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보장확대 정책의 거시경제효과 = Macroeconomic Impacts of The Reform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54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 도입 이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성은 매해 증가하였다. 하지만 최근 빈곤층 확산 및 소득 양극화의 가속화로 보장수준 확대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보장확대 정책의 거시경제효과 정량화를 목적으로 동태확률일반균형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실험을 수행한다. 모형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확대는 가구의 노동공급 및 저축 유인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른 총생산요소량의 감소는 경제의 총생산을 위축시키지만 사회복지(social welfare) 수준은 오히려 향상된다. 동일한 예산을 투입할 경우, 수급기준 완화를 통한 보장확대가 가구당 급여액 증대보다 효과적으로 사회복지수준을 향상시키는 반면 생산위축 효과는 더 큰 것으로 예측된다.
      번역하기

      2000년 도입 이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성은 매해 증가하였다. 하지만 최근 빈곤층 확산 및 소득 양극화의 가속화로 보장수준 확대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초생활...

      2000년 도입 이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성은 매해 증가하였다. 하지만 최근 빈곤층 확산 및 소득 양극화의 가속화로 보장수준 확대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보장확대 정책의 거시경제효과 정량화를 목적으로 동태확률일반균형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실험을 수행한다. 모형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보장확대는 가구의 노동공급 및 저축 유인을 감소시키며 이에 따른 총생산요소량의 감소는 경제의 총생산을 위축시키지만 사회복지(social welfare) 수준은 오히려 향상된다. 동일한 예산을 투입할 경우, 수급기준 완화를 통한 보장확대가 가구당 급여액 증대보다 효과적으로 사회복지수준을 향상시키는 반면 생산위축 효과는 더 큰 것으로 예측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introduced in 2000,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NBLSS) has expanded the scope of beneficiaries and increased the level of allowance payment. However, the recent spread of the poor and the acceleration of income polarization has lead to discussions on another system reform. In this study, we propose a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to quantify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NBLSS reform in the forms of (i) the relaxed beneficiary selection criteria and (ii) the increased allowance payment per household. We find that the NBLSS reform reduces households’ incentive to work and save,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aggregate labor and capital. Despite a decrease in aggregate output, the level of social welfare is increased. Importantly, relaxing the beneficiary selection criteria turns out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welfare than increasing the allowance payment although it brings down the production level more severely.
      번역하기

      Since introduced in 2000,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NBLSS) has expanded the scope of beneficiaries and increased the level of allowance payment. However, the recent spread of the poor and the acceleration of income polarization has le...

      Since introduced in 2000,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NBLSS) has expanded the scope of beneficiaries and increased the level of allowance payment. However, the recent spread of the poor and the acceleration of income polarization has lead to discussions on another system reform. In this study, we propose a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to quantify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NBLSS reform in the forms of (i) the relaxed beneficiary selection criteria and (ii) the increased allowance payment per household. We find that the NBLSS reform reduces households’ incentive to work and save,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aggregate labor and capital. Despite a decrease in aggregate output, the level of social welfare is increased. Importantly, relaxing the beneficiary selection criteria turns out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welfare than increasing the allowance payment although it brings down the production level more sever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태형, "자산별 내용연수의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은행 2012

      2 한종석, "소득재분배 정책의 거시경제적 효과-이질적 경제주체 모형분석"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

      3 이병희,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한국노동연구원 2015

      4 손병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저축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29-257, 2011

      5 이상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노동공급 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1-91, 2004

      6 변금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5 (5): 31-64, 2005

      7 박상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 공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20 (20): 277-308, 2011

      8 Aiyagari, S, "Uninsured Idiosyncratic Risk and Aggregate Saving" 109 : 659-684, 1994

      9 임태준, "Population Aging in Korea: Macroeconomic Impacts and Financ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한국경제학회 32 (32): 355-382, 2016

      10 장용성, "Optimal Income Tax Rates for the Korean Economy" 한국개발연구원 37 (37): 1-30, 2015

      1 조태형, "자산별 내용연수의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은행 2012

      2 한종석, "소득재분배 정책의 거시경제적 효과-이질적 경제주체 모형분석"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8

      3 이병희, "노동소득분배율과 경제적 불평등" 한국노동연구원 2015

      4 손병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저축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229-257, 2011

      5 이상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노동공급 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1-91, 2004

      6 변금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5 (5): 31-64, 2005

      7 박상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 공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 20 (20): 277-308, 2011

      8 Aiyagari, S, "Uninsured Idiosyncratic Risk and Aggregate Saving" 109 : 659-684, 1994

      9 임태준, "Population Aging in Korea: Macroeconomic Impacts and Financ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한국경제학회 32 (32): 355-382, 2016

      10 장용성, "Optimal Income Tax Rates for the Korean Economy" 한국개발연구원 37 (37): 1-30, 2015

      11 Lim, T, "Macroeconomic Effects of Expansion of Universal Health Care: The Case of South Korea" 58 (58): 143-161, 2017

      12 Rogerson, R, "Indivisible Labor, Lotteries and Equilibrium" 21 : 3-16, 1988

      13 Hsu, M, "Health Insurance and Precautionary Saving: A Structural Analysis" 16 : 511-526, 2013

      14 Chang, Y, "From Individual to Aggregate Labor Supply: A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a Heterogeneous Agent Macroeconomy" 47 : 1-27, 2006

      15 Tauchen, G, "Finite State Markov-chain Approximations to Univariate and Vector Autoregressions" 20 (20): 177-181, 1986

      16 Bewley, T, "Contributions to Mathematical Economics in Honor of Gerard Debre"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 Journal of Insurance and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보험개발연구 -> 보험금융연구
      외국어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KCI등재
      2008-06-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보험개발원 -> 보험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e ->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험개발연구
      외국어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1.1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