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지(안압지)목간은 1975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이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의 논점을 정리하고 세택과 辛番에 대해 검토한다.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는 목간은 40여점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9233
2020
Korean
월지(안압지)목간 ; 신라 ; 부찰 ; 문서 목간 ; 세택 ; 辛番 ; Wolji(Anapji) pond ; Silla ; wooden tag ; wooden document ; Setaek(洗宅) ; Sinbeon(辛番)
KCI등재
학술저널
223-265(4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월지(안압지)목간은 1975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이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의 논점을 정리하고 세택과 辛番에 대해 검토한다.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는 목간은 40여점 있다. ...
월지(안압지)목간은 1975년에 한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이다.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의 논점을 정리하고 세택과 辛番에 대해 검토한다. 어느 정도 내용을 알 수 있는 목간은 40여점 있다. 약재명을 적은 것, 같은 글자를 반복해서 쓴 습서 목간, 문호를 쓴 목간이 몇 점씩 있다. 가장 많은 것은 부찰이며 약 20점 있다. 그중 14점은 〈연월일+作+동물명+가공품명+용기〉라는 기재양식으로 쓰인 식품 부찰이다.
목간에 보이는 유일한 관부인 세택은 종래 시종이나 비서를 담당했다고 생각되었지만 근년에 목간 내용을 통해 궁정 안의 잡역을 담당했다고 하는 주장이 나왔다. 보고서1호 목간은 세택이 ‘二典’한테 보낸 문서 목간이며 지금까지 알려진 유일한 통일신라시대 문서 목간이다. 세택의 관원인 大舍가 만든 목간으로 생각되어 세택은 시종 기관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185호 ‘辛番洗宅’을 비롯하여 여러 목간에 辛番이 나온다. 월지나 그 주변에서도 ‘辛審龍王’ ‘辛番洗宅’ ‘本宮辛番’ 등 관련되는 명문자료가 출토되었다. ‘辛番’과 ‘辛審’이 같은 뜻으로 생각되었지만 같이 나오는 관사명이나 글자를 적는 방법 등을 검토한 결과 이 2 문구는 구별해서 생각해야 하는 것을 지적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Wolji (Anapji) was unearthed in 1975.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points of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s 洗宅 and 辛番. There are about 40 wooden tablets which can understand the contents to some extent. S...
The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Wolji (Anapji) was unearthed in 1975.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points of previous research and examines 洗宅 and 辛番.
There are about 40 wooden tablets which can understand the contents to some extent. Several wooden tablets were written with some medicinal properties, and some were with the same characters repeatedly written on them, and about the guard of gates. The most common were tags, and 14 of them were food tag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at: ‘date+作+animal name+ processed product name+container.’
洗宅, the only government office written on wooden tablets, wa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servant or secretary. But in recent years, it was alleged that it was in charge of the work in the court through the contents of the wooden tablets. The NO.1 wooden tablet of the report is a document sent to 二典 from 洗宅, and is the only wooden documen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known so far. It is considered to be a wooden document written by 大舎, a government official of 洗宅. There are many wooden tablets, including No. 185 ‘辛番洗宅’, written about 辛番 and relative materials such as ‘辛審龍王’ ‘辛番洗宅’ ‘本宮辛番’ were also excavated in and around Wolji. Although “辛番” and “辛審” were thought to mean the same thing, bu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태,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81) : 139-174, 2011
2 권주현, "통일신라시대의 食文化 연구- 왕궁의 식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8) : 263-300, 2012
3 김수태, "통일신라시대의 洗宅 재론" 영남문화연구원 (73) : 193-235, 2020
4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마도3호선" 2012
5 이치 히로키,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한국목간학회 (22) : 99-125, 2019
6 윤선태, "월성해자 출토 신라 문서목간" 한국역사연구회 (56) : 113-142, 2005
7 윤선태, "월성 해자 목간의 연구 성과와 신 출토 목간의 판독" 한국목간학회 (20) : 79-104, 2018
8 이용현, "안압지와 東宮 庖典" (창간) : 2007
9 이문기, "안압지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洗宅" 한국고대사학회 (65) : 159-201, 2012
10 이덕호, "안압지 출토 木簡 처방전의 釋讀에 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15 (15): 85-91, 2009
1 이현태,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81) : 139-174, 2011
2 권주현, "통일신라시대의 食文化 연구- 왕궁의 식문화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68) : 263-300, 2012
