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하갱도가 지반침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Effect of a Mine Roadway on the Ground Subsidence Using Scaled Model Te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6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scaled model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bandoned mine roadway on the ground subsidence. Six types of test models which had different depths of the roadway were produced, where the modelling material was the mixture of sand, plaster and water. Test rigs were made to perform the scaled model tests. Failure photographs and subsidence profiles of models were presented and the test results were discussed. The crack initiating pressures of the model with shallow roadway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model with deep roadway. The subsidences of the model with shallow roadway were bigger than those of the model with deep roadway in spite of relatively lower pressure condition. The No.1 model which has the shallowest roadway showed the typical sinkhole type subsidence. The No.6 model which has the deepest roadway showed the smallest subsidence and no failure phenomena around the roadway. Therefore the models with deep roadway turned out to be more stable to the surface structure than the models with shallow one.
      번역하기

      In this study, scaled model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bandoned mine roadway on the ground subsidence. Six types of test models which had different depths of the roadway were produced, where the modelling material was the mi...

      In this study, scaled model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abandoned mine roadway on the ground subsidence. Six types of test models which had different depths of the roadway were produced, where the modelling material was the mixture of sand, plaster and water. Test rigs were made to perform the scaled model tests. Failure photographs and subsidence profiles of models were presented and the test results were discussed. The crack initiating pressures of the model with shallow roadway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model with deep roadway. The subsidences of the model with shallow roadway were bigger than those of the model with deep roadway in spite of relatively lower pressure condition. The No.1 model which has the shallowest roadway showed the typical sinkhole type subsidence. The No.6 model which has the deepest roadway showed the smallest subsidence and no failure phenomena around the roadway. Therefore the models with deep roadway turned out to be more stable to the surface structure than the models with shallow 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광산 지하 폐갱도가 지반 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갱도 심도를 달리한 6가지 모형에 대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목적에 부합한 실험장치를 제작하였으며 모래, 석고, 물의 특정 중량비를 가진 모형재료를 사용하여 모형시험체를 만들었다. 각 시험체의 파괴사진과 침하곡선을 제시하였으며 모형별 변형 및 파괴거동을 검토하였다. 갱도의 심도가 작은 모형일수록 균열 개시압력이 작게 나타나 지반의 안정성이 감소하였고, 갱도 심도가 큰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지반 침하량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심도가 가장 작은 1번 모형은 전형적인 함몰형 침하를 나타내었다. 또한 갱도 심도가 작은 모형들의 파괴양상은 지표구조물과 폐갱도가 전단파괴면으로 직접 연결된 형태로 나타났으나, 갱도 심도가 가장 큰 6번 모형에서는 폐갱도 주위에 파괴균열이 생성되지 않아 갱도가 상부의 지표 침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감소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광산 지하 폐갱도가 지반 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갱도 심도를 달리한 6가지 모형에 대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목적에 부합한 실험장...

      본 연구에서는 광산 지하 폐갱도가 지반 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갱도 심도를 달리한 6가지 모형에 대하여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목적에 부합한 실험장치를 제작하였으며 모래, 석고, 물의 특정 중량비를 가진 모형재료를 사용하여 모형시험체를 만들었다. 각 시험체의 파괴사진과 침하곡선을 제시하였으며 모형별 변형 및 파괴거동을 검토하였다. 갱도의 심도가 작은 모형일수록 균열 개시압력이 작게 나타나 지반의 안정성이 감소하였고, 갱도 심도가 큰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지반 침하량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심도가 가장 작은 1번 모형은 전형적인 함몰형 침하를 나타내었다. 또한 갱도 심도가 작은 모형들의 파괴양상은 지표구조물과 폐갱도가 전단파괴면으로 직접 연결된 형태로 나타났으나, 갱도 심도가 가장 큰 6번 모형에서는 폐갱도 주위에 파괴균열이 생성되지 않아 갱도가 상부의 지표 침하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감소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굴지역에서의 건축물 기초지반 안정성 평가 연구" 11 (11): 174-181, 2001

      2 "지하채굴적이 지표 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14 (14): 43-53, 2004

      3 "이방성 암반의 방향성과 측압조건을 고려한 터널 모형실험 연구" 16 (16): 313-325, 2006

      4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암석류의 역학적 특성 연구 -주요탄전 지역 및 지하발전소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의 역학적 특성-" 260-267, 1982

      5 "석회암 공동이 터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0 (40): 147-158, 2003

      6 "석탄 채굴공동 상부 터널의 안정성 분석" 4 (4): 135-142, 2002

      7 "불연속암반내 공동주위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 24 (24): 299-309, 1987

      8 "Scale model study of strata movement around mine roadways" 101-127, 1966

      9 "Scale model study of Strate movement around roadways- VII Effect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essure" 173-182, 1973

      10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237-240, 1980

      1 "채굴지역에서의 건축물 기초지반 안정성 평가 연구" 11 (11): 174-181, 2001

      2 "지하채굴적이 지표 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14 (14): 43-53, 2004

      3 "이방성 암반의 방향성과 측압조건을 고려한 터널 모형실험 연구" 16 (16): 313-325, 2006

      4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주요암석류의 역학적 특성 연구 -주요탄전 지역 및 지하발전소 건설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암의 역학적 특성-" 260-267, 1982

      5 "석회암 공동이 터널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40 (40): 147-158, 2003

      6 "석탄 채굴공동 상부 터널의 안정성 분석" 4 (4): 135-142, 2002

      7 "불연속암반내 공동주위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 24 (24): 299-309, 1987

      8 "Scale model study of strata movement around mine roadways" 101-127, 1966

      9 "Scale model study of Strate movement around roadways- VII Effect of horizontal and vertical pressure" 173-182, 1973

      10 "Introduction to rock mechanics" 237-240,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