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른 보험사기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untermeasures against insurance fraud caused by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3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딥러닝에 기반 한 인공지능과 다양한 센서기술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운전자 없이도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의 법규와 제도를 바르게 개선하고 있으며, 예상되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가능성에 대비하여 관련 법 개정은 물론 현재 진행 중인 실험 자율주행 차량에 대해서도 책임 범위의 명확한 한계와 신속한 피해구제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가 이루어지면 보험사기 역시 더욱 복잡하고 지능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보험사기에 대처하는 방향 역시 지금과는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우선, 보험 경영학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요구된다. 매체 접촉률이 높은 동영상 위주의 홍보와 함께, 보험 계약 시의 법정 의무교육 등의 제도 도입이 요구된다. 한편으로 보험사기에 대처하기 위한 DB의 구축과 보험 사기범에 대한 운전면허의 중지나 금융 거래 및 해외 출국금지 등의 강도 높은 제재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는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사고가 많아지기 때문에 새로운 보험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있는데, 이 새로운 보험제도는 피해자 보호에 너무 치중하는 나머지 보험사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에 있어 전문 인력의 확충과 양성을 통한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조사와 수사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보험사기 조사 조직을 일원화하고 일선 수사기관에 전담조직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보험사기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이룬다면 보험사기로 인해 낭비되는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선량한 보험계약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딥러닝에 기반 한 인공지능과 다양한 센서기술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운전자 없이도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을 비롯한 선...

      딥러닝에 기반 한 인공지능과 다양한 센서기술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운전자 없이도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존의 법규와 제도를 바르게 개선하고 있으며, 예상되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사고 가능성에 대비하여 관련 법 개정은 물론 현재 진행 중인 실험 자율주행 차량에 대해서도 책임 범위의 명확한 한계와 신속한 피해구제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가 이루어지면 보험사기 역시 더욱 복잡하고 지능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보험사기에 대처하는 방향 역시 지금과는 다른 모습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우선, 보험 경영학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요구된다. 매체 접촉률이 높은 동영상 위주의 홍보와 함께, 보험 계약 시의 법정 의무교육 등의 제도 도입이 요구된다. 한편으로 보험사기에 대처하기 위한 DB의 구축과 보험 사기범에 대한 운전면허의 중지나 금융 거래 및 해외 출국금지 등의 강도 높은 제재방안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는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사고가 많아지기 때문에 새로운 보험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있는데, 이 새로운 보험제도는 피해자 보호에 너무 치중하는 나머지 보험사기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을 보완해야 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에 있어 전문 인력의 확충과 양성을 통한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조사와 수사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보험사기 조사 조직을 일원화하고 일선 수사기관에 전담조직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보험사기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이룬다면 보험사기로 인해 낭비되는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선량한 보험계약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and various sensor technologie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enable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at can drive the road without the driver.
      Accordingly, the U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are improving existing laws and systems to promot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lso, they are revising relevant laws to prepare for possible accidents of autonomous vehicles as well as making various efforts to provide a transparent perimeter to the scope of liability and swift relief for the experimental autonomous vehicles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Meanwhile, as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ill make insurance fraud more complex and more intelligent in future, the direction of dealing with insurance fraud should also change. First, more active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are required from the aspect of insurance management. Along with media-driven promotion with high media contact rate, th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such as legal compulsory education at the time of insurance contract.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strict sanctions for insurance fraud such as cancellation of driver's licenses, prohibiting financial transactions, or forbidding going abroad.
      Also, since autonomous motor vehicle accidents are extremely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comprehen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new insurance system which must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being easily exposed to insurance fraud due to over-emphasizing the protection of victim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vestigation and system by expanding and fostering professional workforce in cybersecuri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insurance fraud by unifying organizations that are investigating insurance fraud involving autonomous car accidents as well as establishing a dedicated agency in frontline investigation organizations. If these efforts ar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wastage of social cost caused by the insurance fraud can be reduced and the loss of the honest insurance buyers can be minimized.
      번역하기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and various sensor technologie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enable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at can drive the road without the driver. Ac...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deep learning, and various sensor technologie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enable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that can drive the road without the driver.
      Accordingly, the U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are improving existing laws and systems to promot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lso, they are revising relevant laws to prepare for possible accidents of autonomous vehicles as well as making various efforts to provide a transparent perimeter to the scope of liability and swift relief for the experimental autonomous vehicles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Meanwhile, as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ill make insurance fraud more complex and more intelligent in future, the direction of dealing with insurance fraud should also change. First, more active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 are required from the aspect of insurance management. Along with media-driven promotion with high media contact rate, the system should be introduced such as legal compulsory education at the time of insurance contract. Furthermore,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strict sanctions for insurance fraud such as cancellation of driver's licenses, prohibiting financial transactions, or forbidding going abroad.
      Also, since autonomous motor vehicle accidents are extremely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comprehen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new insurance system which must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being easily exposed to insurance fraud due to over-emphasizing the protection of victim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ystematic and professional investigation and system by expanding and fostering professional workforce in cybersecurity.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insurance fraud by unifying organizations that are investigating insurance fraud involving autonomous car accidents as well as establishing a dedicated agency in frontline investigation organizations. If these efforts ar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wastage of social cost caused by the insurance fraud can be reduced and the loss of the honest insurance buyers can be minimiz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인순, "한국정보인증 ‘자율주행차량’보안 나선다"

      2 안경옥, "한국의 보험범죄의 실태 및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4 (14): 2-104, 2003

      3 김민범, "테슬라 모델S, 자율주행 첫 사망사고... 아직은 불안한 자율주행차"

      4 홍춘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오류와 민사책임" 한국기업법학회 20 (20): 335-356, 2006

