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조제 해수유입 구간 탐지를 위한 전기, 전자탐사 적용 = Detection of Seawater Inflow through Embankment Dike Near Reinforced Region: Application of Electric and Electromagnetic survey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64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flow through the surrounding of reinforced regions by sheet pile and cement grouting in embankment dike, we carried out small-loop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 also monitored both groundwater level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variations with tidal variation in seven observation wells located inside and outside of reinforced reg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support the survey result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the electrical resistivities of compaction material of embankment dike were measured under conditions with dry, saturated by reservoir water and seawater. From the survey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seawater inflow regions were through both bottom and side of sheet pile. These results were matched well with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result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grouting. From this study, small-loop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accompany with monitoring for both groundwater level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variations are revealed to be effective for identifying seawater inflow pathway through embankment dike.
      번역하기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flow through the surrounding of reinforced regions by sheet pile and cement grouting in embankment dike, we carried out small-loop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 also monitored both gro...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seawater inflow through the surrounding of reinforced regions by sheet pile and cement grouting in embankment dike, we carried out small-loop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 also monitored both groundwater level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variations with tidal variation in seven observation wells located inside and outside of reinforced region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support the survey result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the electrical resistivities of compaction material of embankment dike were measured under conditions with dry, saturated by reservoir water and seawater. From the survey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seawater inflow regions were through both bottom and side of sheet pile. These results were matched well with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result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grouting. From this study, small-loop electromagnetic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accompany with monitoring for both groundwater level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variations are revealed to be effective for identifying seawater inflow pathway through embankment dik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방조제 제체에 시공된 시트파일과 시멘트 그라우팅 구간 주변부를 통한 해수유입 가능성 확인을 위하여 소형루프 전자탐사와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시공구간을 중심으로 바다쪽과 담수호쪽에 설치된 지하수위 관측공에 대한 수위와 전기전도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탐사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체에 대해 해석한 전기비저항값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토재를 채취하여 건조상태, 담수호 및 해수로 포화된 상태별로 각각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여 탐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소형루프 전자탐사와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시트파일 하부와 측면부를 통한 해수유입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해수유입 구간에 대하여 간조시에 대한 만조시의 전기비저항 탐사 비를 분석한 결과 앞서의 결과와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위변화에 따른 관측공내 수위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해석한 결과, 시트파일의 하부를 통한 해수유입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기 및 전자탐사에서 나타난 구간과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방조제 제체에 시공된 시트파일과 시멘트 그라우팅 구간 주변부를 통한 해수유입 가능성 확인을 위하여 소형루프 전자탐사와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시공구간을 중심으로 바...

      방조제 제체에 시공된 시트파일과 시멘트 그라우팅 구간 주변부를 통한 해수유입 가능성 확인을 위하여 소형루프 전자탐사와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시공구간을 중심으로 바다쪽과 담수호쪽에 설치된 지하수위 관측공에 대한 수위와 전기전도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탐사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체에 대해 해석한 전기비저항값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토재를 채취하여 건조상태, 담수호 및 해수로 포화된 상태별로 각각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여 탐사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소형루프 전자탐사와 전기비저항탐사 결과, 시트파일 하부와 측면부를 통한 해수유입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해수유입 구간에 대하여 간조시에 대한 만조시의 전기비저항 탐사 비를 분석한 결과 앞서의 결과와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위변화에 따른 관측공내 수위 및 전기전도도 변화를 해석한 결과, 시트파일의 하부를 통한 해수유입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기 및 전자탐사에서 나타난 구간과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감도분석 및 가탐심도 추정" 5 : 299-308, 2002

      2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을 이용한 매설물 탐지 및 지하 전기비저항 영상화" 5 : 309-315, 2002

      3 "방조제 누수지점 탐지를 위한 SP 및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의 적용" 33 : 417-424, 2000

      4 "○○방조제 농업기반시설 정밀안전진단 보고서" 185-, 2000

      5 "Spatial Analysis of Small Loop Electromagnetic Survey Data in Seawater Intrusion Region" 37 : 114-120, 2006

      6 "GEM 2 A New Multifrequency Electromagnetic Sensor" 1 : 129-137, 1996

      7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전극배열법의 비교" 38 : 116-128, 2001a

      8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변형된 전극배열법에 관한 연구" 4 : 59-69, 2001b

      1 "소형루프 전자탐사의 감도분석 및 가탐심도 추정" 5 : 299-308, 2002

      2 "소형루프 전자탐사법을 이용한 매설물 탐지 및 지하 전기비저항 영상화" 5 : 309-315, 2002

      3 "방조제 누수지점 탐지를 위한 SP 및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의 적용" 33 : 417-424, 2000

      4 "○○방조제 농업기반시설 정밀안전진단 보고서" 185-, 2000

      5 "Spatial Analysis of Small Loop Electromagnetic Survey Data in Seawater Intrusion Region" 37 : 114-120, 2006

      6 "GEM 2 A New Multifrequency Electromagnetic Sensor" 1 : 129-137, 1996

      7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전극배열법의 비교" 38 : 116-128, 2001a

      8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변형된 전극배열법에 관한 연구" 4 : 59-69, 2001b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