3 김수태, "통일신라시대의 洗宅 재론" 영남문화연구원 (73) : 193-235, 2020
4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마도3호선" 2012
5 이치 히로키, "일본 7세기 목간에 보이는 한국목간" 한국목간학회 (22) : 99-125, 2019
6 윤선태, "월성해자 출토 신라 문서목간" 한국역사연구회 (56) : 113-142, 2005
7 윤선태, "월성 해자 목간의 연구 성과와 신 출토 목간의 판독" 한국목간학회 (20) : 79-104, 2018
8 이용현, "안압지와 東宮 庖典" (창간) : 2007
9 이문기, "안압지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洗宅" 한국고대사학회 (65) : 159-201, 2012
10 이덕호, "안압지 출토 木簡 처방전의 釋讀에 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15 (15): 85-91, 2009
11 이용현, "안압지 목간과 동궁(東宮) 주변" 한국역사연구회 (65) : 253-287, 2007
12 이영호, "신라의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한국고대사학회 (57) : 169-213, 2010
13 권주현, "신라의 발효식품에 대하여-안압지 출토 목간을 중심으로" 12 : 2014
14 윤선태, "신라의 문서행정과 목간"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9 : 2002
15 윤선태,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 : 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6 이수훈, "신라 왕경 출토 유물의 ‘辛·辛審·辛番’銘과 郊祀 ― 안압지와 국립경주박물관(남측부지)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113) : 1-32, 2019
17 이경섭, "신라 목간의 세계" 경인문화사 2013
18 백미선, "백제 무령왕대의 急使" 수선사학회 (65) : 121-147, 2018
19 국립경주박물관, "문자로 본 新羅-新羅人의 記錄과 筆跡" 2002
20 국립중앙박물관, "문자 그 이후" 2011
21 윤선태, "목간으로 본 한자문화의 수용과 변용" 신라문화연구소 32 (32): 177-198, 2008
22 이용현, "목간으로 본 신라의 문자·언어 생활" 구결학회 (18) : 107-139, 2007
23 국립부여박물관, "나무속 암호 목간" 2009
24 함순섭,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안압지 목간의 새로운 판독" (창간) : 2007
25 최순조, "국립경주박물관 남측부지 유적 출토 신명문자료-東宮衙銘 호 및 辛番(?)東宮洗宅銘 청동접시" 10 : 2013
26 權仁澣, "고대한국 습서 목간의 사례와 그 의미" 11 : 2013
27 차순철, "경주지역 명문자료에 대한 소고" 3 : 2009
28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인왕동 왕경유적Ⅱ -국립경주박물관 남측부지(2차)발굴조사" 2014
29 홍기승, "경주 월성해자·안압지 출토 신라목간의 연구 동향" 10 : 2013
30 이용현, "경주 안압지(月池) 출토 목간의 기초적 검토-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101 : 2003
31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韓國의 古代木簡" 2004
3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韓國木簡字典" 2011
33 이용현, "韓國木簡基礎硏究" 신서원 2006
34 橋本繁, "韓国古代木簡の研究" 吉川弘文館 2014
35 橋本繁, "韓国出土木簡の世界" 雄山閣 2007
36 三上喜孝, "韓国出土木簡の世界" 雄山閣 2007
37 李成市, "韓国出土の木簡について" 19 : 1997
38 이기동, "雁鴨池에서 出土된 新羅 木簡에 대하여" 1 : 1979
39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雁鴨池發掘調査報告書" 1978
40 한병삼, "雁鴨池名稱에 關하여" 153 : 1982
41 이문기, "雁鴨池 출토 木簡으로 본 新羅의 宮廷業務 -宮中雜役의 遂行과 宮廷警備 관련 木簡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9) : 157-207, 2005
42 이경섭,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신라문화연구소 (35) : 21-50, 2010
43 하시모토 시게루, "雁鴨池 木簡 判讀文의 再檢討" (창간) : 2007
44 윤선태, "雁鴨池 出土 門號木簡 과 新羅 東宮의 警備" 한국고대사학회 (44) : 269-296, 2006
45 윤선태, "雁鴨池 出土 ‘門號木簡’과 新羅 東宮의 警備-國立慶州博物館 촬영 赤外線 善本寫眞을 중심으로" (창간) : 2007
46 李鎔賢, "統一新羅の伝達体系と「北海通」-韓国慶州雁鴨池出土の15号木簡の解釈" 171 : 1999
47 平川南, "正倉院佐波理加盤付属文書の再検討" 750 : 2010
48 윤선태, "正倉院 所藏 「佐波理加盤附屬文書」의 新考察" 74 : 1997
49 이승재, "木簡에 기록된 古代 韓國語" 일조각 2017
50 岸俊男, "日本古代文物の研究" 塙書房 1988
51 三上喜孝, "日本古代の文字と地方社会" 吉川弘文館 2013
52 이재환, "新羅의 宦官 官府에 대한 試論 -洗宅(중사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한국목간학회 (21) : 207-226, 2018
53 이기동,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일조각 1984
54 국립경주박물관, "新羅文字資料Ⅱ" 2019
55 三池賢一, "新羅内廷官制考(上)" 61 : 1971
56 김재홍, "新羅 王京 출토 銘文土器의 생산과 유통" 한국고대사학회 (73) : 125-158, 2014
57 이문기, "新羅 洗宅(中事省)의 機能과 官制的 位相의 變化" 역사교육학회 (51) : 265-318, 2013
58 윤선태,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신라사학회 (46) : 127-154, 2019
59 이동주, "新羅 月池 출토 墨書土器 명문의 의미- 소위 ‘言․貞․茶’銘 盌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31) : 1-24, 2018
60 高敬姬, "新羅 月池 出土 在銘遺物에 대한 銘文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61 李鎔賢, "文字資料로 본 三國時代 言語文字의 展開" 구결학회 (19) : 191-225, 2007
62 武井紀子, "慶州·雁鴨池出土銘文土器の調査報告"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5
63 三上喜孝, "慶州·雁鴨池出土の薬物名木簡再論―古代東アジアの医薬文化" 国立歴史民俗博物館 2019
6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Ⅰ발굴조사보고서" 2012
65 奈良国立文化財研究所, "平城宮木簡三" 1981
66 김창석, "咸安 城山山城 17차 발굴조사 출토 四面木簡(23번)에 관한 試考" 한국사연구회 (177) : 125-150, 2017
67 鈴木靖民, "古代対外関係史の研究" 吉川弘文館 1985
68 윤선태, "『三國史記』와 新出土 신라의 문자자료" 6 : 2013
69 박수정, "9세기 전반 新羅 官制의 변화 양상과 洗宅(中事省)" 신라사학회 (47) : 99-138, 2019
세계유산으로서 동궁과 월지의 가치와 보존 - 동궁과 월지 복원사업과 법체계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