      5 차성민, "정보통신업에서의 제조물책임" 법조협회 55 (55): 245-268, 2006

      6 김예지, "자율주행자동차의 취약점 및 보안 고려사항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5 (25): 2017

      7 박은경,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과 자동차보험제도의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16 (16): 105-133, 2016

      8 최순진,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으로서의 보험제도의 활용" 가천대학교 2017

      9 김상태,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법학연구소 9 (9): 177-190, 2016

      10 이종영,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의 법적 문제" 중앙법학회 17 (17): 145-184, 2015

      1 김인순, "한국정보인증 ‘자율주행차량’보안 나선다"

      2 안경옥, "한국의 보험범죄의 실태 및 대책"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4 (14): 2-104, 2003

      3 김민범, "테슬라 모델S, 자율주행 첫 사망사고... 아직은 불안한 자율주행차"

      4 홍춘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오류와 민사책임" 한국기업법학회 20 (20): 335-356, 2006

      5 차성민, "정보통신업에서의 제조물책임" 법조협회 55 (55): 245-268, 2006

      6 김예지, "자율주행자동차의 취약점 및 보안 고려사항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5 (25): 2017

      7 박은경,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과 자동차보험제도의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16 (16): 105-133, 2016

      8 최순진,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으로서의 보험제도의 활용" 가천대학교 2017

      9 김상태,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법학연구소 9 (9): 177-190, 2016

      10 이종영,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의 법적 문제" 중앙법학회 17 (17): 145-184, 2015

      11 이기형, "자율주행자동차 보험제도 연구" 보험연구원 2016

      12 강소라, "자율주행자동차 법제도 현안 및 개선과제" 2016

      13 김영국, "자율주행 자동차의 운행 중 사고와 보험적용의 법적 쟁점"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3 (3): 247-280, 2015

      14 채반석, "자동차 소유 시대의 종언: 자율주행의 미래"

      15 김용호, "인터넷마케팅" 청람 2017

      16 권용주, "우버 자율주행 사고, 원인은 ‘인식 오류’"

      17 고명규, "상법(보험편)의 개정안에 대한 검토의견 -보험사기를 중심으로-" 한국기업법학회 25 (25): 297-322, 2011

      18 이병희, "보험사기범죄의 실태와 방지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19 송윤아, "보험사기 영향요인과 방지방안" 보험연구원 2010

      20 박일용, "보험사기 성향 및 규모추정-손해보험중심으로"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소 1999

      21 이정민, "보험사기 방지를 위한 합리적 형사정책"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7 (17): 147-175, 2015

      22 탁희성, "보험범죄에 대한 형사처벌규정의 도입을 위한 비교법적 고찰"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17): 275-298, 2006

      23 김상균, "보험범죄에 대한 사법적 대응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4 (4): 25-53, 2008

      24 최석윤, "보험과 형법" 한국비교형사법학회 8 (8): 765-786, 2006

      25 박은경, "보험계약상 사회 안전보장을 위한 약관확보방안 - ‘자율주행자동차 노폴트보험’ 약관의 개발 -" 한국법학회 17 (17): 29-57, 2017

      26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허위입원으로 입원보험금 등을 받으면서 대리운전을 일삼은 보험사기 혐의자 적발"

      27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이륜차에서 렌터카로 점점 대법해지는 청소년 보험사기"

      28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보험사기 피해로 할증된 자동차보험료 환급현황"

      29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고급차 관련 중고차 딜러 보험사기 적발"

      30 금융감독원, "보도자료, 2017년도 보험사기 적발실적 통계"

      31 이승훈,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자율주행 기술 경쟁의 핵심을 바꾼다" LG 경제연구원 2017

      32 "대법원 2003. 9. 5. 선고 2002다17333 판결"

      33 "대법원 2001. 11. 27. 선고 2001다44659 판결"

      34 서찬동, "구글 무인자동차 버스와 접촉사고...법적 사고책임 인정 주목"

      35 今井猛嘉, "自動化運転を巡る法的諸問題" 40 (40): 2015

      36 公益財団 日本医療機能評価機構, "産科医療補償制度について"

      37 이유식, "V2X 통신을 위한 보안기술" 한국정보보호학회 24 (24): 2014

      38 Gary E. Marchant, "The Coming Collis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s and the Liability System" 52 : 1321-, 2012

      39 Jeffrey K. Gurney, "Sue My Car Not Me: Products Liability and Accidents Involving Autonomous Vehicles" 247-, 2013

      40 Carrie Schroll, "Splitting the Bill: Creating a National Car Insurance Fund to Pay for Accidents in Autonomous Vehicles" 109 : 803-, 2015

      41 Dorothy J. Glancy, "Privacy in Autonomous Vehicles" 52 : 1171-, 2012

      42 NHTSA, "Preliminary Statement of Policy Concerning Automated Vehicles" 2013

      43 NHTSA, "National Motor Vehicle Crash Causation Survey: Report to Congress"

      44 "National Childhood Vaccine Injury Act of 1986, Pub. L. No. 99-660, 100 Stat. 3756 {42 U.S.C. § 300aa-1 to -34 (2000)}"

      45 "NHTSA 14-13,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Releases Policy on Automated Vehicle Development (May 30, 2013)"

      46 Liz Gannes, "Google's New Self-Driving Car Ditches the Steering Wheel"

      47 Julia A. Molander, "Facing Revolutionary Changes Driverless Vehicles and the Effect on Insurance" 58 (58): 16-, 2016

      48 Julie Goodrich, "Comment, Driving Miss Daisy : An Autonomous Chauffeur System" 51 : 265-, 2013

      49 USDOT, "AUTOMATED DRIVING SYSTEMS : A Vision for Safety"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원법학 -> 가천법학
      외국어명 : Kyungwon Law Review -> Gacho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