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간교환법을 이용한 EQ-5D 가치 평가 작업의 타당도 및 신뢰도 평가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EQ-5D valuation study using the time-trade off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re has been no study for testing the applicability of time trade-off method to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btaining EQ-5D value set with the time trade-off (TTO) method in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Methods For the initial survey, 500 persons were recruited from general populatio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Ninety-seven among them took part in the second survey. Direct valuation was elicited for 43 health states (42 EQ-5D health states and 'unconscious' state) in face-to-face interviews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TO method. Validity was assessed with the number of inconsistent respon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S and TTO scor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Resul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S and TTO values was 0.934 (p〈0.001). The relational formula was TTO=1-(1-VAS)1.028 and R2 was 0.973. The mean ICC was 0.857 (95% confidence interval: 0.836 - 0.878). Twelve persons (2.4%) had 4 or more inconsistent responses.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TTO method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valuing EQ-5D health states in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번역하기

      Background There has been no study for testing the applicability of time trade-off method to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btaining EQ-5D value set with the time trade-off (TTO) method ...

      Background There has been no study for testing the applicability of time trade-off method to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obtaining EQ-5D value set with the time trade-off (TTO) method in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Methods For the initial survey, 500 persons were recruited from general populatio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Ninety-seven among them took part in the second survey. Direct valuation was elicited for 43 health states (42 EQ-5D health states and 'unconscious' state) in face-to-face interviews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and TTO method. Validity was assessed with the number of inconsistent respon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S and TTO scor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Resul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VAS and TTO values was 0.934 (p〈0.001). The relational formula was TTO=1-(1-VAS)1.028 and R2 was 0.973. The mean ICC was 0.857 (95% confidence interval: 0.836 - 0.878). Twelve persons (2.4%) had 4 or more inconsistent responses.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TTO method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valuing EQ-5D health states in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이 이루어진 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EQ-5D의 가치평가세트를 구하는 과정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방 법 서울과 경기 지역 일반 인구 500명을 대상으로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과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가상의 EQ-5D 표준 건강상태에 대해 가치를 평가하였다. 총 41개의 EQ-5D 건강상태를 표준 건강상태로 하고, 이 중 11개를 중증도에 따라 무작위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가장 나쁜 건강상태인 ‘33333’상태와 ‘무의식’ 상태에 대해서는 모든 대상자가 가치를 평가하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500명 중 서울 지역의 97명이 응답하였는데, 1차 조사와 동일한 상태에 대해서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수행 과정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으로 평가한 값과 시간교환법으로 평가한 값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또 다른 측면으로 모순값의 수를 파악하였다. 신뢰도 측면에서는 평가-재평가 신뢰도를 개인별 급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과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한 값의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0.9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p〈0.001). 시간교환법에서 4개 이상의 모순값을 가진 응답자는 12명(2.4%)이었다. 개인별 급내 상관계수의 평균은 0.857로 나타났으며, 95% 신뢰구간은 0.836에서 0.878이었다.결 론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에서 가상의 EQ-5D 건강상태에 대해 시간교환법으로 가치 평가한 과정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에서도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이 이루어진 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이 이루어진 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EQ-5D의 가치평가세트를 구하는 과정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방 법 서울과 경기 지역 일반 인구 500명을 대상으로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과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가상의 EQ-5D 표준 건강상태에 대해 가치를 평가하였다. 총 41개의 EQ-5D 건강상태를 표준 건강상태로 하고, 이 중 11개를 중증도에 따라 무작위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가장 나쁜 건강상태인 ‘33333’상태와 ‘무의식’ 상태에 대해서는 모든 대상자가 가치를 평가하였다. 2차 설문조사에서는 500명 중 서울 지역의 97명이 응답하였는데, 1차 조사와 동일한 상태에 대해서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수행 과정에 대한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으로 평가한 값과 시간교환법으로 평가한 값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또 다른 측면으로 모순값의 수를 파악하였다. 신뢰도 측면에서는 평가-재평가 신뢰도를 개인별 급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과 시간교환법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한 값의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0.9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p〈0.001). 시간교환법에서 4개 이상의 모순값을 가진 응답자는 12명(2.4%)이었다. 개인별 급내 상관계수의 평균은 0.857로 나타났으며, 95% 신뢰구간은 0.836에서 0.878이었다.결 론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에서 가상의 EQ-5D 건강상태에 대해 시간교환법으로 가치 평가한 과정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한국의 일반 인구집단에서도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ord. E. EuroQ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Valuations of health states by the general public in Norway.Health policy 1991" 37-48,

      2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 199-208.

