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소설의 디아스포라 연구 -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를 중심으로- = Diaspora Studies of Juvenile Novels - Focusing on works 『A house where hearts live』, 『the house where jokes live』, 『I go to Brazi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5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출판된 청소년소설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

      본 연구는 2000년대 이후 출판된 청소년소설 『마음이 사는 집』, 『농담이 사는 집』, 『나는 브라질로 간다』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인류학적으로 볼 때, 인류는 누구나 청소년기를 거쳐 가는 잠재적 디아스포라 의식을 가진 존재다. 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고 모호하다. 청소년의 불완전한 ‘나’의 정체성은 어느 곳에도 속하지 못한 채 경계에 서 있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일치된다. 세상에 내던져진 존재, ‘나는 누구인가.’란 질문을 끊임없이 되풀이하는 디아스포라의 혼란과 분열을 우리는 청소년기라는 진화의 과정 속에서 비슷하게나마 경험하게 된다. 이에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의식과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고뇌를 살펴보는 것은 인류의 경계인이자, 중간자인 청소년의 모호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다채로운 색깔을 가지고 있는 인간 본연의 존엄을 존중하고자 하는 인류애로 이어지는 확장의 의미를 갖는다.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은 ‘불완전’의 아름다움이다. 청소년소설에서 ‘불안’은 참된 자기, 본래의 자아를 찾을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드는 성장의 장치로 작용한다. 청소년의 디아스포라적 경험은 불완전한 존재의 ‘나’를 아름다운 ‘나’로 성장시킨다. 역설적으로 청소년소설에서 디아스포라의 흔들림은 문학적 장치가 되어 아름다움으로 승화된다. 그것은 인종과 민족, 어떤 곳에도 소속되지 않고, 이념에 편향되지 않는 경계인이 가질 수 있는 인류애로 연결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는 ‘이중 경계인’으로서 고뇌를 안고 있다. 민족 정체성과 자아 정체성을 동시에 고민하게 되는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은 자기발견의 결과와 타협과 자아각성을 하며, 통과제의 즉 존재론적 위치의 변화를 겪게 됨과 동시에 이민자의 정체성을 통해 타자성에 대한 고뇌를 드러낸다. 청소년 디아스포라 인의 존재와 고뇌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한 개인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 국가, 인종 등의 사회 문제로 확장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tual of Diaspora and the anguish of juvenile diaspora in the following novels published since the 2000s, 『A house where hearts live』, 『the house where jokes live』, 『I go to Brazil』. Anthropologically, manki...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itual of Diaspora and the anguish of juvenile diaspora in the following novels published since the 2000s, 『A house where hearts live』, 『the house where jokes live』, 『I go to Brazil』. Anthropologically, mankind has a potential diasporan consciousness that goes through adolescence. The identity of the diaspora is complex and ambiguous. The incomplete 'I' identity of the juvenile is consistent with the diasporic ritual of standing at the border without belonging anywhere. In the growth within adolescence, we experience similar confusion and disruption of the diaspora, which is constantly repeating the question of who is thrown into the world, WhoamI? Tounderstand the diasporicritual sand the a gonies of the adolescent diasporas in juvenile novels is to understand the ambiguity of juvenile, the boundaries of mankind, and the meaning of expansion that leads to humanity in order to respect the dignity of human beings with colorful colors.
      The diasporic ritual in juvenile novels is the beauty of 'imperfection'. In an adolescent novel, 'anxiety' acts as a device of growth that makes it possible to find one’s true and original self. The diaspora experience of adolescence grows the 'I' of the imperfect existence into a beautiful 'I'. Paradoxically, the youthfulness of diaspora in the juvenile novels becomes a literary device and sublimes to beauty. It is linked to the humanity of race and race, the boundaries that do not belong anywhere, and which are not biased toward ideology.
      In reality,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juvenile diaspora is suffering as a 'double border'. The juvenile diaspora, who is troubled with both national identity and self-identity, is forced to experience self-discovery, compromise, and self-awakening. and pass the proposal to be born again as another person, Reveal the agony of otherness through the identity of the other. Under standing the existence and agony of the juvenile of diaspora can be extended beyond simply understanding one individual to include larger social issues such as culture, the nation, and r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acques Derrida, "환대에 대하여" 동문선 57-, 2004

      2 M. Marcus, "현대소설의 이론" 대방출판사 460-463, 1983

      3 박정애, "한국 아동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다문화’ 갈등과 그 해결 양상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41) : 417-452, 2010

      4 정현철,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코스모플리타니즘" 동인 140-141, 2013

      5 Simine Vierne,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8-, 1996

      6 황성옥, "탈북 소재 동화․청소년소설 연구 : 인물의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7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4-, 2004

      8 박상률, "청소년문학의 자리" 나라말 37-40, 2012

      9 김성진,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한국비평문학회 (39) : 60-83, 2011

      10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1 Jacques Derrida, "환대에 대하여" 동문선 57-, 2004

      2 M. Marcus, "현대소설의 이론" 대방출판사 460-463, 1983

      3 박정애, "한국 아동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다문화’ 갈등과 그 해결 양상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41) : 417-452, 2010

      4 정현철,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코스모플리타니즘" 동인 140-141, 2013

      5 Simine Vierne,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8-, 1996

      6 황성옥, "탈북 소재 동화․청소년소설 연구 : 인물의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7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4-, 2004

      8 박상률, "청소년문학의 자리" 나라말 37-40, 2012

      9 김성진, "청소년 소설의 장르적 특징과 문학교육" 한국비평문학회 (39) : 60-83, 2011

      10 김중신, "청소년 문학의 재개념화를 위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9 : 11-36, 2002

      11 Gyorg Lukàcs,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161-, 2007

      12 Benedict R. O'G. Anderson, "상상의 공동체" 나남출판 23-, 2002

      13 한상복, "문화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94-95, 2011

      14 Peter Burke, "문화 혼종성" 이음 81-, 2012

      15 최모림, "마음이 사는 집" 북멘토 7-189, 2013

      16 Claude Levi-Strauss,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강의" 문예출판사 107-144, 2018

      17 임헌영, "디아스포라와 한국문학" 역락 15-37, 2012

      18 손정수, "디아스포라에 의한, 디아스포라를 위한, 디아스포라의 글쓰기" (가을) : 49-, 2006

      19 정은경, "디아스포라 문학" 이룸 10-, 2007

      20 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 돌베게 14-, 2006

      21 Tim Edensor,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이후 78-, 2008

      22 이미림, "다문화성장소설연구 -<코끼리>, ≪완득이≫, ≪이슬람 정육점≫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1) : 373-401, 2012

      23 조명숙, "농담이 사는 집" 문학과지성사 7-247, 2010

      24 한정기, "나는 브라질로 간다" 비룡소 11-239, 2008

      25 서경식, "경계에서 만나다 : 디아스포라와의 대화" 현암사 10-11, 2013

      26 이미림, "21세기 한국소설의 다문화와 이방인들" 푸른사상 28-, 2014

      27 최남건, "2000년대 한국 다문화소설 연구 : 이주민 재현 양상과 문학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