰기 능력이 고르지 않아 기대 효과를 거두기 어렵고 교수자의 피드백 역시 일회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호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블로그를 활용하면 교수자와 학생, 학생들 사이의 지속적인 의견 교환과 다중적·메타적 피드백이 가능하여 피드백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댓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읽는 실제 독자에 대한 인식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블로그 글쓰기를 통한 실제 독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독자 인식의 활성화는 물론, 관계적 사고를 하도록 자극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필자로서의 책임감을 형성하는 데도 기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통해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를 높이는 방안과 디지털 문식 환경에 걸맞는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모색한다. 블로그는 특정...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통해 교수자 및 동료 피드백 효과를 높이는 방안과 디지털 문식 환경에 걸맞는 필자로서의 책임감 형성 가능성을 모색한다. 블로그는 특정 게시글을 중심으로 댓글 커뮤니케이션이 다중적으로 발생하고 트랙백을 통해 관련 논의의 확장이 가능하므로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는데 적합한 플랫폼이다. 현재 글쓰기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동료 피드백은 일대일의 형태를 취하므로 피드백 주체의 글쓰기 능력이 고르지 않아 기대 효과를 거두기 어렵고 교수자의 피드백 역시 일회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호작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블로그를 활용하면 교수자와 학생, 학생들 사이의 지속적인 의견 교환과 다중적·메타적 피드백이 가능하여 피드백 효과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댓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생들이 자신의 글을 읽는 실제 독자에 대한 인식의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블로그 글쓰기를 통한 실제 독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은 학생들로 하여금 독자 인식의 활성화는 물론, 관계적 사고를 하도록 자극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필자로서의 책임감을 형성하는 데도 기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find ways raising effectiveness teacher and peer feedback through digital platform applicated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writer as sense of responsibility generation possibility is suitable for digital literacy. Blog is the most suitable digital platform for college writing education because blog is possible to multiple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and to extend related discussion. The pattern of existing peer feedback is difficult to get effectiveness because feedback agents’ ability is uneven. Teacher’s feedback, commonly, is temporary. But if blog is applicated,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multiple and meta feedback and continuous exchange opin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or student and student and to look for vitalization of real audience awareness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The continuous interaction with real audience through blogging contribute to vitalize of writer’s audience awareness and form writer as sense of responsi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find ways raising effectiveness teacher and peer feedback through digital platform applicated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writer as sense of responsibility generation possibility is suitable for digital 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find ways raising effectiveness teacher and peer feedback through digital platform applicated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writer as sense of responsibility generation possibility is suitable for digital literacy. Blog is the most suitable digital platform for college writing education because blog is possible to multiple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and to extend related discussion. The pattern of existing peer feedback is difficult to get effectiveness because feedback agents’ ability is uneven. Teacher’s feedback, commonly, is temporary. But if blog is applicated, it is possible to accomplish multiple and meta feedback and continuous exchange opin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or student and student and to look for vitalization of real audience awareness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comments. The continuous interaction with real audience through blogging contribute to vitalize of writer’s audience awareness and form writer as sense of responsi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재, "포털 뉴스의 의제 설정" 한국언론재단 2006

      2 곽해운, "트위터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3 서영진,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369-395, 2012

      4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5 이채연, "인터넷을 활용한 국어과 쓰기 지도의 수업모형 구안과 그 효과" 한국어교육학회 (107) : 9-231, 2002

      6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 (14) : 147-180, 2004

      7 양승찬,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2009

      8 권상희,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44-77, 2008

      9 설진아, "소셜 미디어와 사회 변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0 김중태, "세상과 소통하는 지름길-블로그 교과서" 멘토르

      1 최민재, "포털 뉴스의 의제 설정" 한국언론재단 2006

      2 곽해운, "트위터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3 서영진,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회 (44) : 369-395, 2012

      4 김은미,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65-94, 2006

      5 이채연, "인터넷을 활용한 국어과 쓰기 지도의 수업모형 구안과 그 효과" 한국어교육학회 (107) : 9-231, 2002

      6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 (14) : 147-180, 2004

      7 양승찬,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2009

      8 권상희,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44-77, 2008

      9 설진아, "소셜 미디어와 사회 변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0 김중태, "세상과 소통하는 지름길-블로그 교과서" 멘토르

      11 김익현, "블로그 파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2 주민재, "블로그 커뮤니티와 독자 인식의 형성" 한국작문학회 (17) : 299-336, 2013

      13 주민재, "블로그 쓰기와 블로거의 독자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13

      14 박성익, "블렌디드 러닝에서 효과적 온/오프라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5 (15): 17-45, 2007

      15 이동후, "미디어 생태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16 김지연, "디지털 필자의 문식 실행 연구 : 전문 블로거의 텍스트 생산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3

      17 박승희, "디지털 텍스트와 새로운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글쓰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상문화학회 (31) : 343-363, 2005

      18 주민재,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279-308, 2012

      19 김은미,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33-64, 2006

      20 이재신,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42 (42): 248-278, 2008

      21 이윤빈, "대학생 글쓰기에서 동료 피드백의 양상 및 타당도 연구" 한국작문학회 (20) : 299-334, 2014

      22 주민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379-412, 2010

      23 Manovich, L., "뉴미디어의 언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4 Putnum, R, D, "나 홀로 볼링" 페이퍼로드 2009-, 2000

      25 이재현, "글쓰기 공간으로서의 SNS: 재매개, 환유, 에크프라시스" 한국언론학회 8 (8): 323-351, 2012

      26 Ong, W.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6

      27 김병연, "관계적 사고를 통한 상품의 지리 교육적 의미" 대한지리학회 46 (46): 554-566, 2011

      28 김예란, "가상공간의 대화적 글쓰기" (3) : 31-58, 2004

      29 Clark, J. Elizabeth, "The Digital Imperative: Making the Case for a 21st-Century Pedagogy" 27 (27): 27-35, 2010

      30 Osguthorpe, R.T,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4 (4): 227-233, 2003

      31 Chin-Lung Hsu, "Acceptance of blog usage: The roles of technology acceptance, social influence and knowledge sharing motivation" 45 : 65-74, 2008

      32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요약보고서"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