      3 Robinson A, "Valuing health status usingVAS and TTO: what lies behind the numbers?" 45 (45): 1289-1297, 1997

      4 Dolan P, "Valuing health states:A comparison of methods" 15 : 209-231,

      5 Greiner W, "Validating the EQ-5D with time trade off for the Germanpopulation" 6 (6): 124-130, 2004

      6 "Torrance GW. Measurement of health states An empiricalevaluation of three measurement techniques. Socioecon Plann Sci1976" 129-136,

      7 Stiggelbout AM, "The utilitiesof the visual analog scale in medical decision making andtechnology assessment" 12 (12): 291-298, 1996

      8 Brooks R, "The Measurement and valuationof health status using EQ-5D: A European perspective.Dordrecht" 2003

      9 Murry CJL, "Summary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concepts, ethics, measurementand applications" WHO, Geneva 2002

      10 Torrance GW, "Multiattribute utilityfunction for a comprehensive health status classification system:Health Utilities Index Mark 2" 34 : 702-722, 1996

      1 Nord. E. EuroQo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Valuations of health states by the general public in Norway.Health policy 1991" 37-48,

      2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 199-208.

      3 Robinson A, "Valuing health status usingVAS and TTO: what lies behind the numbers?" 45 (45): 1289-1297, 1997

      4 Dolan P, "Valuing health states:A comparison of methods" 15 : 209-231,

      5 Greiner W, "Validating the EQ-5D with time trade off for the Germanpopulation" 6 (6): 124-130, 2004

      6 "Torrance GW. Measurement of health states An empiricalevaluation of three measurement techniques. Socioecon Plann Sci1976" 129-136,

      7 Stiggelbout AM, "The utilitiesof the visual analog scale in medical decision making andtechnology assessment" 12 (12): 291-298, 1996

      8 Brooks R, "The Measurement and valuationof health status using EQ-5D: A European perspective.Dordrecht" 2003

      9 Murry CJL, "Summary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concepts, ethics, measurementand applications" WHO, Geneva 2002

      10 Torrance GW, "Multiattribute utilityfunction for a comprehensive health status classification system:Health Utilities Index Mark 2" 34 : 702-722, 1996

      11 Dolan P, "Modeling valuation for EuroQol Health States" 35 (35): 1095-108, 1997

      12 Drummond MF, "Methods forthe Economic evaluation of health care programmes. 3rded" New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3 Anexplanation, "Loomes G Disparities between health state measures University of York" 1988.

      14 Ohinmaa A, "Inconsistencies and modelling of theFinnish EuroQol (EQ-5D) preference value" University ofHannover, Germany. Uni-Verlag Witte 57-74, 1999

      15 Torrance GW, "Horwood SP. Application of multiattributeutility theory to measure social preferences for healthstates. Oper Res 1982" 1043-1069,

      16 "Guideline for the economic evaluation of health technologies. 3rded" 2006

      17 Jo MW, "General population time trade-off values for 42health states in South Korea" 40 (40): 169-176, 2007

      18 Badia X, "Feasibility,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scaling methods for healthstates: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time trade-off" 8 : 303-310, 1999

      19 Brooks RG, "EuroQol: the current state of play" 37 : 53-72, 1996

      20 Park SM, "EuroQol and survivalpredic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multicenter prospectivestudy in hospice-palliative care units" 14 (14): 329-333, 2006

      21 Tsuchiya A, "Estimating an EQ-5Dpopulation value set the case of Japan" 11 : 341-353, 2002

      22 Lee HY, "Cost-utilityanalysis of cochlear implants in Korea using different measuresof utility" 126 (126): 817-823, 2006

      23 Gold MR, "Cost-effectivenessin Health and Medicin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4 Bush JW, "Chen MM. Methods for measuring levelsof well-being for a health status index. Health Serv Res 1973" 228-245,

      25 Badia X, "A comparison UK andSpanish general populatio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health states" 21 : 7-16,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