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내용 본 연구는 현장 교사 수준에서의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 도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7747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내용 본 연구는 현장 교사 수준에서의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 도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 수...
1. 연구 내용
본 연구는 현장 교사 수준에서의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 도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 수준에서의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둘째, 현장 교사 수준에서의 체육과 실천적 지식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적합한가?
셋째, 체육과 실천적 지식의 중요도에 대해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들은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가?
2. 연구 범위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수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현장 교사 수준에서 중요성이 높은 실천적 지식 내용만을 도출하고 타당화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초등교사와 중등 체육교사를 위한 실천적 지식 내용을 도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등 체육교사를 위한 실천적 지식 내용은 제외 될 것이다.
셋째, 초등교사는 3, 4, 5, 6학년의 체육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로 한정할 것이다.
3. 연구 방법
1) 예비 연구
본 연구에서는 체육과의 실천적 지식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예비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다.
(1) 문헌 자료 조사
체육과의 실천적 지식 내용 요소를 규명한 선행연구들을 조사․분석 한 후에 각 연구자들이 제시한 실천적 지식의 내용 요소 및 예비 문항을 교사의 역할에 따라 영역별로 범주화하여 제시할 것이다.
(2) 전문가 협의회
체육과의 실천적 지식 내용 요소와 예비 문항 제작 후 제작된 문항들이 잠정적 예비 구인을 잘 반영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범주분석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가 범주화 시킨 영역들에 대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할 것이다.
(3) 예비 설문 조사
전문가 집단회의를 통해 잠정적으로 설정된 체육과의 실천적 지식 내용과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를 다시 한 번 검증하기 위해 현직 초등교사와 중등체육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선정하여 예비 설문조사를 수행할 것이다.
2) 본 연구
(1) 연구 대상
현장 교사 수준에서의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 도출 및 타당화를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에 재직중인 100명의 초등교사와 100명의 중등체육교사를 비례적 군집추출표집을 통해 학력과 경력을 고려한 후 지역별로 초등교사와 중등체육교사들을 선정할 것이다.
(2) 연구 도구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도구로서 설문지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될 것이다. 우선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의 중요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할 것이며,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실천적 지식’과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실천적 지식’을 개방형 설문의 형태로 기록하도록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부족한 실천적 지식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을 기록하도록 할 것이다.
(3) 자료 수집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조사대상이 있는 학교에 방문하여 책임자의 허락을 얻은 후, 조사대상자에게 직접 배포한 다음 바로 현장에서 설문지를 작성하여 수거할 것이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SPSS 15.0과 Amos7.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 문항의 내적 타당성 검증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의 예비 문항에 대한 통계적 적합성을 위해 기술통계로서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 및 첨도, 문항-총점 간 상관을 구하여 문항 선별을 위한 준거로 사용할 것이며, 선정된 문항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값을 구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② 체육과 실천적 지식 내용 문항의 외적 타당성 검증
초등교사와 중등체육교사에 따른 실천적 지식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할 것이다.
③ 개방형 설문내용 분석
초등 교사들과 중등 체육교사들이 부족한 자기의 실천적 지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기술한 내용은 핵심어를 중심으로 코딩하여 분류한 후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