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study,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Yun Bokjin’s children’s song included in the anthologies of North and South Korean children’s song before and after divi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attention was paid to the process by w...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Yun Bokjin’s children’s song included in the anthologies of North and South Korean children’s song before and after divi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attention was paid to the process by w...
In this study, th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Yun Bokjin’s children’s song included in the anthologies of North and South Korean children’s song before and after divis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attention was paid to the process by which Yun Bokjin’s children’s song were canonizationed differently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children’s song. Yun Bokjin published his personal collection of children’s songs, 꽃초롱 별초롱(1949), then went to North Korea and continued to create children’s songs, establishing himself as a representative children’s writer in North Korea. But In South Korea, his existence was forgotten because of a ban on the sale of works by those who had gone to North Korea. As a result, a variety of children’s songs by Yun Bokjin were recorded in the North Korean children’s anthologies but the South Korean children’s anthologies only contain some of the children’s songs created before the division. Differences in the politic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also caused differences in the way of preserving and enjoying Yun Bokjin’s children’s song created before division.
The North Korean children’s song anthology contains a relatively wide range of children’s songs written by Yun Bokjin and added some content to works that show people’s character, local character, and class character. In South Korea, there was a tendency to repeatedly include works that focus on children’s innocence in recognizing nature and family, animals and objects. The diverse spectrum of Yun Bokjin’s children’s song is better revealed in the anthologies of North Korean children’s songs. Since the complete list of works created by Bok‒jin Yoon has not been provid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ist of children’s songs by Yoon Bok‒jin, focusing on the works contained in the North and South Korean nursery rhymes, and secure the original works to secure the Yun Bok‒jin nursery rhymes created before division.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works created after defecting to North Korea in relation to the works crea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분단 전후 남북한 동요선집에 수록된 윤복진 동요의 수록 양상과 그 특징을 살핌으로써 윤복진의 동요가 남북한에서 서로 다르게 정전화되는 과정에 주목했다. 윤복진은 개...
이 연구에서는 분단 전후 남북한 동요선집에 수록된 윤복진 동요의 수록 양상과 그 특징을 살핌으로써 윤복진의 동요가 남북한에서 서로 다르게 정전화되는 과정에 주목했다. 윤복진은 개인 동요선집 꽃초롱 별초롱(1949)을 발간한 후 월북하여 북한의 대표적인 동요 작가로 자리잡은 반면 남한에서는 그 존재가 망각되어 왔다. 그로 인해 북한의 동요선집에는 윤복진의 동요가 다채롭게 수록된 반면 남한의 동요선집에는 분단 전 창작한 동요 일부만 수록되는 양상을 보이게 됐다. 남북의 정치 체제의 차이가 분단 전 창작된 윤복진 동요의 보존 및 향유 방식에도 차이를 초래했다.
북한 동요선집에서는 분단 전 창작한 윤복진의 동요를 비교적 폭넓게 수록하되 인민성, 향토성, 계급성을 보이는 작품은 일부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해석 방식을 강조한 반면, 남한에서는 자연과 가족, 동물과 사물을 인식하는 어린이의 순수성에 초점을 둔 작품을 반복 수록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아직까지 윤복진이 창작한 작품의 전체 목록이 제공된 바 없으므로, 남북한 동요선집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윤복진의 동요 목록을 작성하고 작품 원본을 확보하여 식민지 시기 창작한 작품과의 연관성 속에서 월북 이후 창작한 작품을 살필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류덕제, "한국 현실주의 아동문학 연구" 청동거울 2017
2 김청일, "조선문학" 조선예술출판사 27-34, 2002
3 김청일, "조선문학" 조선예술출판사 50-63, 2002
4 강영미, "정전 검열 기억" 지만지 2019
5 "월북작가 작품 출판판매금지 문교부서 지시"
6 원종찬, "북한의 아동문학" 청동거울 2012
7 손태룡, "박태준 악곡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3
8 고규진, "문학 정전"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9 "문교부, 국가이념에 배치되는 중등교과서 내용을 삭제하기로 결정"
10 원종찬, "동요시인 윤복진 연구 -북한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155-190, 2009
1 류덕제, "한국 현실주의 아동문학 연구" 청동거울 2017
2 김청일, "조선문학" 조선예술출판사 27-34, 2002
3 김청일, "조선문학" 조선예술출판사 50-63, 2002
4 강영미, "정전 검열 기억" 지만지 2019
5 "월북작가 작품 출판판매금지 문교부서 지시"
6 원종찬, "북한의 아동문학" 청동거울 2012
7 손태룡, "박태준 악곡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2013
8 고규진, "문학 정전"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9 "문교부, 국가이념에 배치되는 중등교과서 내용을 삭제하기로 결정"
10 원종찬, "동요시인 윤복진 연구 -북한에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17) : 155-190, 2009
11 "동요동시선집 및 동요곡집 목록(표1 참조)"
12 "朝鮮童謠硏究協會 創立"
한일합병 이후 근대 주권 개념의 변용 및 주권 용어의 법정화(法定化)
1970~1980년대 한국 사회과학 분과학문의 제도화와 전문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3-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9 | 0.82 | 1.26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